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정보 분석 -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

        조희경(Hee Kyoung Cho),이기춘(Kee Choon Rhee) 대한가정학회 2000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asymmetric Consumer Information on Electronic Commerce. For this purpose, 93 intemet shopping-malls was analyzed into three contents of consumer inform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 KCI등재

        영국의저작인격권에 관한 소고

        조희경 ( Cho Hee-kyo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2

        최근 저작 인격권으로 인해 야구장에서 야구 경기를 할 때 팬들이 응원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되었다는 기사가 저녁뉴스방송에 보도되었다. 저작권이라는 분야만도 생소했던 것이 얼마 되지 않았는데 요즘은 더욱 추상적인 분야, 즉 저작인격권이라는 저작의 권리가 특히요즘온라인환경의주류인다양한종류의사용자제작콘텐츠 ( "UCC")에대한까다로운질문을제기한다. 저작인격권이란 일신전속적인 권리로서 작가의 권리를 경제적 권리와는 별개로서 보호해 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 제도에 대하여 과연 디지털 환경과 UCC시대에 맞는 제도인지에 대하여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인격권은 칸트와 헤겔의 개인의 자유주의적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권리로서 특히 대륙법계 국가에서 발전되어 온 제도이며 영미법 국가에서는 결국 국제조약의 의무에 따라 이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보호방법은 대륙법계 국가의 제도와 차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대륙법게 국가인 우리나라는 애초부터 저작인격권을 강도높게 보호해 왔지만 최근 들어 특히 미국의 저작권법의 영향을 받으며 부분적으로 기존의 저작인격권 조항과 새롭게 개정된 영미법식의 조항들이 장차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한다. 어떤법조항의해석을고려할때, 역사적기원을 되돌아보고다른국가에서유사한 내용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비교하는것이항상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저작인격권은 대륙법계 국가에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사실 18세기와 19세기 영국에서도 저작인격권과 유사한 권리를 보호하는 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논문은영국의 저작인격권법의 역사적 맥락과 현재의 제도를 검토하고 그럴 우리나라의 저작인격권법과 비교하여 우리가 앞으로 저작인격권에 관련된 내부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할 지 살펴본다 Moral rights are traditionally thought to have stemmed from the personhood theory originating from the philosophies of Kant and Hegel. Indeed, moral rights are considered to be the singl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copyright regimes of common law countries and civil law countries. Korea as a civil law country has had from the very beginning of its copyright law history a strong set of moral rights protecting the author. However, what is becoming more evident is the potential for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moral rights regime under the Korean copyright law and the more recently transplanted features of what could be characterised as common law copyright legal provisions. These include a new set of rules for dealing with the ownership of copyright in works made for hire that are stipulated to belong to the employer and not the employee, and the introduction of a fair use exception a la United States copyright law. This problem does not arise to the same extent because of the very limited way in which moral rights are protected in the US. England, however, has enacted a broader moral rights regime and at the same time have limited their applicatio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the type of work. The English model has been widely adopted in many other common law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and New Zealand.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regime of moral rights in the United Kingdom and engages in a brie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pective moral rights regime in the United Kingdom and Korea in order to glean ways in which the potential for conflict between the civil law traditions of the existing Korean moral rights regime may be resolved with the common law provisions recently adopted by Korean copyright law.

      • KCI등재

        Case note: NOVARTIS AG V UNION OF INDIA AND OTHERS - An Illustration of TRIPS Flexibilities and Access to Medicine

        Cho, Hee Kyoung(조희경)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4 국제경제법연구 Vol.12 No.2

        TRIPS협정이 요구하는 의약품 특허권 보호의 최소 수준을 준수하는 것과 세계의 빈곤층에게 필수 의약품 조달을 보장하는 문제는 아직 평형을 찾지 못하고 있는 문제이다. TRIPS협정에는 이와 관련하여 조문 자체가 유연성을 보장하고 있고 또한 이 유연성은 TRIPS협정과 공공보건에 관련된 도하 선언문에 의해서 재확인이 되고 인정을 받았지만 아직도 많은 개도국들은 이 유연성 조항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으로는 TRIPS협정 자체가 공공보건과 상반한다는 견해가 있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볼 수 없다. 특히 TRIPS협정에 규정되어 있는 유연성 조항들과 도하 선언문을 잘 활용한다면 협정이 요구하는 국제 특허보호 기준에 준수하면서 공공보건의 보장에 대한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 인도최고법원이 내린 노바티스 제약회사와 관련된 판례는 이 문제를 직접 심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인도의 특허법이 어떻게 이 TRIPS협정에 있는 유연성을 해석하고 이용하여 의약품 특허권 보호가 공공보건을 보장하는 것에 대한 부작용이나 원하지 않는 결과를 기피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본문은 이 판례를 자세히 분석하여 인도특허법의 특성을 관찰하며 그 법이 TRIPS협정의 유연성 조항을 어떻게 적용했으며 또한 법원은 이 규정들을 어떻게 해석하였는지를 고찰한다. 인도 대법원의 판결문에 관련하여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 판결이 미국의 통상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결론에서 살펴보며 개발도상국들이 지식재산권 보호와 공공보건 등의 사이에서 평형을 이루려면 어떠한 과제가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The problem of how to balance patent holders rights for the pharmaceutical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the minimum standards of protection as required by the TRIPS Agreement on the one hand and how to ensure that access to essential medicine for the world’s poor is secured on the other hand is an ongoing challenge that has yet to achieve a proper equilibrium. Despite the flexibilities that are afforded within the text of the TRIPS Agreement, and notwithstanding the Doha Declaration on TRIPS Agreement and Public Health, most developing countries, for whatever reason, have so far failed to take advantage or make proper use of these flexibilities. The recent Indian Supreme Court judgment of Novartis AG v Union of India and Others in this regard provides a good example of how the minimum standards set down by the TRIPS Agreement can be interpreted in order to provide greater flexibilities to lawmakers and courts in developing countries to apply the standards of protection required under TRIPS Agreement and to adapt these in their domestic laws in order to ensure that they have the most appropriat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regime best suited to the local conditions and industries while complying with the international norms.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judgment by the Indian Supreme Court in the case of Novartis AG v Union of India and Othe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TRIPS Agreement might be interpreted in order to facilitate access to essential medicine and at the same time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providing adequate protection for intellectual property to encourage innovation and investment in new technologies.

      • KCI등재

        국제인권규약상의 사생활 보호의 권리에 대한 고찰 - UN자유권조약 개인통보문을 중심으로

        조희경 ( Hee Kyoung Ch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3

        The Korean Constitution recognises the right to privacy as one of basic human rights and provides protection for the right. However, there is no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privacy.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when it comes to the question of breach of right to privacy is exactly what constitutes the private sphere and its boundaries. This paper examines concept and the limits of privacy in light of the provisions that protect privacy under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individual communications made to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thereunder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national standard in assessing the concept of privacy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전자상거래 시장의 소비자정보 분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근용이성과 충분성을 중심으로-

        조희경 ( Hee Kyoung Cho ),이기춘 ( Kee Choon Rhee ) 한국소비자학회 2003 소비자학연구 Vol.14 No.2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onsumer information and to explore asymmetric information o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information classified into mall information, goods information, transaction information is analyzed by accessibility and sufficienc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accessibility and sufficiency of consumer information. 2)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 in the levels of information sufficiency and accessibility in User Interface(UI). 3) to identify the cross-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ufficiency and accessibility and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 in it. 4)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commerce through the cross-relationship analysi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both reviewing literature and related laws and investigating information classified into mall information, goods information, transaction information on electronic commerce. Data are collected from 546 respondents who purchased electronics in internet shopping mall. 82 internet shopping mall used by respondents is analyzed for consumer information accessibility.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Electronic commerce still remains asymmetric market instead of their potential advantage. Consumers have difficult in approaching consumer information on Electronic commerce. Even though they acquired information in UI, they were not satisfied. 2) Information asymmetry is accused by lack of goods information. Most consumer informations in UI consist of mall and transaction information. So they are imperfect for consumers. 3) To enhance the legal efficiency, tightening execution of the law, reorganizing of the related laws are in need. 4) The quality of consumer information must be enhance o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s have difficult in decision making for reasonable purchase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To improve information process require increasing the level of information quality.

      • KCI등재

        일반논문 : 프랑스의 2011년 개정된 중재법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한 소고

        조희경 ( Hee Kyoung Ch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2

        프랑스는 자타가 공인하는 국제중재 강국 중 하나이다. 하지만 프랑스가 원래부터 중재 제도를 우호적인 국가는 아니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근대법의 원천인 나폴레옹 법전 (Napoleonic Code)는 오히려 중재에 대하여 많은 제한을 두어 중재합의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을 용이하지 않도록 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서야 이러한 중재에 대한 제한적인 제도가 점진적으로 완화되어 1980년과 1981년에 걸쳐서 제정된 민사소송법의 중재법은 특히 국제중재에 대하여 당사자 자치 원칙을 상당 부분 인정해 주며 프랑스 중재법은 중재우호적으로 변화하였다. 최근 2011년 새롭게 개정된 신민사소송법의 중재법은 이러한 중재에 대한 철학과 원칙을 이어가 국제중재법을 독립적인 국제법질서의 일부라고 보는 관점이 더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당사자 자치성과 중재의 독립성을 확고하게 인정해주며 중재판정에 대한 승인과 집행 절차를 한층 더 원활하게 하였다. 비록 프랑스가 대륙법 국가로서 판례법의 구속성을 법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발전에는 프랑스 최고법원인 파기원(Cour de cassation)과 파리항소심법원(Cour d’appel de Paris)의 중재우호적인 판결과 그의 축적된 내공, 또 이를 입법화하여 구속성을 강화한 프랑스 법무부의 공로도 한 몫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현재 홍콩, 싱가폴 심지어 브라질 등 새로운 국제상사의 중심지가 형성되고 있는 마당에 프랑스가 이를 견제하고 본국의 국제상사에 대한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려는 노력이라고도 볼 수 있다. 사실 국제상업회의소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의 본부와 국재상업회의소의 중재법원 파리에 위치해 있는 만큼 상대적 우위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다방면의 지속적인 혁신적 중재친화적 변화야말로 아마도 프랑스가 국제상사중재의 선두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 아닌지 추측한다. 본 논문은 2011년 개정된 프랑스 중재법의 개요와 아울러 신민사소송법의 중재법의 개정 조항중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들, 예를 들어 지원판사 (juge d’appui) 제도의 도입, 임시적 처분에 대한 관할권, 중재판정 효과, 승인과 집행 절차의 간소화 등, 에 대하여 소개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중재법의 개정 과정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를 고찰한다. France is one of the leading nations when it comes to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ts arbitration laws are reputed to be one of the most arbitration-friendly set of laws around the world. However, it was not always the case that France was an arbitration-friendly place. The Napoleonic Code, the origin of modern French law (and indeed the original model of much of the civil law countries` codes), in fact made it very difficult to use arbitration as a dispute resolution method. It was not until after the mid-twentieth century that France eased its restrictions on arbitration and its laws became progressively more arbitration-friend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1980 and 1981 decrees that overhauled its arbitration laws contained in its civil procedure code, France really took centre-stage as one of the most pro-arbitration countri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arbitration law is it unshakeable recognition of party autonomy and the separability of arbitration agreement. This all stems from a certain world view of the French courts that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forms an independent international legal order separate and separable from domestic laws. This is possibly the most progressive view on arbitration and one that may be unparalleled. The new 2011 decree revising the French arbitration law continues in this tradition and strengthens further the autonomy of arbitration legal order. This paper provi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French arbitration law and introduces certain innovative and characteristic changes brought to it by the new 2011 decree,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the judge d`appui system, the ability to grant interim relief, the effect of an arbitral award and simplification of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procedure of an arbitral award, among other things. It also examines what the new French arbitration law can teach Korea as it currently considers amending its arbitration law in order to develop in the spher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 KCI등재

        A Review of the Recent Reforms to the German Competition Law

        Hee-Kyoung Cho(조희경)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1 No.-

        세계 경제의 꾸준한 통합과 디지털화에 의하여 다국적 기업들의 규모와 시장지배력이 국내시장에서만이 아니라 국경을 넘어서 까지 지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서 독점을 규제하고 공정거래를 도모하는 각국의 당국들은 이 순간 여태까지 그 어느때보다 더 어려운 새로운 유형들의 쟁점들과 대면하고 있다 국경을 초월하는 합병 국내시장에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축적, 그리고 다국적 기업, 특히 디지털경제의 핵심기업들 대비 소비자 또는 당국의 정보의 비대칭은 그 어느 때 보다 더 심각하다. 독일은 최근 자국 경쟁법에 제 아홉 번째 개정을 구현하였다. 이 새로운 개정안은 기존의 독일 경쟁법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그 중 한가지는 유럽연합의 손해배상지침(EU Damages Directive)을 독일 국내법에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유럽연합 손해배상 지침은 기업 등의 독점 금지법 위반행위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당사자들이 좀 더 쉽게 가해자들로부터 민사소송을 통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반독점법 침해행위에 대하여 성공적인 민사 소송율이 극히 낮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관련사건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이다. 피해자가 가해자를 상대로 소송을 하려면 관련 사건에 대한 정보와 증거물이 필요한데 이러한 물증 또는 증인은 주로 가해자의 통제 안에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소송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새롭게 개정된 법은 이러한 정보를 개인 피해자가 좀 더 쉽게 수집 또는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새 개정법은 특정 법률 사항에 대하여 법적 추정을 설정하여 입증에 대한 책임을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에게 전가하여 피해자가 조금 더 유리한 입장에서 소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아마 새 개정법에 의해 도입되는 가장 중요한 변화는 디지털시대의 경제시장, 네트워크 효과와 그리고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구글 또는 페이스북 과 같은 글로벌 인터넷 거대기업들이 가져오는 새로운 문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시장의 정의, 합병 규제 등에 대한 요건들을 재정비하는 것 일 것이다. 법은 항상 기술발달에 뒤쳐지기 떄문에 이번에 새롭게 개정된 독일의 경쟁법이 과연 세계화와 정보화의 발전에 의해 발행하는 여러가지 새로운 경쟁법적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한국의 규제 환경과 시장구조는 독일의 그것들과 매우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역시 유사한 문제들에 당면해 있기 때문에 최근 독일의 경쟁법 개정안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없지 않을 것이다. As the global economy becomes ever more integrated and digitized and multinationals grow ever more in size and market power not only domestically but across national boundaries, competition authorities everywhere find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deal with the new types of challenges posed by transborder mergers, accumulation of market power by corporations that are not physically present inside the national jurisdictions, and the information asymmetry experienced both by consumers and regulators alike, particularly in cases of the data-rich e-commerce companies that form the backbone of the new digital economy. Germany recently implemented the ninth amendment to its competition law. The new amendment brings a number of changes to the existing German competition law. One of the changes is to implement the EU Damages Directive which purports to make it easier for victims of antitrust law breaches to claim compensation from the offenders for the harm that they suffered. A main obstacle against a successful civil action for antitrust law offence is the information asymmetry that exists between the claimant and the defendant particularly in a jurisdiction whose civil procedure does not provide for a process such as discovery. To address this imbalance, the new amendment purports to facilitate access to information and evidence held by the offenders or regulators for victims of antitrust law breach. Furthermore, the new law establishes certain legal presumptions that advantage the claimants reversing the onus of proof. But perhaps the most significant change brought by the new law is a new definition of market and conditions for merger control in an attempt to address the latest problems posed by the digital economy, network effect and the access to vast amounts of data held by global Internet giants such as Google and Facebook. Law is always playing catch-up to technology and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se latest changes to the German competition law will be sufficient to meet the fresh challenges thrown up by the evolution of globalization and digitalization. Although the Korean regulatory environment and the competition landscape are quite different to those of Germany, these are nevertheless common issues also shared by the Korean competition authority and it is hoped that this review may provide some insight into how similar problems may be addressed in Korea.

      • KCI등재

        미중 1단계 무역합의 후 중국 특허법 제4차 개정에 관한 연구

        조희경 ( Cho Hee-kyo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4

        중국 전국인민대표재회 상무위원회는 2020년 10월 17일 제4차 중국 전리법 개정안을 통과하였다. 중국의 전리법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등 상표를 제외한 주요 산업재산의 보호에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지식재산 법령이다. 이번 개정안은 중국전리법의 제4차 개정안으로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되었는데 이를 미중 무역분쟁 해결책으로 체결된 1단계 무역합의문에 의한 결과물로 해석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사실은 중국전리법 제4차 개정에 대한 논의가 무역 분쟁 전부터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되어 왔다. 전리법 개정안의 내용에 1단계 합의문이 중국으로부터 요구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제4차 개정안은 벌써 2012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2018년에 개정안 초안이 완성되었고 그 동안 3차례 심의가 있었다. 제4차 개정안은 특허권자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고, 특허 실시와 응용을 촉진하여 특허발명이 더 원활하게 사용되도록 하며, 지식재산권 등록 제도를 개선하여 권리자의 보호가 더 용이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중국이 더 이상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세계의 공장으로 머물러있지 않고 기술개발과 혁신으로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을 얻겠다는 전략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중국에는 이미 전기차, 전기배터리, 디지털플랫폼, 핀텍(FinTech), 인공지능, 나노기술 등 4차산업 주요 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혁신적 기업들이 선진국의 기업들과 경쟁을 하고 있다. 중국내에서도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를 초과하는 유니콘 회사들의 43%가 베이징 지역에 집중해 있는데 이로 따라 베이징자치구역에서는 자발적으로 현행법보다 더 강화된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계획을 발표한 사례가 있다. 특히 지식재산권 침해로 인한 손해에 대한 지나치게 낮은 배상금, 기나긴 분쟁 해결기간, 원고에게 불리한 과중한 권리침해 입증 책임 및 과다한 소송 및 집행 비용 등이 실질적인 권리의 집행과 보호에 있어서 걸림돌이 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베이징 자치구역 당국의 의지가 담긴 개선 내용이었다. 이렇게 중국 자체에서도 모색한 변화가 미중무역분쟁 1단계 합의문에 의해 가속을 붙이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번 전리법 제4차 개정안은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추진된 법개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우선 미중무역분쟁 1단계 합의문의 지식재산 관련 부분을 검토하고, 가장 최근 개정된 중국의 전리법의 내용에서 특허, 실용신안 및 디자인의 보호가 어떻게 강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논의는 되었지만 제4차 개정안에 반영되지 않은 내용들을 요약한 후, 앞으로의 대응 전략과 향후 중국의 동향에 대해 전망해보며 맺는다. On October 17, 2020,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China passed the 4th amendment to the Chinese Patent Law. China's patent law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major commercial properties, excluding trademarks, such as patents, utility models, and designs. This amendment is the 4th amendment to the Chinese Patent Law and came into effect on June 1, 2021. It can be seen that this revised patent law is often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first phase of the trade agreement concluded as a solution to the US-China trade dispute.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amendment include the parts requested by China in the first phase of the agreement, the fourth amendment has already been discussed since 2012, and the draft amendment was completed in 2018, and there have been three deliberation during that time. The amendments generally include content to strengthen protection of patent holders' rights, facilitate patent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so that patented inventions can be used more smoothly, and improve intellectual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to make it easier to protect rights holders.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the Chinese patent law was in progress even before the trade dispute between the US and China.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China's strategy to no longer remain as the world's factory based on cheap labor, but to obtain a new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other reason for China's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is that China has already developed countries with innovative companies that have cutting-edge technologies in key areas of the 4th industry, such as electric vehicles, electric batteries, digital platforms, FinTec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anotechnology. competing with companies of Even in China, 43% of unicorn companies with corporate values of more than $1 billion are concentrated in Beijing. As a result, Beijing Autonomous Region has voluntarily announced plan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tronger than the current law. In particular, facing the fact that excessively low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ong dispute resolution periods, heavy burden of proof against the plaintiff, and excessive litigation and enforcement costs, etc., are obstacles in the actual execution and protection of rights. It was an improvement content that contained the will of the Beijing Autonomous Region authoritie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solve problems and improve the system. It can be said that these changes sought by China itself were accelerated by the first phase of the US-China trade dispute agreement. China's patent law protects patents, utility models, and designs, which are major industrial properties among intellectual property.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most recently revised Chinese patent law, analyzes how the protection of patents, utility models, and designs has been strengthened.

      • KCI등재
      • KCI등재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 연 -주택 구입 예정자를 중심으로-

        구혜경 ( Hye Gyoung Koo ),조희경 ( Hee Kyoung Ch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2

        소비자의 관점에서 아파트는 자산 가치와 사용가치 모두를 제공하는 가장 비싼 내구재이자 상품과 서비스의 총체이다. 최근 수도권의 구매수요 감소, 미분양의 증가 등 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주택시장은 현행 획일적인 공급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주거가치에 기반을 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을 통해 공급의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침체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접근 외에 주택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모색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향후 5년 이내 아파트 구매의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상황을 가정함으로써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선호와 요구가 소비자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파트는 개인과 가족의 삶의 터전이므로 아파트 특성뿐 아니라 가족의 여가활동, 인테리어, 웰니스에 대한 태도, 주거가치 등 라이프스타일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요구에 부합하는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척도를 검증하였으며, 5년 이내 아파트를 구입할 계획이 있는 서울시 아파트 거주자 1,700명을 대상으로 주거가치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실속ㆍ합리형, 보편적 중산층, 품질ㆍ안전 지향형,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미래의 아파트 구매상황을 가정할 때 선호하는 아파트 형태와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할 주거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미래 주거선호를 보면,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를 가장 선호했으며 스포츠/레저시설 있는 아파트, 수도권 외곽 세컨드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구매 시 가장 선호하는 주거특성은 입지특성이고 다음이 브랜드특성, 내부특성, 단지특성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아파트의 형태와 주거특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속ㆍ합리형은 미래 아파트 유형별 선호도가 낮았고, 보편적 중산층은 세컨드아파트, 스포츠/레져, 보안시설 적용 아파트를 선호했으나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품질ㆍ안전형은 레저/스포츠시설, 세컨드하우스를 선호했고,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경우는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 세컨드하우스, 스포츠ㆍ레저시설 아파트, 단 독형 아파트 등에 대한 선호가 높아 여유로운 삶을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아파트는 다양한 삶의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되고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택업체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활자로서의 소비자를 연구하는데 다양한 개념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partment house is the totality of the most expensive durable product and service that provides both asset values and usage values. Recently, the apartment house market is depressed because of decrease in purchase demand and increasing in unsold apartment houses. Accordingly, it is time for future housing market to diversify its supply by developing products reflected consumers’ needs for various lifestyle types based upon their housing values beyond the current uniform frame of supply. This is a realm for housing companies in the market, they have to be concerned consumers’ need to apartment house and their lifestyle related with housing to get over housing market depress. To find out more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it is necessary to check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by assuming purchase situations targeting consumers wanting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coming 5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se preferences and requests differ by consumer types. Especially, since an apartment house is the base for an individual and family life, lifestyles such as family pastime activities, interior, attitude towards wellness, housing values and etc along with its featur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classify consumer types and supply them with apartment houses meeting the needs for each type. I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criteria, verified them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s targeting 1,700 apartment house residents in Seoul who intend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5 years. As a result, four types of economicalㆍreasonable, general mid-class, ‘quality and safetyoriented’ and luxuryㆍcomfort were drawn out.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to consider at time to purchase on the condition of future apartment purchase were analyzed to find out housing preferences by lifestyle type. With regard to an overall future housing preference, farming house type where growing vegetables is possible were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ose with sportsㆍleisure facilities, and second houses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rea. Housing features the most preferred at time of purchase are locations followed by brands, interior, and apartment complex.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according to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types. ‘Economical and reasonable type’ had low preference in future apartment types, ‘General mid-class type’ preferred second apartments or those with sports, leisure and safety facilities but not with conspicious features. ‘Quality and safety-oriented type’ preferred those with leisure/sports facilities or second houses, and ‘Luxury and comfort type’ preferred farming type apartment houses where they can grow vegetables, second houses, those with sports/leisure facilities, independent apartments, clearly showing their trend to enjoy leisurely life. Apartments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with various life factors reflected in them. In this light, the this study can provide housing compani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nd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consumers as livers by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indices from consumer``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