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teomics-base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in the Adventitious Roots of Panax Ginseng C. A. Mayer related to Energy Metabolism and Antibiotic Effects

        조진형,전영주,이라함,심정현,채정일,Cho, Jin-Hyoung,Jeon, Young-Joo,Lee, Ra-Ham,Shim, Jung-Hyun,Chae, Jung-Il Korean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1

        Korean Panax ginseng C. A. Meyer (P. ginseng) is a well-know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tonic herb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 ginseng have been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Nevertheless, little is known between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active compound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proteomic analysis and protein categor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ponents in the adventitious roots of P. ginseng. Whole protein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adventitious roots of P. ginseng were separated by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2-DE). Among the 1000 spots which were detected by silver staining, 113 spots were labeled and identifi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Our results showed that 40 proteins were identified among the 113 spots, with a hit ratio of 35.3%. A number of proteins identified on the 2-DE gels (30%; 16 spots) were involved in energy metabolism. These proteomic data will be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P. ginseng.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 중금속의 분포와 오염의 역사 추정

        조진형,박남준,김기현,Cho, Jin-Hyung,Park, Nam-Joon,Kim, Kee-Hyu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낙동강 하구역 해저퇴적물중 중금속 함량의 수평적, 수직적 분포와 오염의 진행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9월에 표층 및 주상시료를 채취하였다. 유기물은 갑문의 안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미량금속인 Zn, Cu, Pb는 낙동강의 상류로 갈수록 많은 양이 농축되어 있다. 또한, 상류의 많은 공단에서 유입되는 폐수의 영향 때문에 국지적으로 중금속의 농축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퇴적물의 깊이별로 $^{210}$Pb$_{ex}$를 측정하여 퇴적속도를 추정한 결과, 낙동강 하류의 갑문안쪽 정점(정점 1)의 퇴적속도는 0.34cm/yr이며, 갑문 바깥쪽의 장림 앞(정점 4)에서는 0.25cm/yr로 나타났다. 정점 1에서는 퇴적물 혼합층(sediment mixing layer)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4는 퇴적층 상부 약 3.5cm까지 퇴적물이 혼합되어 있었다. 주상퇴적물 시료에서 오염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정점 1에서 많은 부분이 유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Cu는 1920년대부터 점차 퇴적층에 농축되기 시작하여 1970년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199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Zn은 196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Pb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점 4에서 인간에 의한 오염기원인 중금속중 Cu, Zn이 최상부 퇴적층에 급격히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u는 1950년대 중반(약 11 cin) 이후 부터 현저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낙동강 하구둑이 설치된 1987년을 기점으로 살펴보면, 정점 1에서 갑문 설치 후 중금속의 농도가 수직적으로 급격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다. 기준으로 해수면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부분의 정점에서 표층 0${\sim}$0.25 cm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표층 0${\sim}$1 cm에 약 60%전후의 개체수가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중형저서생물의 위도에 따른 분포양상은 북위 5도에서의 표층수 수렴과 북위 8도에서의 표층수 발산으로 인한 수층의 일차생산력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10}$ ton yr$^{-1}$ Sv$^{-1}$)에 비해서는 2/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다. 수조 상층수 중 Cu, Cd, As 농도는 모든 FW, SW수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In ord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metals and prospect the recent metal pollution history in Nakdong Estuary, we took surface and core sediments. Maximum value of organic matter occurs at the upstream site located 4 km from Nakdong barr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Zn, Cu, and Pb etc.) decrease seaward in the estuary. The sedimentation rates, based on $^{210}$Pb$_{ex}$ and $^{137}$Cs activities, were 0.34 cm/yr in inside of barrage (core 1) and 0.25 cm/yr in Changrim (core 4). Sediment mixing layer does not exist in core 1, where anoxic condition is known to be prevail. The topmost sediment layer of core 4 (<3.5 cm) is severely mixed. At sites 1 and 4, concentrations of Cu slow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20-1970,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1990, and followed by slight decrease after 1990. Zn contents increased in early 1960s and peaked in 1993, and followed by decrease after 1990s. Pb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early 1970s. At the downstream of the barrage, Cu and Zn have increased in the topmost layer. The trend of increase of Cu is evident after 1950 (11 cm in sediment depth). Overall trend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clearly indicates the pollution has been increasing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age.

      • KCI등재

        Bone-borne type distractor를 사용한 하악골 정중부 골신장술

        조진형,지영덕,Cho, Jin-Hyoung,Chee, Young-Deo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6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8 No.4

        Transverse mandibular deficiency has a many problem in growing patients. Therefore, Mandible symphysis widening is recommended. A new surgical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o widen the mand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mandibluar symphyseal distraction osteogenesis by use of bone-borne type distractor. The surgical procedure was accomplished under general anaesthesia with step-line osteotomy. Bone-borne type distractor was used to generally widen the mandible. The expansion achieved in the mandible was 8.31mm at the device, 6.32mm at the canines, 4.06mm at the first molars. The symphyseal distraction gaps were bridged by new bony regeneration. Mandibular symphseal distraction osteogenesis increased mandibular arch width, stabilized occlusion, and corrected dental crowding.

      • KCI등재

        하악 관절와의 형태가 하악 이부편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영상 연구

        조진형,이경민,박홍주,황현식,Cho, Jin-Hyoung,Lee, Kyung-Min,Park, Hong-Ju,Hwang, Hyeon-Shi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 of the degree of menton deviation and 3-D CT (computerized tomography) measurements of the glenoid fossa and the mandible,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an influence on menton deviation. Methods: The CT images were obtained in 60 adults and these were transmitted to a computer and reconstructed using computer softwa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enton deviation, which was measured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menton deviated group (30 adults) and the symmetry group (30 adults). A total of 11 measurements that might have an effect on menton deviation were determined and these were measured in the right and left sides using the function of 3-D measurement in the computer program. The 11 measurements consist of 6 measurements in the glenoid fossa (vertical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and articular eminence, the sagittal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and articular eminence, the depth of the glenoid fossa, and the anterior angle of the glenoid fossa), and 5 measurements in the mandible (ramus length, frontal ramal inclination, lateral ramal inclination, body length, body height). Results: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nton deviated and symmetry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egree of menton devia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 right and the left difference between the menton deviated and symmetry groups showed that the vertical position and depth of the glenoid foss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nton deviated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is necessary for making the diagnosis and administering proper treatment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and especially growing patients.

      • UML 객체지향 분석모델의 완전성 및 일관성 진단을 위한 시나리오기반 검증기법

        조진형(Jin-Hyung Cho),배두환(Doo-Hwan Bae)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8 No.3

        The purpose of a scenario driven verific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to check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of objected oriented analysis model generated by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In this approach, we verify the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between the use case scenario and the UML analysis model represented by object behavior scenario. First, the static structure models and dynamic behavior models generated by UML analysis process are transformed into use case specification via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Secondly, the scenario information trees are generated with class structures and scenario flows of each use case specification. Then,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are checked using the scenario information table generated through scenario tracing process with the scenario information tree. The completeness of UML analysis model is checked through cross comparison process between the use case scenario and the object behavior scenario. For consistency checking of UML analysis model, it is needed to compare between the scenario information table and the class structure information. To demonstrate usability of the proposed verification method, we apply it to the UML model of the university course registration system as a case study.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나리오기반 검증기법의 목적은 UML로 작성된 객체지향 분석모델의 완전성 및 일관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검증기법의 전체 절차는 요구분석을 위한 Use Case 모델링 과정에서 생성되는 Use Case 시나리오와 UML 분석모델로부터 역공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객체행위 시나리오와의 상호참조과정 및 시나리오 정보트리 추적과정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수행된다. 본 검증절차를 위하여 우선, UML로 작성된 객체지향 분석모델들은 우선 정형명세언어를 사용하여 Use Case 정형명세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Use Case 정형명세로부터 해당 Use Case 내의 객체의 정적구조를 표현하는 시나리오 정보트리를 구축하고, Use Case 정형명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동적행위 정보인 메시지 순차에 따라 개별 시나리오흐름을 시나리오 정보트리에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정보 트리 추적과 시나리오 정보 테이블 참조과정을 중심으로 완전성 및 일관성 검증작업을 수행한다. 즉, 검증하고자 하는 해당 Use Case의 시나리오 정보트리를 이용한 시나리오 추적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객체행위 시나리오와 요구분석 과정에서 도출되는 Use Case 시나리오와의 일치여부를 조사하여 분석모델과 사용자 요구사양과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추적과정을 통해 수집되는 시나리오 관련정보들을 가지고 시나리오 정보 테이블을 작성한 후, 분석과정에서 작성된 클래스 관련정보들의 시나리오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분석모델의 일관성을 검사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검증기법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대학의 수강등록시스템 개발을 위해 UML을 이용해 작성된 분석모델을 특정한 사례로써 적용하여 보았다.

      • KCI등재후보

        고교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통일․북한 분야 서술 비교분석

        조진형(Cho, Jin-Hyoung),서유석(Seo, Yu-Seok) 북한학회 2015 북한학보 Vol.40 No.1

        최근 우리사회는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한 논쟁으로 홍역을 앓고 있다. 논점은 주로 검인증제하에서의 8종 역사교과서에 기술되어 있는 근현대사 부분의 이념적 편향성에 관한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역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17년부터 한국사영역이 수능필수과목으로 지정되는 것과 무관치 않다. 고교 역사교과서의 이념논쟁이 불붙으며 2014년 8월과 9월 교육부 주최로 두 차례의 정책토론회에 진행되었다. 특히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은 구한말부터 현대사까지의 기술부분으로 통일과 북한에 대한 기술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다. 본 고에서는 8종 고교역사교과서의 통일․북한 분야의 기술내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현재 교육중인 8종 역사교과서의 통일․북한 파트의 구성과 서술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대안적 방향을 제시했다. Recently, our society is suffering from measles controversial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The issue is part of the ideological bia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ection, which is mainly technical in eight kinds of textbook. These issue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recent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 since 2017 this area is not unrelated to that specified by the SAT required courses. In particular, part of which has been an issue becomes the focus is on technologies tailored for the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as part of the technology to the modern history from the Late period of Chosun. This paper analyzed eight kinds of technical information of a unified North Korea it focuses on the field of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Review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problem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North Korea being part of the current eight kinds of education and history textbooks have presented an alternative way of teaching Korean history.

      • KCI등재

        IVF 시술 실패한 여성 불임환자 1례와 남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조진형 ( Jin Hyong Cho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2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a female and a male patient who were infertile and failed to in vitro fertilization(IVF)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s are a 30-year-old fe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he ovulation dysfunction caused by the depression of ovarian function, and a 33-year-old 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perm defect. The female patient alone underwent Korean medicine treatment after the eighth failure in IVF treatment and the male patient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along with his wife after he failed in the first IVF treatment. The Korean medicine applied include herb-medicine administration, acupuncture, moxibustion, Jwa-Hun, and Du-Han-Jok-Yeol treatment. Results: Through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female patient had succeeded in the IVF treatment and she also recovered completely from allergic rhinitis. The male patient whose wife also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him got his wife pregnant naturally. Conclusions: This result conclude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effective in infertile patients.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re of subsequent research on infertile patients that is based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