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렌드로네이트를 격주 투여한 한국 폐경 여성에서의 골밀도 및 골표지자의 변화

        주일우,오한진 대한골다공증학회 2007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5 No.2

        Objectives: The daily administration of 5mg of alendronate has shown a preventive effect on bone loss. The results of a pilot study in Japan indicated that a 2.5mg daily dose of alendronate is as effective as a 10 mg dose in increa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with 36 weeks of treatment. For the convenience of patients and cost-effectiveness, increasing the dosing interval should be also considered. Therefore, we designed a comparative study to measure the changes of bone mineral density as well as the bone turnover marker between weekly administration of alendronate 70mg and bi- weekly administration of alendronate 70mg among a postmenopausal population in the one of the Women’s Health Care Centers in Seoul,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T scores<-2.0 who were treated with alendronate 70mg weekly or biweekly for 2 years and compared the change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 Results: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by 4.3%,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was also increased by 2.3% in the alendronate 70mg weekly group. However, in the group administered 70mg of alendronate bi-weekly,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as decreased by 0.3%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by 1.0%. Comparing the changes of bone mineral density in each group, we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lumbar and femoral density in the alendronate 70mg weekly group the alendronate 70mg bi-weekly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Bone turnover markers, such as alkaline phosphatase and deoxypyridinolone, showed a decreasing pattern, but this als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bi-weekly administration of 70mg alendronate has a preventive effect on bone loss, but below the physiologic decreasing rate of bone mass. 목적: 알렌드로네이트 5mg 매일 투여는 이미 골밀도 소실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일본의 pilot study에서는 더욱 소용량인 2.5mg도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었다. 반면 환자의 복용 편의성과 비용 효과적 측면에서 볼 때, 투약량 뿐만 아니라 투약 간격을 늘리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저자들은 알렌드로네이트 70mg을 격주 투여하였을 경우의 골밀도와 골표지자 변화를 기존의 방식인 매주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는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골밀도 T score가 <-2.0인 한국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2년간 알렌드로네이트 70mg을 격주 투여하였을 경우의 골밀도와 골표지자 변화를 매주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알렌드로네이트 매주 투여군에서 요추 골밀도의 경우 4.3% 증가하였으며 대퇴부 골밀도의 경우 2.3% 증가하였다. 반면 격주 투여한 군에서는 요추 골밀도는 0.3% 감소, 대퇴부 골밀도의 경우 1.0% 증가하였다. 골표지자의 경우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의 연구에서 알렌드로네이트 70mg 격주 투여의 경우 골밀도 예방의 효과가 뚜렷하지는 않더라도 골량의 생리적 감소 수준 이하로의 유지는 가능할 것으로 유추된다. 향후 이를 뒷받침하는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Sam-Chil-Geun (Panax Notoginseng) on the Serum Lipid Levels and Inflammations of Rats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Poloxamer-407

        주일우,류재환,오한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0 Yonsei medical journal Vol.51 No.4

        Purpose: Atherosclerosis i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ive deposition of lipids and inflammatory process. We attempted to develop a chemically-induced hyperlipidemic mice model, using poloxamer-407 and evaluated the lipid lower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P. notoginseng compared with that of atorvastatin, an antihyperlipidemic drug. Materials and Methods: Male Wistar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group without any intervention (normal),poloxamer 500 mg/kg i.p. (P), poloxamer plus atorvastatin 1.34 mg/kg p.o. (P +ST), poloxamer plus P. notoginseng 40 mg/kg p.o. (P + NG40), and poloxamer plus P. notoginseng 100 mg/kg p.o. (P + NG100). After 3 weeks, we measured serum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LDL), high-density lipoprotein (HDL), triglyceride, interleukin (IL)-1, tumor necrosis factor (TNF)-α levels, and reports of cyclo-oxygenase (COX)-2 &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appearances in each group. Results: After 3 weeks, serum 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 + ST and P + NG40 groups. Significant decrease of LDL level was only noted in the P + ST group. P + ST, P + NG40, and P + NG100 also had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levels; however, P + ST and P + NG40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triglyceride lowering effect. The results of IL-1 and TNF-α and the appearance of COX-2 and ICAM were statistically not different in each group. Conclusion: P. notoginseng 40 mg/kg showed significantly lowering effects o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 suggest a well-designed study showing the effects of regulating blood lipids with combined administration of P. notoginseng and statin-drug.

      • KCI등재
      • 한국 여성에서의 연령대에 따른 비타민 D 및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분석

        주일우,이민우,김휴경,오한진 대한골다공증학회 2007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5 No.1

        Objectives: Definition of vitamin D insufficiency in Asian people c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Caucasian because of the racial differences. We planned to analyze serum 25(OH)D and PTH levels according to age in Korean women who visited one of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Method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to four groups, 40~49, 50~59, 60~69, 70~79 by ages and evaluated age, BMI, Lipid profile, bone turnover markers, serum 25(OH)D, and PTH in each groups. Results: Serum 25(OH)D level was increased from 40~49 to 70~79, especially between 60~69 and 70~79 groups by statistical significances. And the results showed decline of serum PTH from 40~49 to 70~79, especially among 50~59, 60~69, and 70-79 groups by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70-80 percentile of the subjects, serum 25(OH)D level pointed at 24ng/mL. Conclusion: The average serum 25(OH)D level in Korean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Caucasian people. And higher dose of vitamin D could be considered to the elderly Korean women. 목적: 비타민 D의 부족을 정의하는 기준치는 인종적 차이를 고려할 때 아시아인과 서양인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를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치를 확인하는 한편 연령대에 따른 비타민 D와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대상자들은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등의 네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연령대별 연령, 체질량지수, 기본적인 혈액검사, 골교체율 표지자, 혈청 25(OH)D,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여 연령대에 따른 혈청 25(OH)D, 부갑상선 호르몬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혈청 25(OH)D 수치의 경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며 이는 50~59세와 60~69세 사이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PTH 수치의 경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이는 50~59세, 60~69세, 70~79세 사이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70~80 percentile에 해당하는 혈청 25(OH)D의 수치는 24ng/mL에 해당하며 이를 연령대별로 분류하여 산출하면,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등의 네 군에서 각각 28ng/mL, 26ng/mL, 20ng/mL, 19ng/mL에 해당되었다. 결론: 우리나라 여성의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서양인의 수치에 비해 낮은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결핍 상태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 D 섭취에 대한 교육과 권장이 더욱 강조된다.

      • KCI등재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골밀도 변화 및 관련 인자 분석

        주일우,김경수,박열수,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7 No.6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은 급격한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골다공증 및 지질 대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폐경 후 10년 이상이 지난 60세 이상의 여성에서는 일련의 과정으로 골밀도의 감소가 예상된다. 체중의 증가는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노인 여성에서의 비만의 정도와 골밀도의 관계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리나라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소재 일개대학병원 갱년기 클리닉에 내원한 6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네 군으로 구분하여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들의 체격과 지질대사 및 골대사를 측정하였으며, 여성호르몬에 의해 음성되먹이기 반응이 나타나는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과: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 요추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골대사 지표인 총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과 deoxypyridinoline은 체질량 지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SH의 혈중 농도는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P<0.0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후의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골밀도와 체질량 지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P<0.001) 나타냈으며, 총 alkaline phosphatase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P<0.001) 보였다. 그러나 FSH는 골밀도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단계 다중 회귀분석 결과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와 alkaline phosphatase가 골밀도의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 혈중의 FSH 농도가 낮으며 골밀도가 높게 나타나 이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확한 이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체지방과 FSH, 골대사 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MI-relate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Predictors of Bone LossIl Woo Joo, M.D., Yeol Soo Park, M.D., Kyung Soo Kim, M.D.*, Han Jin Oh, M.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