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개선을 통한 앙상블 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

        장석환,이재경,오지환,조준원,Jang, Suk Hwan,Lee, Jae-Kyoung,Oh, Ji Hwan,Jo, Joon Won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10

        최근 피해가 점차 심해지고 있는 가뭄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가뭄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정확한 가뭄전망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존 MSWSI의 한계점을 개선하였으며, 개선된 MSWSI를 이용하여 앙상블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금강유역 내 존재하는 모든 수문기상인자를 조사하여 각 유역별로 기존 MSWSI에서 적용한 4개 인자(하천유량, 지하수, 강수, 댐유입량)와 적합한 인자(댐저수위, 댐방류량)를 추가 선정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에는 정규분포만을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각 수문기상인자들에 적합한 확률분포를 추정하였다. 강수와 하천은 대부분 Gumbel 분포, 댐유입량, 방류량, 저수위는 2 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 지하수는 3 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MSWSI를 과거 실측강수, 하천유량 등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기존 MSWSI보다 개선된 MSWSI가 과거 발생한 가뭄현상을 더 잘 나타내어 개선된 MSWSI가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MSWSI를 이용하여 앙상블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2006년과 2014년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검증하였으며, 기존보다 개선된 MSWSI를 이용한 가뭄전망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대부분의 소유역에서 실제 가뭄의 가뭄지수가 개선된 MSWSI를 이용한 가뭄전망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urate drought outlook and drought monitoring have been preceded recently to mitigate drought damages that further deepen. This study improved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used in Korea and carried out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s based on ensemble technique with the improved MSWSI. This study investigated available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in Geum river basin and supplemented appropriate components (dam water level, dam release discharge) in addition to the four components (streamflow, groundwater, precipitation, dam inflow) usedin the previous MSWSI to each sub-basin. Although normal distribution was fitted in the previous MSWSI, the most suitabl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to each meteorological component were estimated in this study, including Gumbel distribution for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data; 2-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for dam inflow, water level, and release discharge data; 3-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for groundwater. To verify the improved MSWSI results using historical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simulated drought situations were used.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roved MSWSI results were closer to actual drought than previous MSWSI results. The probabilistic forecasts based on ensemble technique with improved MSWSI were performed and evaluated in 2006 and 2014. The accuracy of the improved MSWSI was better than the previous MSWSI. Moreover, the drought index of actual drought was included in ranges of drought forecasts using the improved MSWSI.

      • KCI등재

        지진 에너지의 시변동성과 Gutenberg-Richter 법칙 상수와의 관계

        장석환(Jang, Sukhwan),오경두(Oh, Kyoungdoo),오지환(Oh, Jihwan),조준원(Jo, Junwo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1978년 8월 30일부터 2016년 11월 27일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1,450개의 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에너지의 시간적 변화와 Gutenberg-Richter법칙의 매개변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200개의 지진과 새로운 지진 50개를 추가 적용하여 26개의 샘플 별 지진 규모의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지진 에너지는 규모 4.0 이상의 상대적으로 큰 지진의 발생에 있어서 강한 우측 편기(positive skewness)의 변화를 보였다. 한편, G-R법칙의 상수인 a-와 b-값은 이전 연구 대비 편기됨이 없이 정상 범위의 값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볼 때 지진 에너지의 패턴은 본 연구에서 제안된 LEL 모형의 패턴과 거의 일치하였고, 활성 및 비활성 기간이 교차로 나타나며 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다. In this study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earthquake energy and its relation with parameters of the Gutenberg-Richter law was examined using the 1,450 earthquake data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August 30, 1978 through November 27, 2016. Using a 200-event window, which slides by 50 events a sequence of 26 consecutive samples were analyzed and the earthquake energy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with strong positive skewness. Meanwhile, parameters a- and b-values of the G-R law showed normal range of values without significant skewnes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sequence of the earthquake energy revealed a stationary metastability with alternating active and inactive periods, which closely matched with the pattern of the LEL earthquake energy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

        가뭄모니터링과 전망을 위한 기상학적·수문학적 가뭄지수의 개발 및 적용

        장석환(Jang Suk Hwan),이재경(Lee Jae Kyoung),권현한(Kwon Hyun Han),오지환(Oh Ji Hwan),조준원(Jo Joon Wo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동일지역에 대해 하나의 특정 가뭄지수로 평가하는 것보다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뭄을 분류하고 이에 적합한 가뭄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과 수문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잘 나타낼 수 있는 가뭄지수를 개선하고 및 검증하였다. 또한 이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기상학적 가뭄지수 개선을 위해 Runs theory를 기반으로 기상학적 가뭄을 정의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Hidden Markov Model (HMM)에 기반한 가뭄지수인 HMM-DI (Drought Index)를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에 적용된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MSWSI)의 입력인자 확장적용과 확률분포 적용방법을 개선하여 MSWSI-K (Korea)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2001년, 2006년, 2014년 가뭄사상에 대하여 과거 관측 수문기상자료를 이용하여 HMM-DI와 MSWSI-K를 검증하였으며, 가뭄모의에 활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HMM-DI와 MSWSI-K를 이용하여 앙상블기법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수행하였다. 전망결과, 기상학적과 수문학적 가뭄이 연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관측 수문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가뭄전망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MSWSI-K에서는 정량적 검증을 통해 기존 MSWSI보다 가뭄전망 정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lassifying drought types and selecting appropriate drought indices by reflecting the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asonable methodologies over analysis using only one specific drought index for the same basin. In this study, the drought indices were improved and then verified to demonstrate the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quantitatively.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s using the improved drought indices were also carried out. To improve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in this study, the meteorological drought concept was defined using the Runs theory and the Hidden Markov Model-Drought Index (HMM-DI) was developed based on the HMM to quantitatively simulate the drought. In this study,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Korea (MSWSI-K) has extended input components and was reflected by estimating suitable probability distributions. The HMM-DI and MSWSI-K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observed hydrometeorological data for the 2001, 2006, and 2014 drought events.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rought indices are useful to simulate actual droughts.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s based on the ensemble technique with the HMM-DI and KSWSI-K were then performed. From the result, it is predicted that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are interlinked, and the accuracy of the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 is confirmed by using the observed hydrometeorological data. Furthermore, the accuracy of the MSWSI-K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evious MSWSI using the quantitative ve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