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명학을 활용한 대학 인성교육 교과개발에 관한 연구

        조지선(趙智善)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대학은 사회인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최근 대학교육에서는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하고 타인과 더불어 사는 삶의 태도를 기르는 인성교육이 중요하게 요청되고 있다. 양명철학은 인간의 도덕 본성(良知)에 대한 자각, 수양, 실천에 이르는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철학이다. 또한, 양명철학은 이상적 인간상인 성인(聖人)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인 교육방안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양명학을 활용한 대학 인성교육 교과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연구 과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의 인성교육은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을 양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학교육과 양명철학이 지향하는 인간상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양명철학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에게 요구되는 것은 다양한 지식, 풍부한 경험이 아닌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역량이다. 그러므로 미래사회를 위한 대학의 인성교육은 지식을 창의적으로 적용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인성교육 교과개발의 기초 작업으로, 양명철학을 인성 교과에 활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대학교육의 핵심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전습록(傳習錄)』,『왕양명 전집(王陽明全集)』등 같은 문헌에는 양명이 바라본 당시의 교육 상황과 교육 현실에 대한 비판은 물론 그가 행한 구체적 교육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 같은 문헌을 토대로 양명의 교육방안을 분석해 대학의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인성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대학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College is an educational institute for fostering a pre-member of society; and it has recently requested character education which cultivates correct values and life attitudes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To arrange the base for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s by utilizing Yangming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processes as follows. First, character education in college needs to contribute on fostering ‘Desirable Member of Society’.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mmon features among college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pursued by Yangming Philosoph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alents based on the Yangming Philosophy. Secondly, The talent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s the people of talent with competence to practice creatively, rather than much knowledge or rich experience. Therefore, college’s character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needs to provide a curriculum that focuses on competence to apply knowledge creatively and practice such knowledge actively. In response, this study will suggest core competences of college education by utilizing Yangming Philosophy on character curriculum as the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 Third, literature including [Chuanxilu(傳習錄)] and [The collections of Yang-ming(王陽明全集)] suggests Yangming’s thoughts on educational situation at that time, criticism on reality of education, and detailed teaching methods he practiced. In response, this study seeks to suggest th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o help foster the core competences of college by analyzing Yangming’s education methods based on literatures related to Yangming. Then, the present study will be utilize it as the base material for develop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 KCI등재

        한국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왕양명 철학의 고통 감정 이해와 공감교육 방법 모색

        조지선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5

        Korean society is filled with various types of conflicts these days. Especially, the conflicts over hierarchy, generation, politics, and gender intensified into hatred over each other, threatening the persistence of the community. To maintain and develop Korean society, it is essential to form a sense of empathy, solve the conflicts, and empathize the empathy education to foster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Nevertheless, human beings react and empathize with others’ sadness and pain more directly than happiness or pleasure. According to M. L. Hoffman who studied the stages of empathy development, negative emotions such as pain rather than pleasure and happiness were regarded as the altruistic motivation. Pain is the emotion that causes empathy most strongly. Wang Yang Ming’s philosophy also pointed out that pain acts as the most sensitive and strongest way to perceive and realize the “Innate knowledge” among human emotions. The Pain is also an important emotion closely related to Wang’s studies from “The Mind is The Principle” to “The Extension of “Innate knowledge” In addition, while Wang’s life has been a series of pain, such pain was the base and motivation for his enlightenment. As shown, pain takes a significant meaning in Wang’s life and philosophy. The former researches, however, focused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leasure in Yang-Ming’s philosophy while neglecting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pain. In response, this paper summarized Wang’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xamined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pain in Wang’s three philosophies. This paper also pointed out that pain sensitivity can be recovered and empathy can be practiced by realizing “Innate Knowledge” which understands the “Innate knowledge” for the empathy as sensitivity to pain and reach the state of empathy under the aspect of empathy education. 오늘날 한국사회에는 다양한 갈등이 팽배해있다. 특히 계층, 세대, 정치, 젠더갈등 등은 상대방에 대한 혐오로 극화되어 공동체의 존속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구성원 간의 공감 형성과 갈등의 해소는 절실하며, 이를 위해 공감능력을 기르는 공감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런데, 인간은 다른 사람의 기쁨이나 행복에 공감하는 것보다 타인의 슬픔이나 고통에 더 직접적으로 반응하고 공감한다. 실제 공감의 발달에 대해 연구한 호프만(M. L. Hoffman)은 기쁨이나 즐거움 보다 고통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이타적 행위의 동기로 간주하며, 공감을 일으키는 감정으로서 고통감정을 고찰하였다. 양명철학에서 고통은 인간의 감정 중에서도 양지(良知)의 자각(自覺)과 실현에 민감하고 강력하게 작용하며, 심즉리(心卽理)부터 치양지(致良知)에 이르기까지 양명의 모든 공부에 연결된 중요한 감정이다. 또한 실제 양명의 삶은 고통으로 점철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통은 그가 자득(自得)한 깨달음의 바탕이자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고통은 그의 삶과 사상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감정이다. 그런데, 종전의 연구들은 양명철학에서 즐거움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집중해 다룬 반면 고통의 역할과 의의를 다루는 데는 소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왕양명의 감정 이해와 특징에 관해 개괄하고, 이어서 양명의 3대 학설에서 고통 감정이 갖는 역할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양명이 제시한 진성측달 하는 양지능력을 고통에 대한 민감성으로 이해하고, 공감교육적 측면에서 진성측달 하는 양지의 실현이야 말로 고통에 대한 민감성을 회복하는 방법이자 이에 바탕한 공감의 실천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유치원 특수교육 실무사가 인식하는 역할 수행에 대한 갈등과 어려움

        조지선,이미숙 한국발달장애학회 2015 발달장애연구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roles and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The study included 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and the study qualitatively interviewed with them and analyzed the data. As the results, first, the paraprofessional suffered an identity crisis a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due to the inappropriat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roles of the paraprofessional. Second, the paraprofessional experienced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nd to cope problem behaviors due to the scarc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ignored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y tried to read their faces. This showed a conflict between the paraprofessional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the ways to support the paraprofessional.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 실무사들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수교육 실무사로 역할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7명의 특수교육 실무사가 참여하였으며, 이들과의 질적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 실무사는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의 특수교육 실무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특수교육 실무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정체성 혼돈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유아의 장애 특성과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특수교육 실무사로 역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 실무사는 특수교사로부터 무시를 당한다는 생각과 특수교사의 눈치를 보게 되어 특수교사와의 관계에 갈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특수교육 실무사로 역할하기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조지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ng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affects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had introspected the origins which composed student’s histor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The results analyz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had wanted students to think history to connect history knowledge to current society and students’ life, not merely regarding history as truth of the past. Students could connect historical truth of the past to current society issues as a result of history learning. Some students went even further and felt empathy to the historical agents and looked back on themselves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agents. There just remains some doubts that this thought can lead students into practice, because students accept history and the practicability of history education as an oughtness. Second, the teacher had considered history as a consequence of human autonomous choice and expected students to move forward to be ‘autonomous subject’ in their present lives through history learning. Nevertheless, most of the students had sought for reasons to study history from learning lessons. Sometimes, they had made a choice of conflicting lessons,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their own values and perception of reali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As mentioned above, the view of teacher’s history education and student’s history understanding in history classroom were considerably connected, but it also seemed that students did not embrace teacher’s history educational view as it is. Students had formed their own historical perspective in combination with their sociocultural context, perception of socie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수업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역사교육관이 학생들의 역사이해로 어떻게연결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의 역사교육관을 구성하는 근원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연계하여 성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역사가 단지 지나간 과거의 사실이 아니라 현재 사회와 학생들의 삶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역사 수업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현재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역사적 행위자의 삶에 공감을 느끼며 자신의 삶과 비교하여 성찰하는 학생들도 있다. 다만 이런 생각이 실천으로 이어질 지는 의문이다. 학생들은 역사와 역사교육의 실천성을 ‘해야 하는 행위’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는 역사가 인간의 주체적 선택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역사 수업을통해 현재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행위’를 선택하길 기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역사를배우는 이유를 교훈에서 찾는다. 특히 학생자신의 가치관과 현실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작용하며 상반된 교훈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교실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역사이해는 상당부분 연결되고 있다. 그렇지만 학생들이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과 사회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자기 나름의 역사적 관점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호인식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이 당위론적으로가르치고 배우는 역사적 사실과 가치에 대해 함께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4차 산업시대의 공동체와 양명학의 활용가치 - 인성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

        조지선 ( Cho Ji-s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3 No.-

        초연결(Hyper-Connection), 초지능화(Hyper-Intelligence)를 특징으로 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며, 이미 시작되었다. 인공지능의 초지능화 현상은 인류에게 지성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인간만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찾을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발달된 ICT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인간과 인간, 인간과 기계, 기계와 기계가 초연결된 미래의 공동체는 우리에게 새로운 공동체의식과 업그레이드된 갈등해결 능력을 요청한다. 시대의 변화에 대한 준비는 인간 존재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부가결하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는 인간존재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준비로서 ‘초연결’, ‘초지능화’된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인성교육을 요청해야한다. 이에 필자는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성교육을 위한 원천 사상으로서 양명학의 주요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양명학의 핵심 개념인 양지는 타자에게 공감하여 적합한 행위를 창출하는 ‘공감능력인 진성측달(眞誠惻怛)의 마음’이다. 이는 초지능화된 인공지능으로는 대체될 수 없는 인간 고유성 핵심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에서는 공감능력으로서 진성측달하는 양지가 발현된 교육을 추구해야한다. 둘째, 사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보존하고 발양하는 존천리 거인욕(存天理去人欲)의 방법은 공동체의 연결 관계가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화되어 가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타인·공동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을 기르고,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인성교육 방법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셋째, 복잡한 연결과 상호 밀접한 관계로 이루어진 4차 산업시대의 공동체 속에서 관계적 자아실현은 미래의 인성교육이 지향해야할 목표이다. 양지를 실현하여 주체와 모든 대상들의 관계맺음을 통해 천지만물 일체의 경계에 도달한 성인은 초연결된 4차 산업시대의 공동체 속에서 관계적 자아를 실현한 인성교육의 완성 모델로 인성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The change in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ion and hyper-intelligence is the irreversible time flow, which has begun already. The hyper-intelli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ks for finding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human beings from places other than intelligence. And the future community where human and human, human and machine, and machine and machine are hyper-connected by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through the advanced ICT, asks us for the new community spirit and the upgraded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The preparation for the time change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human beings. Therefore, our society should ask for the humanity education that could cultivate the talent suitable for the 'hyper-connected' and 'hyper-intellectualized''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 the preparation for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human beings. Thus, the author suggested the main contents of Yangming studies as the original thought for humanity education that could meet the above needs. First, the innate knowledge that is the core concept of Yangming studies is the 'mind of empathy' creating suitable behaviors by empathizing with others. This is the core of humans' uniqueness that could not be replaced with the hyper-intellectualized artificial intelligence. Thus, the humanity education should pursue the education in which the innate knowledge has been revealed as an empathic ability. Second, the method of clarifying the principle of nature and removing selfish human desires that preserves/enhances the innate knowledge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as a method of humanity education to resolve social conflicts and also to cultivate humans that live together with others/commun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which the relations of community get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ird, in the community of the 4th industrial era composed of the complex connections and mutually-close relations, the relational self-realization is the goal of the future humanity education. The saint that has reached the boundary of the unity of the world through the relations with all the objects by realizing the innate knowledge has the value of humanity education as a complete model of humanity education realizing the relational ego in the community of the hyper-connected 4th industr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