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요 식량작물의 생산량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장석환,Chang, Suk-Hwa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11 No.1

        주요 식량작물인 쌀, 보리, 콩, 그리고 감자의 생산량을 조기에 예측하기 위하여 농림수산 통계연보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경상북도지방의 작물 재배면적과 10a당 수량(收量)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재배면적의 예측모형식은 $y=\exp({\beta}_{0}+{\beta}_{1}t+{\epsilon})$수량의 예측 모형식은 $y=\exp({\beta}_{0}+{\beta}_{1}t^{1/2}+{\beta}_{2}t+{\sum}^{p}_{i=1}{\beta}_{i}+_2x_i+{\epsil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에 의하여 재배면적의 $R^{2}$값은 $0.9180{\sim}0.9505$이었고, 수량의 $R^{2}$값은 쌀의 경우 0.7234로 가장 낮았으나 보리, 콩 및 감자는 $0.8855{\sim}0.9098$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추정된 예측모형식에 의하여 2005년까지의 재배면적과 2000년도의 수량을 예측하였다. In oreder to predict the productions of major crops such as rice, barely, soybean and potato in Kyongsang Puk Do as early as possibl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develop some prediction model of crop yields, using the data from the Statistical Yearbook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from 1966 through 1999. Among the various models considered, $y=\exp({\beta}_{0}+{\beta}_{1}t+{\epsilon})$ was best fit to the planted area of the crops and $y=\exp({\beta}_{0}+{\beta}_{1}t^{1/2}+{\beta}_{2}t+{\sum}^{p}_{i=1}{\beta}_{i}+_2x_i+{\epsilon})$ to the yields. The $R^{2}$ values for the planted areas were $0.9180{\sim}0.9505$, implying good prediction, while that for rice was 0.7234 and those for barley, soybean and potato were $0.8855{\sim}0.9098$, Predictions have also been made for the planted areas upto the year 2005 and yield for the year 2000.

      • KCI등재후보

        일체형 식생호안블록 시스템 개발 및 수리특성 연구(I) : 일체형 호안블록 개발 및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적용성 검토

        장석환 한국습지학회 2008 한국습지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현재 대부분의 자연형 하천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호안블록 대신 현장 타설식 일체형 블록시스템을 개발하고 수리특성분석을 위하여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수위와 유속의 변화를 통하여 호안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프리캐스트 불록은 홍수 시 빠른 유속과 집중하중에 유실 및 탈락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를 보완한 일체형 호안블록 시스템은 홍수시나 수충부에 적합한 호안식생블록 시스템이다. 수리모형실험에서는 성덕댐이 위치한 보현천의 하도에 1/50 축척으로 모형을 재현하고 설계홍수량을 방류하는 조건으로 하도에서 원형과 개발된 블록의 식생유무에 대한 흐름 및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설계홍수량 200㎥/sec 에서 유속 저감 평균 10.1%, 수위 상승 평균 17.8%의 실험 결과를 얻었다. 연구(II)에서는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실험결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유아교육·보육 통합 추진 현황 및 방향

        장석환 육아정책연구소 2014 육아정책포럼 Vol.39 No.-

        정부는 2013년 12월에 관계부처와 민간의 논의과정을 거쳐‘유보통합 추진방안’을 마련하였다. 지난 수십 년 간 논의는 되었으나 답보 상태였던 유보통합 문제가 새 정부에서 추진 방안으로 확정된 것은 국민의 관점에서 좀 더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적에 충실하라고 일관되게 강조한 대통령의 의지와 국무조정실의 리더십에 의한 관계부처의 협업체제, 그리고 민간의 협조 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앞으로 유보통합 추진은 국무조정실에 설치된 유보통합 추진단을 중심으로 관계부처가 협력하여 학부모, 교사, 기관 운영자, 학계 등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 SCIE

        韓國統計의 現況과 將來 - 農業統計

        장석환 한국통계학회 1981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10 No.-

        어느 국가이든 농업통계는 그 나라의 농업생산량, 생산가능성 및 식량수급은 물론 농업정책수립, 국토 및 경제개발계획수립의 기본이 되고 있다. 최근 모든 산업이 고도로 발달되고 세분화되며 국민의 지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통계도 필연적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소규모의 영농에도 시장정보가 필요하게 되고 이에 부응하여 통계의 필요성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1970년대를 접어들면서 급격한 국내산업 발달과 인구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식량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따라서 식량수급계획을 위해서는 정확한 생산 및 소비량통계가 필요하게 되었고 공식 발표된 농업통계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때로는 그 정확성 여부에 많은 논란이 있기도 하다. 이는 실제로 조사발표된 통계가 여러가지 악조건하에서 조사되었기 때문에 자료수집과정에서 약간의 미흡한 점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근본적으로는 통계에 대한 인식부족에서 오는 오해에 연유된 것도 많다고 본다. 농업자체가 타산업에 비하여 구조가 다르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영농의 복잡성 때문에 실제로 조사하는데도 여러가지 문제점과 제약 조건이 많다.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그동안 많은 발전을 보았으나 농업통계 개선을 위하여 계속연구 검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농수산부에서 분류한 기준에 따라 기본통계, 농산물생산통계, 농가경제통계, 생산비통계, 농산물유통 및 가격통계를 중심으로 검토코져 한다.

      • KCI등재

        요추 척추분리증의 자기공명영상: 관절간부와 주변구조물의 신호강도 변화

        장석환,이기재,심재찬,김호균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4 No.5

        목적: 요추부 턱추분리증 환자의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 골결손이 있는 관절간부(pars inter- articularis)와 주변구조물의 신호강도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순 요추사진에서 척추분리증이 확인된 환자 중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 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0T MR기기를 이용하여, 시상영상에서 3번 요추부터 5번 요추까지의 총 216부위에서 관절간부, 척추경(pedicle), 그리고 판(lamina)의 신호 강도를 분석하여 척추분리증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T1 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는 grade 0(척추체보다 낮은 신호강도), 1(척추체와 같은 신호강도), 2(척추체보다 높고 경막외 지방보다 낮은 신호강도), 3(경막외 지방과 같은 신호강도)의4등급으로 나누었으며, 불균질한 경우는 가장 높은 부위의 신호강도를 대표값으로 하였다. T2 강조영상에서도 마찬가지로 척추체 및 경막외 지방과 비교하여 grade 0, 1, 2, 3의 4등급으로 나누었다. 또한 종판(endplate)의 신호강도 변화 및 척추전방전위증의 정도를 분석하여 신호 강도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36명의 환자 총 216부위 중 척추분리증은 5번 요추에서 61예로 가장 많았으며, 4번 요추는 22예였고, 3번 요추에는 없었다. 3예에서만 편측성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양측성이었다. 모든 예에서 T1 강조영상과 T2 강조영상에서 같은 정도의 신호강도를 보였는데, grade 0의 경우는 없었다. 척추분리증이 없던 133부위 중 86부위에서 grade 1, 43부위에서 grade 2, 그리고 4부위에서 grade 3이었으며, 신호강도의 증가는 주로 척추경에 국한되었다(42/47). 반면에 척추분리증이 있던 83부위 중 9부위에서 grade 1, 48부위에서 grade 2, 그리고 26 부위에서 grade 3이었으며, 신호강도의 증가도 관절간부 척추경, 판 모두에서 관찰된 경우 (50/74)가 가장 많아서 척추분리증이 없던 부위와는 다른 양상이었다(p(0.001). 종판에 퇴행성 신호강도의 변화는 모두 11 레벨(level)에서 보였는데, 이 중 10레벨에서 관절간부를 포함한 주변부의 신호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척추전방 전위증은 13 레벨에서 관찰되었는데, 이중 11 레벨에서 관절간부를 포함한 주변부의 신호강도가 증가하여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Purpose: To assess changes in MR signal intensity in the pars interarticularis and adjacent structures in patients with lumbar spondyloly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MR images of 36 patients with lumbar spondylolysis, confirmed by plain radiograph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Using a 1.0T unit, we evaluated the signal intensity of a total of 216 parts interarticulares and adjacent structures from L3 to L5, as seen on sagittal images, and differences between areas with and without spondylolysis. The signal intensity of T1-and T2-weighted images was graded 0 (more hypointense than spinal body), 1(as isointense as spinal body), 2(more hyperintense than spinal body and more hypointense than epidural fat), or 3(as isointense as epidural fat). Signal intensity change in end-plates and degree of spondylolisthesi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was determined. Results: Spondylolysis was noted at L5 in 61 cases, at L4 in 22, and of L3 in no case. In three cases spondylolysis was unilateral, and in the remainder it was bilateral. The degree of signal intensity was the same on T1- and T2-weighted images, and no case was grade 0. Eighty-six of 133 areas without spondylolysis were grade 1, 43 were grade 2, and four were grade 3. In 42 of 47 cases, signal intensity change was localized at pedicles, Among 83 areas with spondylolysis, on the other hand, nine were grade 1, 48 were grade 2, and 26 were grade 3. Signal intensity change was most commonly observed at the pars interarticularis, pedicle, and lamina (50/74) (p< 0.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