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 본 향사례에 대한 연구

        주동진 ( Dongjin Joo ),이창수 ( Changsu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향사례의 의의를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향사례에 대한 문헌연구 방법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선왕조실록』의 향사례 기사는 총 33편이다. 「성종실록」 12편, 「중종실록」 6편 그리고 「인조실록」, 「숙종실록」,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이 각각 1편이다. 2) 조선에서 향사례가 가지는 의의는 7가지로 요약된다. 향사례는 ① 백성을 예로 교화하는 것이다. ② 선량한 풍속(옛 전통)을 지향한다. ③ 해마다 3월 3일과 9월 9일에 개성부와 주부군현에서 행하였다. ④ 참여자격은 효제충신하고 예를 좋아하며 난잡하지 아니한 자이다. ⑤ 공자를 숭상하여 유자가 행해야할 공부이다. 그리고 ⑥ 활쏘기는 남자가 하는 것이며, 사람의 덕을 살필 수 있다. ⑦ 음사는 농부의 수고를 위로하고 연장자를 존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조선이 왜, 향사례에 대한 집착을 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해 주는 증명이 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Hyangsarye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ry which was registered on the UNESCO. The research method that was used was literature review about Hyangsary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1) Hyangsarye revealed thirty three chapter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ry. Twelve chapters Annals of King Seongjone, six chapters Anals of King Jungjong, one chapter Annals of King Injo, Sukjong, Youngjo and Jungjo. 2) Hyangsarye had seven meanings. ① Reform the people. ② Pursue of old tradition. ③ Host events on March third, and September 9th every year. ④ Participants who wer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⑤ Study Confucius and practiced Confucianism. ⑥ Man only allowed. ⑦ Respect elder and consolation effort of farmers. These results were evidence why Joseon Dynasty was so obsessed about Hyangsarye.

      • KCI등재

        유가(儒家)의 스포츠축제: 조선(朝鮮)의 대사례(大射禮)

        주동진 ( Dongjin Joo ),정찬수 ( Chansoo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한국은 활쏘기를 잘하는 나라이다. 이것은 현재, 올림픽대회에서 양궁(洋弓) 성적이 증명한다. 이러한 이유에는 역사적 배경이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국가가 활쏘기를 장려하였기 때문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직접 주관한 활쏘기축제가 있었다. 이것은 대사례(大射禮)이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대사례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례는 총 8회를 실시하였다. 둘째, 대사례(Daesarye)는 공자(孔子), 즉 유교적(儒敎的)인 의식(儀式)으로 활쏘기행사(射禮)였다. 셋째, 이 행사는 왕과 신하의 화합과 예절을 위한 국가적 축제(祝祭)였다. 한편, 유학자(儒學者)들은 활쏘기는 덕(德)을 볼 수 있다(觀德)고 하였다. 따라서 조선의 모든 사람들은 활쏘기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 행사의 숨은 목적은 왕권강화(王權强化)와 군신(君臣) 사이의 예절(禮節, 秩序)을 위한 행사였다. South Korea is good at Archerry. This is currently evidenced by archery at the Olympic Games. This reason has a historical background. It was because the state encouraged archery during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archery festival hosted by the king himself. This is Daesarye (大射禮, Great Archery Ceremony). This study is about Daesary from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esarye conducted a total of eight sessions. Second, Daesarye was an Archery ceremony, a Confucian ritual held in Confucius. Third, the event was a national festival for the harmony and etiquette of kings and officials. Meanwhile, Confucian scholars said that archery's behavior could be seen as virtual (德). Therefore, the people of Joseon highly appreciated archery. However, the hidden purpose of the event wa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to maintain good manners with his officials.

      • KCI등재

        ≪일성록(日省錄)≫의 향사례(鄕射禮) 연구

        주동진(Joo Dongjin),정연택(Jeong Yeontaek),이승우(Lee Seungwoo)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왕의 일기, ≪日省錄≫은 우리나라 역사서로서 국보이며,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大射禮와 鄕射禮라는 조선의 활쏘기축제가 기록되어 있다. 왕이 직접 주관한 활쏘기축제는 大射禮이고, 지방관이 주관한 것은 鄕射禮이다. 大射禮와 鄕射禮는 조선의 통치이념과 군신의 예의 그리고 전통문화의 계승과 대동단결을 종용한 儒家의 遺風으로써의 활쏘기이벤트였다. 따라서 ≪日省錄≫은 전승스포츠인 우리 활 문화를 연구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史料이다. 이 연구는 ≪日省錄≫을 중심으로 鄕射禮를 연구한 문헌연구이다. 지금까지 ≪日省錄≫을 통한 鄕射禮에 대한 연구가 1편도 없었다는 측면과 왕이 생각한 鄕射禮에 대한 견해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가 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의 왕들은 鄕射禮를 大射禮와 같이 그 의의가 크므로 항상 거행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보았다. 이는 ‘조선은 孔子를 숭상하는 유학의 나라’이며 鄕射禮는 大射禮와 같이 유가의 유풍으로써 전통의례이기 때문이다. 한편 鄕射禮는 大射禮와 같이 농사의 豐凶에 의해 좌우되었다. 즉, 大射禮든 鄕射禮든 ‘백성이 먼저 배불리 먹고 난 다음’에 시행하여야 한다고 ≪日省錄≫은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大射禮와 달리 鄕射禮는 놀이위주로 전향되기도 하여 그 의미가 희석되고 폐단으로 치닫게 된다. 조선말에 이르러 새로운 문물의 도입 등과 함께 전통사회의 질서체계가 무너지게 되자 수많은 유학자들은 鄕射禮를 바르게 실행할 것을 간언하였다. 그들은 국가의 존속과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전통 유학의 바른 계승과 발전이라고 믿고 있었다.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주장한 鄕射禮의 부활은 이러한 의미에서 전통사회의 유지와 발전 그리고 혼란한 사회를 바로잡는 하나의 대책으로 보았던 것이다. Ilseoongnok(Records of Daily Reflections ; 日省錄), the king"s diary, is a national treasure as a historical book of Korea and is listed as a UNESCO-designated World Heritage Site. Here, Joseon"s Archery festivals called Daesarye and Hyangsarye are recorded. The Archery Festival organized by the king is Daesarye, and the archery event organized by Countryside Leader is Hyangsarye. Daesarye and Hyangsarye were events of Joseon"s ruling ideology, courtesy of King and his servants,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onciliation of great unity. Therefore, Ilseoongnok is a historical source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studying our Archery culture, a traditional sport.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that studied Hyangsarye through Ilseoongn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a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yangsarye through Ilseoongnok until now, and second, to find an opinion on Hyangsarye that the king thou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kings of Joseon considered Hyangsarye natural to be held all the time because it was of great significance like Daesarye. This is because Joseon is a country of confucianism that honors Confucius, and Hyangsarye is a traditional ritual as a custom of confucianism like Daesarye. On the other hand, Hyangsarye, like Daesarye, was influenced by the good and bad harvests of farming. In other words, Ilseoongnok records that Daesarye and Hyangsarye should be implemented after the people are full first. However, over the years, unlike Daesarye, Hyangsarye turned to play, diluting its meaning and turning into a negative effec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order system of traditional society collaps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cultures, numerous Confucian scholars advised Hyangsarye to be held. They believed that it was the ‘right success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s a way to maintain the state"s survival and social order. In this sense, the revival of Hyangsarye, claim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viewed as a counterplan to maintain and develop traditional society and correct the confused society.

      • KCI등재

        바른 자세 걷기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과 낙상 예방에 미치는 영향

        이창수 ( Changsu Lee ),주동진 ( Dongjin J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바른 자세 걷기 운동이 인지기능 변화와 낙상 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12주, 연구참여자는 43명(실험군 20명, 대조군 23명)으로 구성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 한국판 플러턴 어드밴스드 균형척도를 활용하였고, SPSS-PC 통계프로그램(version 25.0)을 이용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균형성, 악력, 유연성, 순발력 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가 나타났다. 대조군은 실험 전ㆍ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바른 자세 걷기 운동이 실험군에서는 인지기능의 향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인지기능의 감소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는 균형성 향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균형성 향상 또는 감소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바른 자세 걷기가 낙상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바른 자세 걷기와 2중 과제를 통한 인지기능 향상과 낙상예방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collect posture walking on cognitive ability and fall in mild cognitive impairments with older adul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 people (experiential group 20, control group 23) and did 12 week good posture walking.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applied demographic information,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This study was utilized by SPSS-PC statistical program (version 25.0) to analyze data. Research finding that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 balance, grasping power, flexibility and quick adaptation. However,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 a cognitive ability and fall prevention score, but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 fall prevention score. This study was concluded that walking with good posture will be helpful to prevent fall and memory loss. Further research can be conducted double assignment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above these measurement.

      • KCI등재

        무용교육자의 교수가치관 탐색

        박한솔 ( Hansol Park ),주동진 ( Dongjin Joo ),변인숙 ( Ihnsook By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연구는 무용교육자의 교수가치관을 탐색하여 예비 무용교육자의 교육철학을 정립하고, 학습자에게 교육하기 위한 합리적인 학습과정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목적 달성을 위해 교수가치관을 신체성, 인지력, 정서관 등으로 설정하여 탐색하였고, 무용교육자의 신체적 교수가치관, 인지적 교수가치관, 정서적 교수가치관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인문학 연구로써 문헌연구이다. 무용교육자의 교수가치관에 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가 갖추어야 할 신체성의 형성을 위해서는 무용교육자가 우선적으로 신체법형과 신체기능 요소에 관한 전문적인 교수가치관을 형성하고, 무용감상 및 평가의 미적 시각성을 익혀야 한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인지력 형성을 위해서는 무용교육자가 무용교육의 전문성을 파악하고 무용교육의 심층적인 기본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셋째, 무용전공자가 갖추어야 할 정서관의 형성을 위해서는 감성교육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품성과 건전한 태도배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는 교육자로서의 사명감과 책임감을 포함한 교육철학적 사고를 갖춘 무용교육자와 그에 따른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thinking of dance education that prospective dance instructors must have by exploring their teaching value and to build students’ desired learning process. To do so, this study set the teaching values of dance instructors as corporeality,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ity, identified the awareness of dance instructors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as well as explored a formation plan.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as a humanities study. First, to develop corporeality, dance instructors must have teaching values on physical changes and functions as well as need aesthetic visuals to appreciate and evaluate dance. Second, dance instructors must have more professionality in education to build their cognitive ability and need to acquire basic knowledge in dance education Third, emotional and sensitivity training are both required for dance instructors to develop emotionality and teach students to have the desired character and attitude as a human being.

      • KCI등재

        노인의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

        이창수 ( Changsu Lee ),주동진 ( Dongjin J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운동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하여 인구통계학적인 속성도 활용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미국 중서부 지역 5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정도에 대한 분석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변인과 신체활동의 정도, 그리고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레저 활동 집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일상생활, 그리고 직업에 대한 신체활동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나이와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는 상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수준과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심리적, 그리고 지각적인 변인을 배제한 연구 결과의 도출이므로, 추후 연구는 이를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is relationship using various demographic dimension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0 years of age and older, who currently live in the Midwest, USA. One-way ANOVA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Multiple Regression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positively related with leisure activity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by habitual and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ge and exercise self-efficacy. The conclusions indicate that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elf-efficacy, and thes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impact on older adults’ cognitive perspectives.

      • KCI등재

        노르딕워킹이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체력 및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창수 ( Changsu Lee ),주동진 ( Dongjin Jo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1

        노인의 요통 발병률과 유병률은 젊은 층에 비해 높으며, 약 20%의 노인들이 요통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요통의 발병률과 유병률이 높다. 요통의 치료와 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약물의 투여와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운동이다. 노르딕워킹은 폴을 이용, 저차원(low-tech)적이며,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노르딕워킹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통증의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65세 이상 80세 미만 중 최근 6개월 동안 요통을 경험하고 있고, 운동 경험이 없는 대상자 30명(실험군 14명, 대조군 16명)을 선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배근력, 유연성, 균형성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시각적 통증 사상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배근력, 유연성, 균형성이 증가하였으며, 통증 정도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조군은 배근력, 유연성, 균형성은 감소되었으나 통증 정도는 실험 전·후와 비교하면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노르딕워킹은 요부의 근력 향상을 위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현장에서 요통환자를 위한 최적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적립되지 못했다. 하지만, 노르딕워킹이 재활운동 프로그램 중 하나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의료비 지출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노르딕워킹 프로그램이 저비용으로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적게 받으며, 요통의 완화에 효과가 있으므로,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을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case of older adults, Chronic low back pain is a higher problem compared to the young generation. Approximately 20% of older adults have a Chronic low back pain. Especially, elderly women have more experienced than elderly men. Best way to reduce lower back pain is an exercise because it is less-expensive, low-tech, and easy to learn compared to surgery and treatment of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ordic Walking and pain. Participants were total 34 female older women at the age 65 over who were suffering Chronic low back pa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gularly participating Nordic Walking for 10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doing normal life without exercise. Both groups were tested back muscle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and visual analog pain scale. After 10 weeks of Nordic walking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heir back muscle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and decreased visual analog pain scale. From the results, Nordic walking program will be us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back muscle strength for older adults who have severe lower back pain. Furthermore, Older adults` health care costs have risen sharply in the past several decades. Nordic walking program is not only a low-cost, don`t much care about time and space, but also effect reducing low back pain. Therefore, Nordic walking program is another counter plan for reducing government medical cost.

      • KCI등재

        간이식 환자의 퇴원 준비도와 자가간호와의 관계: 종단적 연구

        박선복(SunBok Park),최지연(JiYeon Choi),주동진(DongJin Joo),추상희(SangHui Chu) 한국기초간호학회 202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and self-care changes in an early stage of liver transplantation after discharge. Methods: Data of 75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ithin one year of surgery from a transplantation center from May 2019 to May 2020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ir readiness for discharge was measured before discharge. Self-car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as evaluated at one week, one month, and three months of discharge at outpatient visits. Linear mixed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Results: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caregiver was a spouse (p=.027), with fewer post-transplantation days (p=.027), absence of acute rejection (p=.004), or high self-efficacy (p<.001). As a result of th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the higher the discharge readiness score, the higher the self-care score (β=0.29, p<.001). However, after three months, their self-care had decreased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compared to one week after discharge. Conclusion: Improving the readiness before discharge is essential to enhance self-care. Also, active intervention at 3 months of discharge should be performed to check and promote their long-term self-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