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티븐슨의 『지킬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상한 사건』에 나타난 공포의 감정과 남성 동성애 욕망

        조현준 ( Cho Hyun-jun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1

        이 논문은 19세기 말 영국 소설 『지킬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상한 사건』(1886)에 나타난 공포와 혐오의 양상을 가부장적 남성 지배 사회에서 동성애를 억압하는 이성애 중심주의 정동 정치라는 관점에서 조망했다. 이 소설은 이기심과 쾌락을 타협 없이 추구하는 하이드에게 보인 전문직 남성들의 공포와 혐오뿐 아니라, 동시에 하이드에 대한 남성 동성애 욕망도 보여준다. 지킬, 어터슨, 엔필드, 래니언과 같은 전문 직업인 독신자 남성들은 여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남성 사회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것을 통해 역설적이게도 억압된 남성 동성애 욕망도 소환한다.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의 『벽장의 인식론』(1990)은 18, 19세기 영문학에 나타난 남성 동성사회성을 분석하면서 남성 동성사회성과 동성애 공포증이 이성애에 근간한 가부장제를 유지할 구심점이며, 동성애를 배제하고 억압하라는 위협으로 욕망을 조작하고 폭력을 발생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세지윅의 동성사회성 논의를 바탕으로 이성 중심, 이성애 중심 사회에서 억압된 감정과 동성애 욕망이 공포와 혐오의 방식으로 드러나며, 권력 욕망과 위계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사회적 장치, 즉 정동 정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주장한다. In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1886), Robert Louis Stevenson explores the feelings of fear and disgust aroused by the antagonist Mr. Hyde. The duality of human nature between two separate selves, Henry Jekyll and Edward Hyde, the good and the evil, intelligence and emotion, civilization and instinct, altruism and self-interest, lead the narrator, characters, and even readers to feel fear and disgust at the presence of Mr. Hyde. The fear and disgust, or terror and loathing, are not only responses to imminent danger and something sickening, but political means to strengthen the contemporary heteronomativity in the name of homopanic or homophobia in the male homosocial society. The Epistemology of the Closet(1990) by Eve Kosofsky Sedgwick analyzes the male homosocial bond in 18th and 19th century English literature, asserting male homosociality and homopanic are main power drive to reinforce the patriarchal male domination based on heteronormativity. Particularly in gothic novels and bachelor novels, romantic relations in a love triangle between two men and one woman actually excludes women as a major driver, taking male homosexulity as a significant enabler. This female-excluded male-dominating bond is named as homosociality and represses homophobia. Homophobia, however, as a disguised male homosexuality, in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sheds light on homosocial bonds including homosexuality among single professional bachelors like the scientific scholar Jekyll, the lawyer Utterson, the doctor Lanyon, and the gentleman Enfield, insinuating ambivalent male homoerotic desire within homophobia in the shape of fear and disgust.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비선택적 공거와 주디스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학: 몸의 정치학과 윤리적 의무

        조현준 ( Cho Hyun Jun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미국의 젠더 이론가이자 퀴어 학자로 알려진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의 정치윤리 사상, 그중에서도 `프레카리티` 정치윤리 사상을 한나 아렌트의 `비선택적 공거`와 연결해서 최신저서 『집회의 수행성 이론 소고』(2015)를 중심으로 고찰하려 한다. 점점 제한된 사회적 정치적 불안정에 놓이게 되는 지구상 모든 인구의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려는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 사상은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과 아렌트의 정치철학의 영향을 받아 윤리와 정치를 결합하고자 한다. 우선 인간은 인간의 조건인 이 지구상에서 자신이 누구와 살지를 결정할 수 없다. 이런 `비선택적 공거`는 한나 아렌트가 『인간의 조건』에서 주장하는 `행위`의 근본적 조건인 `다원성`과 관련된다. 인간의 모든 측면이 정치에 어느 정도 관련되지만 다원성은 특히 정치적 삶의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가능조건이라는 면에서 절대 조건이다. 두 번째로 버틀러에게 유대적 선민사상을 부정하는 비선택적 공거는 내가 모르는 다른 여러 타인들과 함께 사는 삶의 가능성, 모두가 근본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상호의존속에 살아가는 보편적 프레카리티의 정치로 연결될 수 있다. 다원적 인간이 지구상에 공존한다는 사실은 인간의 몸이 가지는 근본적 취약성과 상호 의존성에 근간한 `몸의 정치학`을 가능케한다. 불안정성과 구분되는 `프레카리티`는 지구상에 디아스포라처럼 확산되는 다양한 인간의 불확실한 삶에서 평등과 자유를 확장할 수 있기에 윤리적이다. 프레카리티에 입각한 윤리적 의무 개념은 버틀러가 『불확실한 삶』 이후 『갈림길』뿐 아니라 『전쟁의 틀』에서도 강조한 개념이다. 누구든 사회세계의 프레카리티를 피할 수 없으며 그럼 점에서 프레카리티의 보편적 차원이 우리 모두의 비토대적 연결점이 된다. 버틀러가 주장하는 상호의존성은 평등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상호의존성을 양성하기 위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형식의 투쟁이며, 평등을 향한 윤리적 요구는 근거리와 원거리의 가역성에 달려있다. 다시 말해 상호의존성이 비선택적 공거의 특징이라면 원근의 가역성은 프레카리티 시대의 윤리적 의무다. 윤리적 요구는 비선택적 공거, 비의도적 근접성이라는 조건 때문에 모르는 사람의 삶도 존중해야하고, 이런 의무는 정치적 삶의 사회적 조건속에 있으며, 이는 아렌트의 평등 및 레비나스의 노출과 맞닿는다. `비선택적 공거`와 `비의도적 근접성`에 입각한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는 정치와 윤리의 접합이자 보편 주체의 비토대적 연결점이다. This essay examines `precarity politics` by Judith Butler, a well-known gender theorist and queer philosopher, in Notes Towards a Performative Theory of Assembly (2015) focused on concepts as unchosen cohabitation of Hannah Arendt and unwilled proximity of Emmanuel Levinas. Butler`s precarity politics is the condition of our dispossessed political beings with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y that cannot choose with whom we will live on this Earth. Butler`s political ethics is twofold: on one hand, she examines significance of `action`` the most significant vita activa in the public area, and `plurality`` the condition―not only the necessary condition but the possible condition―for a political life suggested by Hannah Arendt in Human Condition; on the other hand, Butler reflects upon global precarity based on a diasporic precarious life in the social world towards freedom and equality. Unchosen cohabitation of plural humans on Earth, and global pervasion of precarity, that indicates “politically induced condition in which certain populations suffer from failing social and economic networks of support and become differentially exposed to injury, violence, and death,” so called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precariousness,” are practical possibilities of ethical and equal cohabitation of different ethnic groups in the social world. Ethical obligations or ethical demand to respond to others` suffering in distance and proximity originated from precarity politics, mentioned in Precarious Life, Parting Ways, and Frames of War, could be non-foundational joint of plural people living together globally. We should presume the `reversibility` of distance and proximity in others` suffering, based on responsiveness and responsibility of others, if we want to stay attuned to the pain of others we never chose to live together. That is the significance of Butler`s `precarity politics` with `ethical obligation` to accept `unchosen plurality` of living population on Earth, and `reversibility between of distance and proximity,` in her `new plural and embodied body politics` or `new corporeal ontology`, through human primary vulnerability, fundamental interdependency, being exposed and responsive to suffering of others.

      • KCI등재후보

        논문 : 주디스 버틀러의 인종의 젠더 계보학과 타자의 정치 윤리학: 넬라 라슨의 『패싱』과 레비나스의 "얼굴"

        조현준 ( Hyun June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가 전기의 젠더 계보학에서 후기의 정치 윤리학으로 관점을 전환하면서, 인종과 젠더의 주제와 타자와 주체의 불확실성이라는 주제를 어떻게 연결하고 또 심화시키고 있는지 그 연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또한 후기의 정치윤리학의 중심이 되는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학을 살펴보고 이것이 전기의 젠더 계보학과 연결되는 접접을 모색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전기의 버틀러가 인종이나 섹슈얼리티라는 주제의 계보학적 성찰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후기의 버틀러는 인간됨, 인간의 살 가능성, 삶을 삶으로 살게 하는 것, 애도 능력 등을 중심 주제로 다루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넬라 라슨의 『패싱』에 나타난 버틀러의 인종과 젠더 문제를 `퀴어`와 `패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패싱이라는 인종적 외양과 본질의 경계 넘기는 퀴어라는 동성애와 이성애의 경계 넘기와 맞닿아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레비나스의 윤리학이 후기 버틀러의 타자, 주권, 민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타자에게 기대어 타자의 관계를 통해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주체의 근본적 취약성과 본질적 의존성을 중심으로 논의코자 했으며, 주체가 근본적으로 타자에 기대어 있다면 주체의 삶이 얼마나 취약하고 불확실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윤리적 가능성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전기 버틀러의 인종과 젠더의 논의는 후기에 이르러 더 폭넓은 현실정치의 윤리적 소명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논의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이던 전기의 논의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 일상화되고 확대되면서 주체안의 타자를 껴안는 폭넓은 윤리의 문제로 나갈 수 있다고 평가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binding point of the early gender genealogy and the later political ethics in Judith Butler`s queer theory. Also it tries to research Butler`s creative reading of Emmanuel Levinas based on the ethics of Other in the form of the `Face`, the central philosophical theme in The Precarious Life. Earlier Butler focused on race and gender in each individual,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assing and queering represented in the characters of Nella Larsen`s Passing, but later she tends to emphasize a dyadic relation, the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subject`s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the substantial dependence on others. To demonstrate the connection and deviation between the earlier gender genealogy and later political ethics, I suggest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subject aspect from individual `I` to dyadic "we", from passing and queering to the face of the Other and the ambivalent paradox of sovereignty and state. First, the interrelation between racial `passing` and sexual `queering` is examined in terms of linguisitic ambivalence and significative ambiguity in Passing. Second, to develop Butler`s extended interests in the real life, the influence of Levinas` ethics on social identities `we` instead of `I` is researched as a possibility of improvisation practice transforming and displacing norms within constraints in terms of Other, the sovereignty, and the state. `The ethics of Other` can result from the grievability, which is the ability of impressionability, the affect related to the subject`s vulnerability, and also close relational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s after 9/11; sovereignty is a complex effect on the human right and a historically contextual product by a particular power regime, not the universal condition of paradoxical laws; the double significance of nation is divided into the internal private psychic state and the external public national apparatus. The demand of ethical vocation and responsibility in her later political ethics can expand the theoretical textual criticism to practical real politics. And `we` instead of `I` as indeterminate identities can result in the open future embracing others in one`s identity and violationality in the given norms by impressionality. Not being me is the condition of my identity and that`s the importance of interdependency in `the ethics of Other` in Butler`s later political theory.

      • KCI등재

        비폭력의 힘과 평등주의 상상계 :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 윤리학

        조현준(Hyun June Cho)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1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은 취약성, 불안정성, 박탈을 겪는 삶의 소수자가 상호의존의 방식으로 연대해 비폭력 저항을 실천하고 인본주의의 보수화를 피하면서 현실의 당면한 정치적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법을 모색한다. 2001년 9/11이후 몸의 취약성과 감정의 관계성에 주목한 버틀러는 인간의 공통 토대를 근본적 취약성에서 찾는다. 취약성은 권리의 차등적 분배인 동시에 그것을 극복할 연대의 가능성, 즉 정치적 행위주체성이자 그에 대응할 윤리적 반응이 될 수 있다. 취약한 몸의 집단이 공공장소에 나타나는 집회의 수행성은 폭력에 비폭력적으로 대항할 힘이자 윤리-정치의 결속점이다. 버틀러는 인간의 몸의 취약성, 서로에게 의존하는 관계성, 탈규범적 사유의 확대, 그리고 폭력에 대항하는 비폭력 주장을 통해 주체의 공격성이 윤리적으로 표명되는 정치 윤리를 세우고자 한다. 『비폭력의 힘』은 평화 시위, 집회, 거리와 네트워크의 연대를 통해 비폭력의 방식으로 폭력에 저항하면서 현실 정치에 토대한 새로운 윤리학을 정립하고자 한다. 비폭력의 힘은 약자를 대변할 힘이고 삶의 가능성, 애도 가능성, 정의 가능성을 높일 사회정치적 힘이다. 비폭력 운동이 근본적 평등주의의 이상에서 작동할 때 살기 좋은 삶과 애도 가능한 죽음에 대한 동등한 주장이자 비폭력 정치와 윤리의 근간이 될 수 있다. 비폭력은 행위 실패가 아니라 삶의 주장이며, 인간의 근본적 공격성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인간 심리 기반에 있는 애증의 양가성으로 발산하는 적극적 힘이다. 비폭력의 정치적 힘은 체계의 폭력이 자기 본질을 감추려는 책략을 드러내고 그것에 맞서는데 있으므로 비폭력 저항은 수동적 침묵이 아니라 저항과 변혁의 능동적 힘이다. 비폭력은 너와 나의 상호의존성에 근간한 ‘평등주의 상상계’를 전제할 때 그 불가능한 상상에서 실천적 동력을 가져올 수 있다. In The Force of Non-violence, Judith Butler seeks to find an ethical solution of non-violent resistance to contemporary political issues of minorities suffering from bodily vulnerability. Vulnerability can be not only the differential political distribution of rights but a basis of common ethical solidarity to overcome it. This essay examines the force of non-violence in the performativity of an assembly in public places, combined with a group of exposed vulnerable bodies against systemic violence. The Force of Non-violence attempts to set up a new ethics of nonviolence and asserts that nonviolence is less a failure of action than a physical assertion of the claims of life, mired in ambivalence and aggression. Nonviolent resistance is not passive silence but an active force of resistance and transformation as the ethico-political bind. A strength of nonviolence emerges from the power of the weak to establish existence, to achieve grievability, and to insist on the possibility of justice. When nonviolent movements work within the ideals of radical egalitarianism, it could be the equal claim to a livable and grievable life. An egalitarian imaginary, which is an imagined, open-ended, tenuous solidarity grounded on human interdependency, insisting that all lives can and must be equally valued, is required for such an ongoing struggle of non-violence. An egalitarian imaginary is unrealistic but a way of bringing another reality into being.

      • KCI등재후보

        주디스 버틀러의 정치 윤리학 -근본적 상호 의존성과 윤리 폭력에 대한 비판-

        조현준 ( Hyun June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최근 그녀의 정치윤리학적 관점을 고찰하기 위해 쓰였다. 『젠더 허물기』, 『불확실한 삶』, <성찰하는 삶>, 『나 자신을 설명하기』, 『전쟁의 틀』, 『갈림길』 등 버틀러의 최근작을 보면 그녀의 정치 윤리학적 관점은 두 가지로 보이는데 하나는 인간의 근본적 상호 의존성을 고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윤리 폭력에 대한 비판의 가능성을 성찰하는 것이다. 이 글은 근본적 취약성에 입각해 인간이 어떻게 타인들에게 의존하는지를 고찰하고 일반적 법이나 집단적 규범이라는 이름의 집단적 에토스가 보편성이라는 이름으로 특수성을 압도할 때 폭력의 세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개별적 정치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나라는 자족적 정체성과는 다른 우리라는 집단적 정체성은 윤리적 반응의 기원이 될 수 있다. 내가 나에 대해 설명할 때 자기동일적 정체성의 실패에서 오는 비평적 성찰은 비폭력적 평화를 향해 윤리적 폭력에 저항할 가능성으로 사려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Judith Butler`s idea of political ethics as it is reflected in her later works such as Undoing Gender(2004), Precarious Life(2004), Giving an Account of Oneself(2005), Frames of War(2010), and Parting Ways(2012). Butler`s idea of political ethics seems twofold: on the one hand, she examines the basic nature of human beings to depend on one another; on the other, she reflects upon the possibility of a critique of ethical violence. This paper studies how human beings in vulnerable situations tend to depend on one another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particular mode of political ethics in the world of violence where the collective ethos embedded in general laws and group norms overpower particularities in the name of universality. The relational or interdependent identity of ``we,`` distinct from a self-sufficient identity of ``I,`` can be the origin of ethical response. When ``I`` construct a discourse on the self, a critical reflection upon a failure of self-centered identification can be regarded as the point of departure for the non-violent possibility of resisting against the ethical violence.

      • KCI등재

        샤를 페로의 「푸른 수염」과 안젤라 카터의 「피로 물든 방」에 나타난 젠더 위계와 성 욕망 비교 : 호기심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조현준 ( Cho Hyun Jun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20세기 영국 작가 안젤라 카터의 단편 소설 「피로 물든 방」에 나타난 젠더 위계 전복과 성욕망 이원론의 해체 양상을 연구했다. 이를 위해 17세기 프랑스 샤를 페로의 동화 「푸른 수염」이 민담 채록 당시 루이 14세 통치하 절대왕정 시대의 남성 중심 가부장 권력을 강화하고 젠더 역할을 고정하기 위해 기존의 구전전승을 어떻게 동화로 변형시켰고, 그것을 카터가 20세기의 영국 여성의 관점에서 어떻게 새롭게 재구성했는지를 비교 분석했다. 일단 페로의 동화에서 여성의 지적욕망인 호기심과 성 욕망인 섹슈얼리티를 억압해 온 양상을 살펴본 뒤, 기존 동화와 달리 카터의 소설이 여성 주체의 성숙과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호기심’과 ‘섹슈얼리티’를 긍정적으로 재조망하고 있는지를 허스토리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했다. The essay aims to examine the subversion of gender hierarchy and the deconstruction of sexuality dichotomy in "Bloody Chamber" written by Angela Carter, a 20th century British woman writer. For the purpose, it compares "Bloody Chamber" with "Bluebeard" by the 17th century French male writer, Charles Perrault, in terms of curiosity and sexuality, that is to say female intellectual and sexual desire. Perrault changed the folklores which had been passed down in oral tradition into more gender specific norms and morals, and he added morality at the end of each story in Histoires et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1697), to strengthen the patriarchal power and gender roles in the 17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Angela Carter, however, reconstructs the story in The Bloody Camber and Other Stories (1979) from the perspective of a heroine girl who grows in the story, and suggests that the forbidden curiosity and hidden sexuality are two main factors to mature from immaturity. Intellectual pursuits and erotic infidelity for young women can provide them with the ways to find their full-blown and independent identities, through reaching self-awakening and establishing their own narratives, 'herstory' over prevalent male-dominating stories, history.

      • KCI등재후보

        내면 감정의 외면 정치학: < 인사이드 아웃 >에 나타난 슬픔의 문화 번역

        조현준 ( June Cho Hyun ) 한국영미문화학회 2016 영미문화 Vol.1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question of practical politics of Sadness in the animated feature Inside Out from the perspective of Judith Butler``s ``ethics of mourning`` and ``cultural translation.`` For this task it investigate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and cultural translations of 5 emotions focused on politics of sadness. ``Cultural translation`` developed by Butler can provide a new angle on ethics of emotions and relational responsibility, and re-articulation of regulatory norms and laws. Ethics of mourning, responsibility,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translation that Judith emphasized in Contingency, Hegemony, and Universality(2000), Undoing Gender(2004), Precarious Life(2004) can be key concepts to delve into the character of Sadness in the current popular animated feature Inside Out. This paper argues that Sadness can shed light on politics of the emotion instead of reason because sadness is pervasive and strong enough to reach irreversiblity of mourning, ethics of empathy, responsible interdependence, and re-articualtion of regulatory norms. And itcan supply the possibility of cultural translation including competing universalities because cultural translation of Sadness to recognize its coexistence in Joy and to avoid abstracting can lead to the necessity of historicizing and contextualizing current issues. Hence, we can find the politics of sadness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translation`` in Inside Out.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상실

        조현준(Hyun June Cho)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2

        This essay aims to explicate the psychological loss in the post-pandemic era in terms of Judith Butler’s melancholia, mourning, and mania. Melancholia is explained in Gender Trouble (1990) as a mechanism in which the abandoned love object constructs a gendered ego of a subject. Later, in The Psychic Life of Power (1997), it is discussed as a social phenomenon of public anger and public resistance to emphasize the performativity of rage and militancy in queer rallies and die in demonstrations against denied public mourning. Since her ethical turn in Undoing Gender (2004) and Precarious Life (2004), Butler focuses more on ‘grievability’ as the equal recognition of loss to resist inequalities in public mourning, as prohibited mourning by dominant prohibitions leads to social and cultural melancholia. The Power of Nonviolence (2020)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mania and critical faculty as the protest against destructive actions directed the world and the self. The equal livability of life and the equal grievability of loss based on radical egalitarianism is a possibility of non-violent political struggle to resist social inequality, through public mourning and solidarity in mania, going towards a universal sensibility for a livable life against violence.

      • KCI등재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여성 유토피아 비전과 철인 통치 국가론

        조현준(Hyun June Cho) 한국비평이론학회 2024 비평과이론 Vol.29 No.1

        이 글은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젠더 유토피아의 비전을 살펴본 뒤, 플라톤의 『국가』의 철인통치 국가에 비유되는 무스타파의 세계국가와 비교해 그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유토피아 논의는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다르게 접근해 왔다. 자유주의 유토피아는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시하는 반면, 사회주의 유토피아는 공동체의 평등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멋진 신세계』는 과학 기술 문명이 발달한 세계국가에서 가부장제를 혁파하고 재생산 노동, 감정 노동, 돌봄 노동을 벗어난 젠더 평등의 유토피아를 그렸지만, 주요 여성 인물들이 고통과 죽음을 겪고 사실상 젠더 위계속에 있다. 따라서 헉슬리의 세계국가는 여성에게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그리지만 정작 작품 속의 주요 여성 인물은 외모로 평가되고 비극적 삶을 산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과도한 국가 규범이 질서를 강제해서 얻어진 유토피아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무스타파의 세계국가는 플라톤의 『국가』에서 그린 이상적 국가론 일부를 구현하고 있는데, 안정을 기반으로 하는 계급사회이고 철학자가 통치하며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두 국가는 유사하다. 그러나 세계국가는 공동체의 안정을 너무 강조해서 플라톤의 국가보다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며, 추구하는 가치가 달라서 정신적 행복보다 감각적 쾌락을 중시한다. 결국 헉슬리의 유토피아는 젠더평등의 이상적 구조를 가졌지만 정작 그 안의 여성은 불행하다는 한계가 있고, 철학자가 통치하는 이상적 국가로서 안정성과 효율성 면에서는 뛰어나지만, 교육방식이 억압적이고 감각적 쾌락만 탐닉하며 사실상 계급과 젠더면에서 불평등하고 자유가 제한된다는 한계를 갖는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vision of gender utopia presented in Aldous Huxley’s Brave New World and explores its utopian possibilities in Mustapha’s World State, which is compared to the philosopher-ruled state in Plato’s Republic. The theme of utopia has been approached differently in liberalism and socialism: liberal utopia prioritizes individual freedom, while socialist utopia emphasizes egalitarian community. The World State in The Brave New World abolishes patriarchy with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depicts a gender utopia without female reproductive labor,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while the actual main woman characters such as Lenina and Linda suffer pain and death. Therefore, Huxley’s World State represents an ideal gender utopia, while the female characters are evaluated based on their appearance and live tragic lives due to excessive national norms enforcing order. On the other hand, Mustapha’s World State embodies some of the ideal state described in Plato’s Republic, and the two polities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class societies based on stability ruled by philosophers. However, the World State places too much emphasis on community stability, suppressing individual freedom, emphasizing sensual pleasure rather than spiritual happiness, Eudaimonia of Plato’s polity. Eventually, Huxley’s utopia has an ideal structure of gender equality, but the women living there are not so happy. Although it is excellent in terms of stability and efficiency as an ideal politeia ruled by a philosopher, it has limitations that its educational method is rather oppressive, only indulges in pleasure, then represents a failed gender utopia in the end.

      • KCI등재

        『빨간 모자』와 성의 정치학: 페로, 그림, 그리고 안젤라 카터

        조현준 ( Hyun June Ch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Little Red Riding Hood”(1697) by Charles Perrault with “Little Red Cap”(1812) by brothers Grimm, and to connect them to “Company of the Wolves” in Bloody Chamber(1979) by Angela Carter, a modern British woman writer who rewrote the “Little Red Riding Hood” from the sexual politics’ point of view. Bruno Bettelheim who adapted ego psychology focuses on developing children’s mature consciousness and civilizing their chaotic pressure of their unconsciousness such as Oedipus Complex boys’ desire of incest and parricide through reading fairy tales, and evaluates the Grimms’ version is better than Perrault’s one. The reason is that the former provides better means for children’s identification than the latter so that it can show a more elated self and proper gender roles in the rebirth of a little girl after death, and also the happy ending despite many problems. However, the proper gender role for girls is mainly based on sexual passivity, virginal chastity and female modesty, so called the ‘normal femininity’ of Sigmund Freud. Angela Carter who accepted Robert Darnton’s historical and contextual view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female subjectivity in rewrit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s. She tries to escape from the binary gender dichotomy (female as a victim/ male as an oppressor) and underscores the real importance of sexuality in the formation of a girl’s ego in the respect of women’s subjectivity. Comparing Bettelheim’s ego formation view on “Little Red Riding Hood” and “Little Red Cap” with Carter’s sexual politics view presented “The Company of the Wolves”, will be an effort to combine the synchronic approach based on general grammar in fairy tales with the diachronic one based on historical and political reality of fairy tale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s on sex, gender, sexuality politics. Fairy tales cannot be a closed one, and should always be open to rewrite for the future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