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遺傳子變形食品 貿易紛爭과 SPS協定上의 科學的 리스크 評價

        주진열 법무부 2003 통상법률 Vol.- No.52

        The terms of science and risk assessment in the Sanitary and Phytosanitary Agreement (SPS Agreement) have a crucial role in solving trade disputes concerning Genetically Modified Foods(GMFs) regulatory measures, including the ongoing disput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If the term of “risk” is so widely interpreted enough to include the so-called “virtual risk” or “unknown risk” that is unidentificiable risk by scientific methods, any trade measures to prevent international trade of GMFs would be conform with the SPS Agreement. Because the concept of virtual risk is directly linked to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t will make the requirement of scientific risk assessment under the SPS Agreement uneffective and void. It also imples that the global trade order would be threatened in the very near future. To guarantee the SPS Agreement as well as the world trade system to function well, the meanings of “science” and “risk” should be clarified restrictively to exclude pseudo-scientific claims that unreasonably put stress on theoretical scientific uncertainty. With this in mind, the WTO should establish the standard for admitting and evaluating scientific evidence submitted by the parties. In assessing the value of scientific evidence, the weight should be ascribed to the evidence confirmed by sound scientific principles in the light of falsificability.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the aims of the SPS Agreement and the values of human life and health, the dynamic character of science should be dynied, and the WTO panels have to screen out evidence that does not deserve to be called “sound science."

      • KCI등재

        AI 알고리즘 가격설정과 이른바 ‘알고리즘 묵시적 담합’ 문제에 대한 고찰

        주진열 한국경쟁법학회 2020 競爭法硏究 Vol.41 No.-

        This article addressed some confusing problems of the so-called Algorithmims-Driven Tacit Collusion (ATC) - the hypothetical situation of Algorithmic Price Parallelism without sellers’ agreement (APP) in the online markets. Because pricing algorithm is a just tool rather than independent agent, there are no involvement of human behaviours in the process of APP. For this reason, it is not proper to use the term of conscious parallelisms or tacit collusion in the context of APP. Considering the realities of the online markets as well as the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thematics, it does not seem that APP may occur in the near future. Moreover APP cannot be regulated by competition law just because there are no human involvement in APP. It seems that the hypothetical scenario of ATC reflects a kind of AI Dystopia, such as the Singularity scenario, which can never be proved. In this sense, the ATC hypothesis seems like a science fiction rather than a theory.

      •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형사제재 조항과 전속고발제 존폐 문제에 대한 고찰

        주진열 한국경쟁법학회 2018 競爭法硏究 Vol.38 No.-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ompetition laws,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A”) has a very unique characteristic: the same conduct may results in not only administrative sanctions but also criminal sanctions; and only Fair Trade Commission (“FTC”) has the exclusive power to refer anticompetitive behaviors for criminal prosecution. As a result, Public Prosecutors has no independent power to investigate and accuse of anticompetitive conducts. For this reason, some politicians have argued: FTC’s exclusive power must be repealed because it seriously undermines criminal enforcement of MR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 breach of MRA can be properly dealt with administrative and civil sanctions. Moreover, except hardcore cartels case, substantive clauses of MRA are too vague to impose criminal sanctions. This article addressed some complex problems regrading decriminalization of MRA; and some issues of criminal leniency when Public Prosecutors has independent power to investigate and accuse of hardcore cartels.

      • KCI등재후보

        공정거래법상 경쟁제한성 요건의 증명방법에 관한 연구

        주진열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2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prohibits various types of acts and practices which may have an adverse effect on competition. As these legal terms are directly related to economic factors, the courts already well recognize that economic analysi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RFTA cases. Indeed, the courts make every effort to seek decisions that fall within the boundaries of economically sound knowledge. On the other hand, as judges are not trained economists, they lack the economic training that might facilitate the evaluation of economic claims or the evaluation of economic evidence. In addition, there can be the MRFTA cases in which there are two well-qualified economist experts, each employing standard methodology of economic analysis, but arriving at opposite conclusions. In these circumstance, it is hard for the courts to avoid epistemic arbitrariness in fact-finding reason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urts need to use Daubert rule and/or court-appointed experts. Court-appointed experts can be used to address complex economic evidence where the parties provide dueling experts or fail to present the facts adequately. 시장지배적사업자의 단독행위, 사업자들 간의 공동행위, 기업결합, 재판매가격유지행위 등이 공정거래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는 문제된 행위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행위의 위법성 여부를 평가함에 있어서 ‘경쟁제한성’이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지만, 구체적인 사건에서 문제된 행위의 경쟁제한성 여부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대법원은 경쟁제한성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밝힌 바는 없지만, 문제된 행위로 인해 경쟁제한효과가 발생하면, 경쟁제한성이 인정되어, 부당·위법하다는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경쟁제한성 증명방법으로 이용되는 경제적 분석은 분석방법론 자체에 오류가 포함될 수 있어, 경제적 분석의 논리구조에 친숙하지 않은 법원으로서는 법정에 제출된 온갖 종류의 다양한 경제적 분석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구체적 사건에서 문제된 행위와 경쟁제한효과 간의 ‘인과관계’가 충분히 증명되었는지, 경쟁제한성 증명방법으로 이용된 경제적 분석 방법론이 신뢰할 수 있는 건전한 방법론인지 여부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민사소송법상의 감정인이나 전문심리위원제도를 활용하여, 경쟁제한성에 관한 경제적 증거를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문제된 행위가 효율성 증진 효과와 함께 경쟁제한효과를 동시에 발생시키고 양자 중 어느 것이 더 큰지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감정인제도를 활용하더라도, 경쟁제한성 여부 판단이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과잉집행의 오류와 과소집행의 오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동태적 경쟁과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시장에서 어떤 시지행위의 경쟁제한효과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정거래법 제4조의 추정 조항으로 인해 시장지배적 지위가 쉽게 추정되는 경향이 있고, 과소집행의 오류로 인한 경쟁제한효과가 동태적 경쟁 과정에서 치유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고, 과잉집행 오류는 혁신을 저해함으로써 사회적 후생에 장기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소집행 오류가 과잉집행 오류에 비해 사회적 후생에 비교적 덜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불공정하도급거래 규제의 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주진열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법학논고 Vol.0 No.30

        한국 경제에서 하도급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하도급법은 공정거래법과 비교해볼 때 법학계로부터는 조명을 덜 받아왔다. 불공정 하도급거래 규제 관련 법령이 상당히 정비가 잘 되어 있어 학문적으로 주목할 만한 큰 입법적 흠결 또는 모순을 찾아보기가 힘들고, 하도급법상의 불법성 판단이 공정거래법의 그 것에 비해 비교적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하도급법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주목할 만한 관련 판례가 많지 않다는 점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도급법은 원래 공법이 아니라 사법질서에 따라 규율되어야 할 하도급거래를 원사업자의 계약상의 우월적 지위의 남용으로부터 경제적 약자인 수급사업자를 보호한다는 이유로 헌법 제119조 제1항의 사적 자치 원칙을 국가가 개입하여 수정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국가 개입은 헌법 제119조 제2항 및 제123조 제3항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나, 그러한 규제 개입은 필요 최소한에 그쳐야 할 것이고 사적 자치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른 한편 하도급법은 경제 원리보다는 기본적으로 ‘약자 보호’라는 정치적 이념에 근거한 것이어서, 경우에 따라 원사업자는 비례원칙을 벗어난 과도한 규제를 문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익을 위한 일부 규제입법의 기본권 침해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하도급거래에 대한 국가의 과도한 규제 또한 원사업자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공정위가 하도급법 준수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각종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운행해오고 있는 실무는 불공정 하도급거래 규제 이전의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최근 하도급법 관련 사건은 그 사실관계 뿐만 아니라 관련 법적 쟁점도 예전에 비해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경제현상이 갈수록 복잡해짐에 따라 일어날 수밖에 없는 필연적 현상으로 보이며, 불공정 하도급거래와 관련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법적 쟁점은 결국 향후 구체적인 개별 사건에서 소송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In principle, it is expected that legal problems occurring from private subcontract transactions are to be dealt under contract law and/or tort law. However, the Korean antitrust authority has been very actively regulating private subcontract transactions since 2005 under the Fair Subcontract Transactions Act. It seems that the governmental regulation on subcontract transactions is mainly based on the idea that medium and small size firm subcontractors should be protected from abuse of big firm contractors' contactual power. Subcontractors still ask the government to give them much more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Act has raised some questions of constitutionality. Although, in 2003,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at article 14 of the Act which strongly pursues the protection of subcontractors is not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oo-strong regulation on subcontract transactions can be unconstitutional. Recent pending Supreme Court cases, for instance 2008Du14296 case, well show that recent legal issues concerning the Act are getting much more complex. As there are few cases on the Act and many articles of the Act contains ambiguous terms, there might exits many undiscovered legal issues about regulation on unfair subcontract transactions. Although law scholars and lawyers have not much interested in the Act, as the number of pending cases before the Court has suddenly increased since 2008, it is expected that legal issues in the Act would attract their interests.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 관련 정상가격 산정 기준 -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4두36112 판결 -

        주진열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51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A) has a unique provision, article 23(1)(vii), which prohibits undue support practices between firms. In March 2014, the Seoul High Court delivered the 2013Nu45067 decision which recognized that the Sinsaegae department stores and the Emart, plaintiffs, unduly supported the DayandDay bakery runned SinsaegaeSVN (belonged to the Sinsaegae group to which plaintiffs also belonged), by determining the rate of sale commission 20.5% for renting their store place. In the Sinsaegae, the Seoul High Court sai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20.5% and the normal rate of sale commission 23%, estimated by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KFTC), restrained fair competition in the bakery bread market by giving the DayandDay undue competitiveness over its rivals, therefore plaintiffs breached the ex article 23(1)(vii) of MRA. In January 2015, however,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the normal price in the context of the ex article 23(1)(vii) should be estimated by the resonable method which reflects all other relevant and similar contracts between firms which are not belonged to the same business group. In the Sinsaegae, the Supreme Court said tha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ormal rate was not reasonable, and there was no evidence which showed the normal rate of commission was 23%, and therefore reversed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on the contract between plaintiffs and SinsaegaeSVN. 최근 신세계 기업집단 계열사인 이마트 등 유통업체들과 같은 기업집단 계열사인 음식료업체 신세계에스브이엔(SVN) 사이의 데이앤데이 입점 판매수수료율 사건에서, 서울고등법원은 신세계 유통업체들이 데이앤데이 매장에 부과한 판매수수료율이 정상거래가격보다 현저히 낮은 부당지원행위에 해당한다고 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5. 1. 29. 선고 2014두36112 판결에서 부당지원행위 관련 정상가격 산정 기준에 관한 일반 법리를 제시하면서 공정위가 문제 삼은 데이앤데이 판매수수료율을 부당지원행위로 볼 수 없다고 하였다. 이 사건에서 문제된 거래가격은 유통업체와 입점업체 사이의 특정매입거래에적용된 수수료율로서, 대상판결이 나오기 전까지 관련 선례나 학설이 없었다. 대상판결의 관련법령은 2013. 4. 5. 법률 제11758호로 개정되기 전의 舊공정거래법이지만, 당해 판결에서 제시된 법리는 현행 공정거래법 해석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부당지원행위의 경우 정상가격이 제재적 행정처분과 형사처벌의 근거가 될 수있어 명확한 산정 기준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법령에는 정상가격에 관한 어떠한 산정 방법도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큰 문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상판결은 대략적으로라도 정상가격 산출 방법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둘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