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저 조익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수양관 -논어천설을 중심으로-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8 泰東古典硏究 Vol.40 No.-

        조익의 수양론에서 두드러지는 관점은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다. 조익의 수양은 크게 경(敬) 과 경술(經術)로 나뉘는데, 둘 모두에서 이러한 관점이 드러난다. 우선 존양과 성찰로 구성되는 경은 표면적으로는 존양이 중시되지만 내 외면을 아우르는 성찰을 통해 존양을 이룬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는 성찰이 중시된다. 이때 성찰은 사욕으로 인한 잘못을 경계하는 성격이 짙어서 실천적 맥락이 강하다. 경술이 앎과 행위를 아우르며 그 최종 목표가 행위에 놓인다는 점에서도 실천적 맥락을 지적할 수 있다. 행위에 관한 수양이 경술의 연장선상에서 다뤄지므로 행위 규범으로서 예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대신 사욕 제거를 통해 다다르게 될 최종 상태인 만물의 마땅한 위치를 예로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실천을 강조하는 조익의 수양관은 논어에서 경을 내적 태도에 국한시켜 해석하는 주희와 달리 외적 태도로까지 확장시키는 차이로 이어진다. 인간으로서 할 바를 다 한 후 학문을 익힐 것을 말하는 논어 1.6을 해석하면서도 조익은 실천만으로는 안 되고 학문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에 무게를 두는 주희를 따르는 한편, 학문보다 실천이 앞서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실천 지향성을 보여 준다.이 외 사욕 경계와 만물이 지닌 마땅한 법칙으로서 예를 보는 관점을 부각시킨다. 실천을 강조 하는 수양론인 만큼 양명학에 경도된 듯한 해석도 있지만 주자학을 벗어났다고 평가하기보다는 주자학의 틀 안에서 실천이라는 자신의 주안점을 살리는 수양론을 구축했다고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조익은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무르익은 가운데 양명학이 영향력을 펼치기 시작한 16세기 말 17세기 초 조선의 사상적 토양을 바탕으로 주자학 체계 내에서 실천을 강조한 수양관을 경학사상에 투영해 나간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Jo Ik’s prominent view on self-cultivation is to emphasize practice. Jo Ik’s theory of self-cultivation is divided into two main areas: the execution of jing 敬 and the study of the classics (jingshu 經術), both of which emphasize practice. In executing jing which consists of cunyang 存養 and xingca 省察, what gets first priority is cunyang; however, in fact it is xingca that assumes real significance in that cunyang is achieved through xingca which encompasses inner and outer cultivation. In Jo Ik’s theory, xingcha has strong practical connotations in that its meaning is closer to being alert to wrongful behaviors caused by selfish desire. This practical connotation can also b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although this study pursues improvement both in knowledge and behavior, its ultimate goal is placed on behavior. Since the improvement of behavior is promoted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the role of li 禮 as a norm of conduct is paid less attention. Instead, Jo Ik tends to present li as the proper positions of all things, which is the final state that will be achieved by eliminating selfish desire. Jo Ik’s emphasis on practice in self-cultivation renders a differentiated interpretation of jing in the Lunyu from Zhu Xi’s: Zhu Xi mostly interprets jing as an internal attitude whereas Jo Ik shows a stronger tendency to expand its meaning to an outer attitude. When interpreting Lunyu 1.6, which says study comes after fulfilling one’s everyday duties as a human being, Jo Ik, on the one hand, follows Zhi Xi’s interpretation that puts emphasis on study: everyday duties are not properly carried out if not supported by study. On the other hand, Jo Ik stresses practice by indicating that there is a case in which practice is more urgent than study. Besides, Jo Ik emphasizes being wary of selfish desire and sees li as the proper principles of all things. Since Jo Ik emphasizes practice, some of his interpretations are similar to Wang Yangming’s idea. However, we may reasonably place Jo Ik’s theory within Zhu Xi’s philosophical framework; Jo Ik explored Confucian classics reflecting his viewpoint on moral cultivation which puts special emphasis on practice, utilizing the academic soil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when Wang Yangming’s doctrine began to exert influence under a mature understanding of Zhu Xi’s doctrine.

      • KCI등재

        보츠와나 정부의 경제적 성과 그리고 정치적 성과에 대한 평가와 민주주의 만족도

        조정인(Jung In, Jo)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5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1 No.2

        본 연구논문의 목적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에서 경제발전의 성공적 모델 또는 발전국가로 칭송되고 있는 보츠와나 시민들의 민주주의 만족도와 경제적 성과 그리고 정치적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추론하는 것이다. 보츠와나는 높은 경제성장률, 안정된 민주주의, 효율적인 국가능력으로 명성을 쌓아왔지만, 열악한 인간개발지수(HDI),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지니계수, 실업률, 짧은 수명률, 절대적 빈곤율로 보츠와나의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이 경제발전(economic development)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 논문들은, 아프리카 시민들은 절차적이고 형식적인 제도적 민주주의로 민주주의를 평가하기 때문에 절차적 민주주의가 정착되면,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도 높고, 경제적인 성과의 유의미성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보츠와나 시민들의 민주주의 만족도와 경제적 성과 그리고 정치적 성과의 상관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아프로바로미터 라운드 5데이터를 이용하여 경험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보츠와나 시민들은 정치적 표현의 자유,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 정부의 무능한 경제정책, 부패수준에 매우 민감하며,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공정선거 그리고 정부의 경제적 성과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민주주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보츠와나 시민들의 민주주의 만족도는 절차적 민주주의와 정부의 경제적 성과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경험적 연구결과는 경제정책과 경제적 성과가 민주주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elements of dissatisfaction with democracy behind the rising perpetuation of poverty and unemployment in Botswana. Scholars have praised Botswana as an exceptional success story due to its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Yet, Botswana’s democratic government has demonstrated its vulnerability dealing with rapidly increasing unemployment and the low level of Human Development Index and citizens’ dissatisfaction with democracy has increas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article—guided by ideas in instrumental theory and intrinsic theory—taps into survey data from Afro-barometer Round 5 to fully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contributing to the popular dis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Botswana.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unlike conventional wisdom, not only intrinsic drivers but also instrumental evaluations on government’s poor economic managemen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dissatisfaction with democrac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Botswana will be damaged if democratic government lacks its accountability with the failure of government’s provision of material public goods for citizens.

      • 차량 성능시험을 위한 Autopilot Simulator 설계 및 제작

        조정대(Jeongdai Jo),김광영(K. Y. Kim),김동수(D. S. Kim),최병오(B. O. Choi),김도식(D. S. Kim)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06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Lab. simulator for conducting a performance test and a reliability test on a vehicle and components has been designed and embodied. In order to control non-linear of a vehicle, a fuzzy control algorithm, a running mode tracking algorithm and a vehicle speed control algorithm were applied to the actuator control. The vehicle controller functions were implemented; setup of the actuator, position control, the gear shift control depending upon the vehicle RPM, the serial interface function for data communication and control with the servo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servo controller performed the function to drive the actuator by controlling the pneumatic servo valve, and measured data information such as a position, a velocity and an acceleration as obtained through operation by means of the second differentiator and controlled a position precisely. An experimental apparatus was consisted of a dynamometer and a vehicle, and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controller was verified. The Lab. simulator was mounted onto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control test and a LAP mode tracking test were conducted.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characteristic, the tracking capability and precision of the position control were so excellent.

      • KCI등재후보

        당뇨병 환자의 동공계 반응

        조정구 ( Jo Jeong Gu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2

        당뇨병 환자에서 대광반사에 대한 동공계 반응의 이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뇨병 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검사(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test)를 실시하여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의 유무, 경중의 정도에 따라 다시 세군으로 분류한 뒤, 동공계 자율신경기능 검사로 동공주기시간(pupil cycle time) 측정 및 동공측정기(pupillometry)를 사용한 각종 지표를 측정하여 다음의 성적을 얻었다. 1) 동공측정기를 사용하여 얻은 검사지표상 당뇨병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초기 동공크기, 최소동공크기, 대광반사말기 동공크기, 대광반사크기, 최대축동속도, 최대산동속도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광선에 노출된 후 산동시간에 도달하는 시간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자율신경 검사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동공주기시간은 당뇨병균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연장이 있었고, 자율신경검사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연장되었다. 3) 당뇨병군에서 심혈관계 및 동공계 자율신경검사 지표들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의 동공계 검사는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검사와 함께 임상적으로 자율신경기능장애의 평가에 유용하였으며, 당뇨병의 이환 초기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의 조기진단에 쉽고 간편하며, 재현성이 있는 검사로 사료되었다. Abnormalities of the pupil of the eye are well known in long-term diabetes and it is well known that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n be reflected in the pupil. To investigate the abnormalities of the pupil in diabetics, the pupillary response to light was examined by pupillometry and persistent regular oscillations of the pupil were measured by slit lamp in 44 healthy and 127 diabetic subjects. The diabetic patients had a smaller initial, minimal, and final pupil size and a smaller response amplitude than the control subjects. The maximal velocities of constriction and re-dilatation were reduced in the diabetic patients. An abnormally prolonged dilatation phase (time of maximum redilation velocity)was observed. pupil cycle time was prolonged in a high proportion of patients with evidence of autonomic neuropathy judged by abnormalities of their cardiovascular reflex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cardiovascular and pupillary autonomic function tests. In conclusion, Measurement of the pupillary response in darkness was a simple, noninvasive and reproducible method that may yield information about autonomic nervous involvement in diabetics and may be a useful complement to cardiovascular testing in clinical diagnosis fo autonomic neuropathy.

      • KCI등재

        민영화는 만병통치약인가? 잠비아시민들의 민영화 불만족도 결정변인

        조정인(Jung-In J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1 No.-

        In recent years, privatization in the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ajor medicines for curing stagnant economic disease. Although the privatization of previously state owned enterprises has been implemented by developing countries and became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since 1990s, many scholars fail to investigate why there has been a strong surge in public dissatisfaction with such policy in Africa. The local government,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face a crisis of legitimacy as ordinary man and women express their high dissatisfaction, through strikes and protests against privatization policy. Yet, the systematic and coherent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the public dissatisfaction of the privatization policy in African countries is still poorly understood and remains elusive. Using Afrobarometer 4 in Zambia, I examine the systematic determinants of public discontent with privatization in African countries. Focusing on the Zambian public opinion data, empirical analyses conducted with Ordered Logit model show that respondent’s perception on serious corruption problem, ideological political affiliation, and pessimistic evaluations of Zambia’s economic situation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such dissatisfaction in Zamb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