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 참여 경험이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Jo, Hye-Yo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참가모집 홍보를 보고 참여한 대상자 중에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10주간 주1회 120분간은 대학생 동료상담훈련을 받았고, 다음날 주1회 60분간은 온라인 상담실습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검증과,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F=13.258, p<.01)과 자기효능감(F=15.565, p<.01)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would effect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en participa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to the peer counseling program training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next day, practiced counseling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ANCOVA. As the participants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rovement on their self-esteem(F=13.258, p<.01) and self-efficacy(F=15.565, p<.01) than those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eer counseling program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it would help improve university freshmen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이희연(HeeYeo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교 아동복지학 전공자 1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95% 신뢰구간 양측검정에서 부트스트랩(bootstrap)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중도탈락의도를 중심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인 문제해결, 진로계획, 목표설정, 정보수집, 자기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동기와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모형을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진로동기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동기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동기중도탈락의도’의 경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의 완전 매개효과임이 밝혀진 결과로 중도탈락의도를 상쇄하기 위해 이들 변인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st-COVID-19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majo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137 child welfare majors at 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wo-sided test was used to determine significa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 between variables centered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COVID-19 stress.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roblem-solving, career planning, goal sett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self-evaluation, and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the sub-factors,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identified as a suitable model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model, the effect of post-COVID-19 stres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while its effects on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not.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otivation but not school drop-out inten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motivation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as significant. Third, although post-COVID-19 stress was not found to affect school drop-out intention directly, it indirectly affected drop-out intention through the path post-COVID-19 stres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motivationschool drop-out inten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and confirms that these variables are important factors of school drop-out intention.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플립러닝 인식과 수준,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오세원(SeWon Oh),박현옥(HyunOk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플립러닝 인식과 수준,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권역 LiFE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A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177명이다. SPSS 23.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22년 8월 부터 11월 까지 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보면, 플립러닝 인식의 학습효과성 인식과 흥미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플립러닝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리더십 발휘,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인식이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수준이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A대학교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인친화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플립러닝을 통한 혁신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 참여형 역량중심의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nd the level of adult learners,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perception. As subjects of the study, we enrolled 177 adult students of University A, which runs the LiFE project in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with SPSS 23.0 and AMOS 22.0. We obtain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ocusing on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perception factor,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iveness in flipped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interest. Leadership of cooperative self-efficacy, opinion exchange, opinion evaluation, and opinion integ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easurement and the structural mod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We established that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Therefore,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where the level of flipped learning affected the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A. In addition,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an adult-friendly curriculum, we propose a plan for student-associated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applying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through flipped learning.

      • KCI등재

        다문화가족 지원과 역차별 이슈 인식 고찰: 취약집단 서비스 담당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조혜영 ( Hye-young J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다문화정책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다문화’ 관련 이슈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이주민 대상 시혜성 담론이 주를 이루었다면 근래에는 역차별과 반다문화 담론이 출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지원과 역차별 논의가 지역 현장에서 어떻게 체감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보다 바람직한 다문화가족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주민 취약집단 지원 서비스를 담당하는 현장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우선, 역차별 현장 체감과 관련해서는 실제적 체감도와 인터넷 담론과의 괴리, 다문화가족의 위기 및 취약성, 다문화가족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여 겪는 어려움, 다문화가족 범주 내의 증가하는 다양성, 다문화가족과 취약집단은 대립관계가 아님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족 지원 개선방안 모색을 위하여 정착 수준에 따른 지원 차별화, 위기·취약 다문화가족 및 사각지대 지원, 선주민 취약집단과 통합적 지원, 단기 이벤트성 행사 지양, 다문화가족의 공동체의식 증진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숙한 다문화사회로의 진행을 위한 다문화정책 개선방향 관련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Although it has passed 10 years since multicultural policy was implemented, the issues related with ‘multiculture’ have been still fluctuating in our society. While the discourse on immigrants was centered around charity in the beginning, issues of reverse discrimination and anti multiculture have emerged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ssues of multi-cultual support and reverse discrimination have been experienced by service experts in the local setting and seek more improved way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For this, I conducted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who have been in charge of service for native disadvantaged people in the local areas. First of all, in terms of experienced reverse discrimination issue, they pointed out the gap between real perception and internet discourse, risk and disadvanta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difficulties not covered by the support law, increasing diversity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category, and non-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ative disadvantaged groups. Next, while delivering services for disadvantaged people,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policy, they suggest differentiated support depending on multicultural families’ settlement stage, enhanced support for at-risk and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at blind spot, inclusive support with native disadvantaged group, reduction of short-term event style supports, and 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ies’ sense of community. Based on such results, I provided some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multicultural policy improvement inducing matur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young),권희경(Kwon, Hee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A대학교 491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몰입(인지, 감성,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습역량(정보구성 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과제난이도선호)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역량이 학습몰입의 인지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습역량이 학습몰입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학습역량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습역량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대학생 학습역량 강화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491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analyzed with SPSS 20.0 and AMOS 18.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learning flow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competence (information composition, resource utilization and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and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co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competence influencing the perception in learning flow.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where learning competence affects the behavior of learning flow.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learning competence on the self-efficacy and the emotion of learning flow h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the parameter self-efficacy on the emotion of learning flow has not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in learning flow.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trengthe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and improve self-efficacy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flow in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