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ultural and Social Milieu of Christian Education: Variability in Confucian Culture

        주인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7 기독교교육논총 Vol.15 No.-

        In this paper,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n society will be considered the significant factor of Christian education. As addressed and researched by multiple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selfhood and culture should be regarded as a more creativ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environment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of self development and culture in Christian education, Thomas Groome and Carol Lakey Hess are presented here. Subsequently, a brief review of Confucian concept of selfhood, as well as the Christian and Korean Confucian culture follows. Thereafter, from Michael Cole’s Cultural Psychology, dynamics of culture and educational activity of self–development are suggested as the possible mode of environ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유교 문화를 기독교의 중요한 요인, 특히 총체적 기독교 교 육 환경을 조성하는 삶의 방식으로 보고 있다. 다수의 기독교 교육학자들의 의견과 같 이 기독교 교육환경 안에서 자아 확립과 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보다 더 창조적이고 긍정적 관계를 탐색해나가는 작업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작업의 일부분으로서 이 논 문은 자아와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토마스 그룸과 캐롤 레이키 헤스와의 대화를 시도 하면서 유교의 자아론과 한국유교와 기독교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러한 후에, 결론 적인 제안으로 마이클 콜의 문화 심리학으로부터 문화와 자아발달의 교육적 활동의 역동성을 기독교 교육 환경의 가능한 방식으로 제안하고 있다. 제롬 브루너와 러시안 학파의 문화 심리학자들과 같이 마이클 콜은 일상의 삶 속에 서 일어나는 경험과 활동에 주시하면서 문화 심리학의 중재적 역할에 관심을 두고 있 다. 즉, 인간이 그의 여러 가지 활동과 경험의 주체적 역할을 중요시 하지만 그러한 경 험과 활동은 둘러싸인 문화, 즉“거미줄,”“조리법,”혹은“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비유 되는 문화와의 역동적인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그 활동의 현장성 (locality)이 만들어 내는 변화를 수용하여 원래의 원칙과 방법을 변형해 나가는 가에대한 결정이 한국적 유교 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 나간다는 것을주장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pistemic-Ontic Circle for Self-Actualization in Faith Community

        주인옥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7

        This paper begins by expressing concern with repressed self under the teaching of theology of 'sin as pride' followed by self-sacrificing love and commitment, especially for women. The need for self- development for young people growing in faith community is urgent, as does for adults as well, because their individual identity decides the identity of faith community. The two issue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Since the tradition of Christian faith has taught the notion of sin as pride, and the grace of God through Christ, feminist theologians and educators noticed the teaching of church about sin and grace does not equally apply to all members of community. Acknowledging the phenomenon of epistemic-ontic circle of living church, first, I will address the need for self-actualization and its meaning in faith community, second, introduce Schleiermacher's theological anthropology focusing on the idea of cooperativeness of sin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doctrine of sin as pride, and finally, how the reconstructed understanding of sin is helpful for healthier self-development to strengthen faith community.

      • Does Method Matter? Christian Education in self critical way

        주인옥 한국실천신학회 2006 신학과 실천 Vol.0 No.11

        이 논문은 교육적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학자들을 세 그룹, 즉 사라 리틀과 리차드 오스머, 마리아 해리스와 엘리자베스 무어, 그리고 토마스 그룹으로 나누어서 분석한다. 첫 번째 그룹은 교육에 있어서 보다 인식론적 접근을 하고, 둘째 그룹은 전인적 방법을 말하고, 세 번째 토마스 그룸은 교육에서 프락시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에 있어서 가르침의 목적은 가르치는 내용과 그에 따른 방법을 인도하며 교사의 자세를 결정한다. 토마스 그룸이 말했듯이 인간의 자유가 기독교 종교 교육의 목표라면, 그리고 그 목표가 하나님 나라의 부름에 응답하는 믿음에 따라 살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하면, 그 부름에 가장 신실하게 사는 방법은 우리의 기독교 전통을 우리의 현장과 역사에 비판적으로 적용하며 사는 것이다. 교육 방법과 내용을 깊이 연관시키려는 시도는 교육가들로 하여금 교육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 기독교 종교 교육에 있어서 현재 우리의 삶과 기독교 전통의 연대성을 갖게 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ree groups of educational methods, that is, Sara Little and Richard Osmer, Maria Harris and Elizabeth Moore, and Thomas Groome, reviewing their different thoughts about teaching and its relation to the content. For each group, Little and Osmer approach with more cognitive perspective in teaching, Harris and Moore in a holistic way, and Groom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xis in education.In teaching or education, the purpose of teaching guides its content and methods influencing the teacher’s attitude. As Groome claims, if human freedom is another immediate purpose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nd human freedom is an unavoidable outcome when we have lived Christian faith responding to the Kingdom of God, the most faithful way to live in the Kingdom is to make our Christian tradition available to free us by critically adopting the tradition in our context and history. The attempt to interrelat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 helps educators view education as a whole picture not as a part of other disciplines, which will lead to critical engagement of context and tradition in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육목회에서 공동체의 역할 - 20세기 종교교육에서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주인옥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3

        이 논문은 믿음 공동체의 신앙 교육적인 기능에 대하여 20세기 미국의 종교교육학자들의 교육 이론을 네 시대로 구분하여 고찰함으로 미래의 믿음 공동체의 참된 교육 기능의 방향을 제시한다. 고찰의 대상은 1900-1920년대의 George Albert Coe, 1940-1950년대의 Shelton Smith, 1960-1970년대의: Ellis Nelson, 그리고 1980-2000대에 각기 다른 접근을 시도한 네 사람의 종교 교육학자들, Daniel Schipani, Robert Golman, Maria Harris와 Gabriel Moran, 그리고 Elizabeth Caldwell이다. Coe는 당시 미국의 진보주의의 영향 아래 교육이 교회 갱신의 강력한 수단이며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믿고 예배 공동체에 임재하시는 하나님과 그 하나님을 믿는 [형제들]의 친교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강조했다. Shelton Smith는2차 대전 후 진보주의와 자유주의 신학에서 나온 종교교육과 구분하여 신조된 기독교 교육이라는 개념을 정립시켰다. Nelson은 사건(events)을 통한 교회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인간은 자신이 속한 문화의 영향 속에서 자신의 신념을 형성하게 되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믿음 공동체는 가치와 사랑과 헌신을 형성하여 그리스도인들이 믿음과 삶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어서 20세기말의 다양하여진 종교교육의 형태는 믿음 공동체에 풍부한 자원이 되는 동시에 장애가 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20세기 초부터 말까지 신앙공동체의 교육적 기능은 방법과 접근을 달리하면서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다. 이 연구에 기초하여 필자는 21세기의 믿음 공동체의 신앙 교육의 기능이 다양한 사회의 요구와 문화를 반영하며 그 문화를 읽을 줄 아는 회중과 지도자가 협력하여 교회의 참된 교육 기능을 높여 가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회 안에 개인의 가치와 믿음과 헌신을 형성하여주는 참된 믿음의 문화를 형성해가는 믿음 공동체의 신앙교육적인 힘과 역할을 강조한다. In this paper,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searched through the survey of the role of community and its variations in 20th Religious education. I presuppose that the community contributes to religious educ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Depending on the era in which theories were developed and on the educational theorists, the role of community is seen in various ways. Mainly, I will examine the major time periods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produced these theories. These time periods are 1900-1920, 1940-1950,1960-1970, and 1980-2000 in U.S.A. Coe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church as educator: A church makes its members more than the members make the church. To Coe Christian worship is thus realization of the democracy of God-realization by imagination, by fresh insight, by rectification of purposes, by the coincident consciousness of God and our fellows. Worship ha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growing social intelligence and sense of purpose. Smith, with the rise of Neo-Orthodoxy and its theologians, Karl Barth, Paul Tillich, and Reinhold Niebuhr led Christian educators to seek distinctiveness from progressivism and initiate 'Christian education. For Nelson, the church or faith community exists in the reality of human existence, culture, and human beings. The formative power of the congregation's life of faith stresses that revelation discloses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 and allows a person to transcend the self and to stand outside the culture. In the last two decades of 20th century, the influx of has becomes a source of community and obstacle to the community of faith. The fact that role of the community of faith in Christian education has expanded tells us that we need to know the dynamics of the faith community. Through the survey of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it is realized that the faith communi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orming the culture of faith community that teaches and learns with compassion and partnership in the way that Jesus educated people. It is also a process of becoming whole with God's promise for freedom.

      • KCI등재

        사철쑥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특성과 주성분 변화

        주인옥,유동현,송영은,장익,류정,최소라 韓國藥用作物學會 200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5 No.3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in Artemisia capillaris. Flower buds farmed on July 30 and flowers were all open on August 30 and seeds were mature in September, As the growth by harvesting time was the best on August 30 so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the highest. Especially, in this time, plants had no leaves and fresh weight was investigated as 243.7 g composed of 109.6 g capitulum and 134.1 g stem. Scoparone content, a major component, was the highest as 6.50 mg/g DW in capitulum on August 30. Also capillarisin appeared in both leaf and capitulum except stem and capitulum was shown the most capillarisin content as 1.65 mg/g DW on July 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