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유형

        주지영(Joo, Jiyoung)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이 갖는 의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소설의 한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권력통제에 대한 도전이며, 체계가 지닌 억압적이고 강제적인 통합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의도된 죽음을 다루는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960년대 소설 나 타나는 죽음은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충동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에는 죽음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이 단편적인 한두 가지 사건이나 삽화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인식이 구조적이고 본질적 측면에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현상에 한정 되어있음에 기인한다. 그 결과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갖고 밀접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다분히 우연적이고 충동적인 측면을 띠게 되며, 죽음을 통해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단편적 인식과 파괴에의 욕망에 의한 충동적 죽음만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둘째 , 역설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인식이 단편적 측면을 넘어서 구조적 측면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구조적 인식에 의해 상징계의 본질적 모순이 포착되고, 그러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죽음의 계기로 작동 하는 상징계의 모순은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다각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더불어 각각의 사건들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하나의 전체 사건으로 통합된다. 이를 통해 사건이 전개 될수록 상징계의 모순은 점점 강화되고,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순을 비판하면서,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상징계의 ‘자아이상’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 유형의 죽음은 겉으로는 상징계의 모순에 패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패배를 통해 모순극복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역설적 죽음의 의미를 띤다. 셋째 , 초월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구조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상징계가 나아갈 올바른 역사방향성을 문제 삼고 있다. 이 유형의 작품은 죽음의 계기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을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세계를 지향한다. 그런데 그 세계는 상징계가 아니라 상상계이다. 곧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든 사회 문화 규범 체계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어머니의 자궁속과 같은 상상계를 강렬히 지향한다. 그러한 상상계에서의 ‘이상적 자아’의 회복은 상징계의 인간으로서는 실현불가 능 한것이지만, 주체의 소멸과 무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회귀해 야 할 원초적 고향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지향성으로 인해, 이 유형의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을 가장 강력하게 전복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죽음은 상징계에서 상상계로의 초월적 죽음에 해당된다. The works dealing with death in 1960’s novel have difference in method of social contradiction-conquest. this difference depends on what the work want to restore through the death do, that is ‘le Je-ide´al’ of l"imaginare or ‘l"ideal du moi’ of le symbolique. By this standard, the death in 1960’s novel fall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impulsive death. In this work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letting the character die is presented in fragments. As a result, this works haven’t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suggest the desire that destroy le symbolique. The second type is the paradoxical death. In this works, the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has strengthened with structural dimension. As a result, this work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the new le symbolique. The third type is the transcendental death. this works have impeached the right directivity of history based on the structura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As a result, this works give all-out criticism le symbolique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l"imaginare such as maternal uterus.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자기동일화 양상

        주지영(Joo, Jiyoung) 돈암어문학회 2014 돈암어문학 Vol.27 No.-

        1960년대 소설과 관련해 볼 때, 이청준과 최인훈의 소설은 전통 서사구조를 파괴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최인훈과 이청준 문학은 1960년대 사회적 상징체계의 모순을 비판하고 상상계적 동일성의 세계를 욕망하면서, 그러한 무의식의 욕망의 기표를 은유적이고 환유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전통서사구조를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두 작가는 상상계적 동일화에 대한 욕망의 기표가 갖는 특질에서 구분된다. 이청준은 ‘남도의 고향’으로 표상되는 풍속의 세계를 욕망의 기표로 설정하고, 최인훈은 ‘바다’로 표상되는 인류의 원초적 고향과 관련된 세계를 욕망의 기표로 설정해, 새로운 주체의 자기동일화를 꾀하려 한다. 이러한 방법론에 따라 이청준 문학과 최인훈 문학의 서사 구조도 결정된다. (A) 상상계적 동일화와 관련된 욕망의 서사와 (B) 상징계 비판과 관련된 서사가 환유 결합되면서 전통 서사구조는 파괴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서사 내에서 은유 대체가 일어난다. 곧 상상계적 동일화와 관련된 욕망의 기표가 은유 대체되고, 더불어 상징계 비판과 관련된 현실적 기표가 은유 대체된다. 그러나 상상계적 동일화와 상징계 비판이 상징계의 구체적 현실과 연결되어 있는 이청준 문학과 달리 최인훈 문학은 추상적인 측면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이는 최인훈 문학에 나타나는 상상계적 동일화에 대한 욕망이 이청준 문학과는 달리 추상적인 인류 문명 일반으로 은유 대체된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Among 1960"s novel, Lee Cheong-Jun and Choe in-hun"s novels have destroyed the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 The works of two writers criticize the contradiction of 1960"s social symbolic systems and desire for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These works destroy the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 by combining the signifiant of such desire through metaphor and metonymy. Due to the signifiant of desire for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Two writers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Lee Cheong-Jun"s works substitute the signifiant of desire to the custom of "Namdo". Meanwhile, Choe in-hun"s works substitute the signifiant of desire to the sea, namely the basic home of humankind. By each methods, two writers attempt self -identification of subject. For this reason, narrative structure of each work is decided. Each work metonymically combines narrative of desire related to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narrative related to criticism on the symbolic systems. At the same time, metaphor-substitution comes true in each narrative. In Lee Cheong-Jun"s works,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and criticism on the symbolic systems are connected by concrete reality. On the other hand, Choe in-hun"s works partake strongly the aspect of abstractness. In Choe in-hun"s works, the desire of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is substituted by the abstract humancivilization unlike Lee Cheong-Jun"s works.

      • KCI등재

        여성 인물의 질적 전회,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기 : 이혜경 「그리고, 축제」, 김인숙 「바다와 나비」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2000년대 이후 한국 소설에서 여성은 희생당하는 삶을 살아가는 데 머물지 않고, 지배담론의 다양한 폭력에 맞서면서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쪽으로 나아간다. 이 점을 고려해 본고는,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제 모순은 물론이고 지배담론의 제반 모순을 입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해 이를 소설화하는 단계, ‘타자를 살리는 윤리’를 지향하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여성 인물을 치열하게 모색하고 또 그런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질적 전회를 꾀하는 단계를 오늘날 여성 문제를 다루는 소설이 나아갈 방향이라 판단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다음 두 작품에 주목하였다. 이혜경의 「그리고 축제」는 열두 살에 성폭행을 당한 ‘나’를 화자로 내세워 가부장제와 남성중심주의를 일차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나아가 이 작품은 한국에서 인도네시아로의 공간 이동과 병치를 통해, 성폭력 문제를 지배담론의 또다른 폭력, 가령 부패한 정부와 권력 집단, 반체제 집단의 폭력 등과 연결해 그 모든 폭력이 동질적임을 강조하고, 한국과 아시아에서 그러한 폭력으로 인해 희생당하는 여성은 물론이고 여러 소수자들을 문제 삼으면서, 이들이 비폭력적 연대를 통해 타자의 윤리를 살리는 윤리적 주체로 거듭남을 다루고 있다. 김인숙의 「바다와 나비」는 과거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였고, 세계화 담론이 지배하는 2000년대에는 아들을 ‘세계인’으로 만들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온 여성 인물 ‘나’를 화자로 내세워, 지배담론의 여러 형태의 폭력을 비판하면서,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는 반성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여성 문제를 다루는 소설의 지평을 심화, 확장하고 있다. Since the 2000s, in Korean novels, women do not stop at living a life of sacrifice, but move toward becoming an ethical subject by confronting various violence in the dominant discourse. Considering this, this paper judged that the novel’s direction is to take a three-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contradictions of masculinity and patriarchy, as well as to fiercely seek female figures as ethical subjects aiming for “ethics to save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works. Lee Hye-kyung’s “And, Festival” primarily criticizes patriarchy and male-centeredism by putting “I,” who was sexually assaulted at the age of 12, as the speaker. Furthermore, this work emphasizes that all violence is homogeneous by linking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from Korea to Indonesia, such as violence from corrupt governments, power groups, and dissidents. In addition, while taking issue with not only women victims of such violence in Korea and Asia, but also with several minorities, it deals with them being reborn as ethical subjects that revive the ethics of others through non-violent solidarity. Kim In-sook’s “Sea and Butterfly” features a female figure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past, and moved to China in the 2000s when globalization discourse dominated, she to make her son a “world person.” It is deepening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novels dealing with women’s issues by criticizing various forms of violence in the dominant discourses and showing the process of being reborn as a reflective subject aiming for a human life.

      • KCI등재

        한강의 「아기부처」에 나타난 혐오의 폭력성과 공거의 윤리

        주지영(Joo, Jiyou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6

        This articl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n the Han Gang’s novel “Baby Buddha” and the aspect of ethics. This article used Judith Butlers concept of ethical subject. The ethical subject reflects on his/her own condition of establishment, universal norms, and aims to cohabitation with others while being aware of the subjects physical vulnerability and other natural inertia. In Chapter 2, focusing on his burn scar, the process in which the abnormalities is differentiated by universal norms, becomes an object of disgust, and only the normal is composed of the subject was examined. In Chapter 3, the process of eradicating otherness by the self-identical subject “I” and suppressing others was examined in the order of “sympathy,” “hate,” and “favor and punishment.”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I” realizes the subjects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e with others through reflective reflection, recognizes otherness, and aims to cohabitation with others.

      •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위한 컨텐츠 주제어 군집 방법

        김준우(Junwoo Kim),주지영(Jiyoung Joo),홍성용(Seongyong Hong),이문용(Munyong Yi),윤완철(Wancheol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C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들은 온라인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들을 이용하게 된다. 온라인 상의 컨텐츠들은 일반적으로 그 양이 방대하여 사용자가 체계적으로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각 컨텐츠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키워드나 태그 등의 메타데이터를 함께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컨텐츠에 부여된 주제어들에 군집 분석을 적용하여 분류 체계를 생성하고, 이를 효과적인 학습 관리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학습 컨텐츠의 경우, 지나치게 많은 키워드에 연관된 것보다는 소수의 키워드에 연관된 것일수록 초기 학습에 유용하다는 가정 하에 기존의 분석 방법을 수정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