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읽기⋅쓰기 통합 지도 수업 모형 연구

        주민재(Joo Minjae),문상미(Moon Sangmi)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45 No.-

        본고는 그간 국내외에서 논의된 영역 간 통합 지도에 관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7차 국어과 교육과정 8학년 자서전 읽기와 쓰기 부분을 대상으로 읽기⋅쓰기 통합 지도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동안 읽기⋅쓰기 통합 지도를 시도한 수업 모형 방안들은 통합의 원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단순히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을 선조적으로 조합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읽기⋅쓰기 통합 지도는 기본적으로 읽기와 쓰기가 의미 구성 행위라는 인지 과정의 동일성을 통합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장르라는 공유 조건을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 토대로 확보해야만 실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본고의 읽기⋅쓰기 통합 지도 수업 모형은 교류 이론(transactional theory)을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가 서로를 조건화-재조건화 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영향을 끼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킴으로써 학습효과의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수업 모형은 모두 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자서전이란 장르를 기반으로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이 단계별로 번갈아가며 진행되는데 읽기와 쓰기는 단계가 진행되면서 상대 영역을 조건화−재조건화하게 되고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학습과 피드백의 과정을 반복하여 거치게 된다. 또한 설계된 수업 모형의 실제 운영을 통해 학습자는 장르 인식 및 필자⋅독자 입장의 이해 그리고 이와 연계된 읽기⋅쓰기 능력 향상의 최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paper have design about a reading-writing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that it have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about auto-biography for 8th grade of 7th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model is designed by theories of integrated instruction have argu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Most of reading-writing integrated instruction models, at the while, have connected simply reading and writing by linear style. But these models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inciple of integration. Reading-writing integrated instruction, I think, basically, can be operated by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reading and writing have equality of cognition process that these make a meaning practice by understanding about Genre of common condition. Reading-writing integrated instruction is design for the purpose of accomplish studying effectiveness through making condition and recondition mutually stand on the basis of transactional theory. This model organized 6 steps, it is processed reading and writing by turn on each step. While steps are processed, reading and writing practice make condition and recondition to opponent's domain, and then learner take process of feedback and learning repeatedly. The learner can be understood about recognition of Genre and understanding of writer/ reader, expected maximizing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through operating of this model.

      • KCI등재후보

        첨삭지도와 수정의 관점에서 고찰한 대학 글쓰기 연구 경향

        주민재(Joo, minjae) 국어문학회 2014 국어문학 Vol.56 No.-

        본고는 그간 국내에서 연구된 첨삭지도와 수정에 관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대학 글쓰기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연구 방향을 설정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그동안 연구자들 사이에서 혼재되어 쓰였던 첨삭과 첨삭지도 개념을 구별하고 아울러 첨삭지도와 수정하기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및 첨삭에 관한 연구가 수정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첨삭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첨삭지도의 방법과 사례 연구,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 반응 양상 및 요구 분석 연구, 첨삭지도 원리와 개념 규정 연구, 첨삭지도의 표준화 연구 등 네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 반응 양상 및 요구 분석 등의 일부 연구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개인적 교수 경험이나 이론적 논의에 그치고 있어 실증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야만 보다 실제 교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성과들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많지 않은 수정 연구에서는 수정 연구의 연원을 살펴보고 국내 연구의 경향 분석을 통해 연구의 특성들을 고찰하였다. 첨삭연구 및 수정 연구의 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의식을 토대로 한 향후 지향해야할 연구 방향 및 내용은 첨삭, 첨삭지도, 수정의 개념과 범주 그리고 관계 설정에 대한 보다 세밀한 논의, 실증적인 연구 방법의 활용을 통해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성 높이기, 그리고 양적 방법 일변도의 연구 경향을 극복하기 위한 질적 방법을 활용하는 연구의 활성화로 정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sis research tendency of college writing through theses about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and revision and discuss researcher have to carry out studies in fu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by doubt about phenomenon conceptual confusion between writing correction and revision or between writing correction and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conceptual distinguish between writing correction and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analysis interrelation between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and revision. The domestic studies about writing correction fall into four categories, cases of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student’s reaction & demand analysis, principles and concept of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and standardization. But almost studies only deal with theoretical discussion, therefore, it is need to be adopt empirical studies for application result of studies to real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revision studies, it looked at origin of revision studies and considered characters through analysis of tendency about domestic studies. The findings of analysis studies about correction method of teaching and revision show that detailed discussion about categories, concept and setting of relation, application of empirical studies methods and vital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체제 분석

        주민재(Joo, Minjae),연지연(Yeon, Jiyeon),이현주(Lee, Hyunju)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현황과 교수자 및 행정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교육 방법과 교수학습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참여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의사소통교육 현황에 대한 기초설문조사와 교수자,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 및 담당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은 대부분 학령기 학습자 대상으로 운영되는 의사소통교육체제를 준용하고 있었다. 일부 대학에서만 의사소통 교과목을 미래융합대학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운용하고 있었다. 각 대학의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성인학습자 의사소통교육은 학부 교육과정과의 차별화 미흡과 특성화 부족으로 요약된다.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성인학습자 대상의 별도 지원체계 역시 미흡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학사 운영 등으로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형태로 의사소통교육이 운영되고 있으며 성인학습자 맞춤형 커리큘럼 및 콘텐츠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성인학습자 요구 맞춤형 운영이 가능한 트랙제 교육과정과 성인학습자의 수준 및 경험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의사소통교육을 전담하는 전임교원의 확보가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o secure data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adult learner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basic survey on the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ed by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in Korea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 in char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ost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of each university applied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operated for school-age learners mutatis mutandis. According to an in-depth inter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ion at each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was insufficiently differentiated from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lacked specialization. In addition, a separate support system for adult learner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nsufficien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was being operated in a form that did not meet the actual needs of learners due to academic operation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at curriculum and contents customized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t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track-based curriculum that can be operated tailored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that consider the level and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each university proposes as a core task to secure a full-time faculty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 KCI등재

        플랫폼은 인지자본주의를 어떻게 강화하는가

        주민재(Minjae Joo) 한국리터러시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3

        『인공지능시대 인간의 조건』은 인공지능을 사이버네틱스와 인지자본주의의 연관성 측면에서 디지털 플랫폼을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결합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개체화와 분할체화의 순환적 인과관계의 측면 그리고 기계적 예속과 사회적 복종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지자본주의에 대해 논의를 전개한다. 인지자본주의와 그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기반으로 전개하는 방식은 인공지능이 인간 존재와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인공지능시대 인간의 조건』을 인지자본주의, 플랫폼, 분할된 개체라는 세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본질과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을 인식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대응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자동화와 피드백을 통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독립적인 자동화기계의 기초를 제시한 사이버네틱스는 인공지능의 형태로 진화하여 인간과 기계 사이의 통제 주도권을 기존의 인간에서 기계로 이동시켰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상적 활용과 인공지능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데이터, 정보, 지식 사이의 상호전환의 속도를 높이면서 전환의 자동화를 촉진한다. 플랫폼은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근원으로 보는 인지자본주의의 근간이 되었다. 인지자본주의에서는 플랫폼이 산업자본주의의 공장을 대신함으로써 노동자의 노동 역시 대부분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체제를 구축한다. 인지자본주의의 기반은 플랫폼과 플랫폼을 통해 생성된 빅데이터 그리고 빅데이터를 의미있는 정보로 조합하여 구체적인 이윤으로 탈바꿈하도록 유도하는 알고리즘이 구축한 메커니즘이다. 플랫폼은 특정한 목적에 따라 국가장치가 접속하는 것을 수용함으로써 국가권력과의 공존을 모색한다. 기계적 예속과 사회적 복종의 혼합태를 기반으로 구축된 지배체제는 사람들의 계급의식이나 비판적 사회의식이 다른 형태로 변화하도록 만든다. 이전처럼 자본과 노동의 대립이나 모순이 아니라 생활세계에서 형성되는 소비자 의식과 결합된 주체성의 형태로 띠게 된다. 플랫폼은 개인의 행위를 수치로 환원하는 분할체화와 분할체화된 수치들의 데이터세트를 다시 개인에게 되돌리는 조각주체화를 반복하면서 개인의 사고와 행위를 자동화한다. 플랫폼 기업들이 높은 수익을 거두면서 성장할 수 있는 원인은 개인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생산되고 공유되는 다양한 콘텐츠와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축적에 있지만 플랫폼 기업은 이를 최대한 은폐한다. 플랫폼이 노동자에 대한 책임을 최소화하여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면서도 이용자의 활동결과물에 대한 데이터는 무제한으로 수취하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플랫폼 지대’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기업은 토지자본을 통한 지대와 산업자본을 이용한 이윤을 모두 축적하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실제화한 디지털 지주이다. 결국 인지자본주의는 플랫폼 자본주의로서 플랫폼 지대라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통해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들이 플랫폼 밖으로 탈주를 감행하고 분할체에서 실체적인 몸으로의 회복을 시도할 의지를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지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자본과 노동의 재배치와 축적의 일반적 조건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밀하면서도 비판적인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기가 도래했다는 인식의 확대가 시급하다.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zes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bination of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cybernetics and cognitive capitalism.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iscusses cognitive capitalism, focusing on the keywords of mechanical subjugation and social subordination and the cycl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tion and disintegration occurr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Cognitive capitalism and the way it develops based on its critical perspective helps to form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human existence and life. In this paper,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centered on the three keywords of cognitive capitalism, platform, and divided entity, and the way to recognize the essence of the AI era and the mechanis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as the human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it. Discuss how to respond. Cybernetics, which presented the basis for independent automated machines that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automation and feedback, evolved in the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hifted control initiative between humans and machines from humans to machines. The daily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evitably speed up the inter-transformation between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promote automation of the transition. Platforms have become the backbone of cognitive capitalism, which sees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source of new wealth. In industrial capitalism, if factories that produce products were the main foundation of the economy, in cognitive capitalism, platforms take their place,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most of the labor of workers is also performed through platforms. The foundation of cognitive capitalism is a mechanism built by platforms, big data generated through platforms, and algorithms that combine big data into meaningful information to transform it into concrete profits. The platform seeks coexistence with state power by accommodating access by state devices for specific purposes. The ruling system built on the basis of a mixture of mechanical subjugation and social submission causes people's class consciousness or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to change into other forms. It is not the confrontation or contradiction between capital and labor as before, but takes the form of subjectivity combined with consumer consciousness formed in the life world. The platform automates individual thoughts and actions while repeating divisionalization, which reduces individual actions to numerical values, and fragmentation, which returns the data set of divided figures back to the individual. The reason why platform companies can grow with high profits lies in the accumulation of various contents produced and shar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individuals and the data generated in this process, but platform companies conceal this as much as possible. It is because the platform plays the role of ‘platform rent price’ that it can build a dual accumulation system that receives unlimited data on the results of users’ activities while maximizing their own profits by minimizing responsibility for workers. A platform company is a digital landlord that realizes a dual accumulation system that accumulates both rent profits through land capital and profits using industrial capital. In the end, cognitive capitalism as platform capitalism is maintained through the dual accumulation system of platform rent price. Therefore, a more specific discussion is needed on how to activate the will of individuals to escape from the platform and attempt to recover from a divided body to a substantial body.

      • KCI등재

        디지털 문식 환경의 쓰기 양상 변화 요인 고찰

        주민재 ( Joo Minjae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d digital writing environmen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latform ’s behavioral inducement and the recognition of the platform user who eliminated the interactivity in the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writing method related to writing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and text production, the platform ’s behavioral inducement, and the platform users’ awareness and writing style in terms of interactivity. Certain writing methods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most fundamental areas that make writing possible, such as technical and material attributes, an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which are formed by mutual influence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digital writing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have a certain influence on the writing method.. In digital writing, technology that has limited influence in traditional writing is the bigges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nature of text, my composition of text and media usage.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use a specific platform depending on how the platform understands and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and the digital writing method and the utilization method can be changed. Interactivity is a key characteristic in digital writing, bu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confirmed that not all of us want to interact, and some perceive it a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writ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digital writing is not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or networking based on this suggests that a more complex approach to interactivity is needed and related research should be done urg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