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상사의 코칭행위가 구성원들의 자기 효능감과 직무 의미성을 통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윤희(Yoonhee Cho),홍계훈(Gye Hoon Hong)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s’ coaching behaviors on employees’ job engagement.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behaviors and job engagement. We expected the higher level of employees’ perception on their capability and importance of their work as leaders executed coaching behaviors which enabled the employees to engage in their job. Moreover, we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s on the relationships of coach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As predic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ach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Most importantly,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behaviors and job engagement. Also, trust in leader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coach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Consequently, leaders’ coaching behavior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nd employees’ higher perception of trust in leaders can amplify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s significantly. We discus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findings in details.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윤희(Yoonhee Cho),김창석(Changsuk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본 연구는 인공지능(AI)를 초등학교 저학년 한글 교육에 활용하고자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지만 간단하게 직접 코딩을 하여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는 경험을 하도록 개발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인공지능을 더 쉽게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이 코딩한 프로그램을 한글 교육에 활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한글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was developed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lower grad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lthough he is an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student, he developed the experience to create artificial intelligence by simply coding himself. This experience will improve students" self-esteem and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recognize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more,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study korean language on their own by using coded programs for korean languege education

      • KCI등재

        음향학적 분석을 통한 노년층 연령에 따른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

        조윤희(Cho, YoonHee),김향희(Kim, HyangHee)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3

        Aging is related to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respiratory and phonation organs. These changes influence articulation which leads to inaccurate speech and slow articulatory diadochokinesis(DDK). DDK indicates the range, rate, regularity, accuracy, and agility of articulation that reflect motor speech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ates and regularities of DDK in healthy Korean elderly through passive acoustic analysis (Praat). Thirty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65 and 94 participated in this study. Rate was observed for 5 seconds, while regularity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on the following: 1) syllable duration of each task; 2) gap duration between syllables. The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ge on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low rat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terms of advancing age. Furthermore, regularit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llowing: 1) /p?/, /k?/ and /p?t?k?/ in syllable duration; 2) /k?/ duration in the gap between syllables. In conclusion, articulatory coordination is reduced with the onset of aging. In particular, /k?/ would be a sensitive task for articulatory coordination.

      •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을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 한글 교육

        조윤희(Yoonhee Cho),정종인(Jong-In Chung),김의정(Eui-Jeong Kim),강신천(Shin-Cheon Kang),김창석(Chang Suk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는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을 활용하여 농산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한글 교육에 활용하고자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이다.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상황의 장기화로 농산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가정에서의 교육 부재, 디지털 교육의 부재로 학습의 결손이 생기고 교육 격차가 심해졌다. 이에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한글해득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한글 교육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자존감도 향상되었다.

      • KCI등재
      •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윤희(Yoonhee Cho),박형빈(Hyungbin Park) 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 2024 인공지능윤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인권 감수성 함양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덕과와 사회과에서 인권감수성과 관련된 융합적 교육 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디자인 사고 모델을 기반으로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다. 셋째,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다. 넷째,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인권 감수성 함양에 미친 효과성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 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비교하여 적용 후에 학습자들의 인권 감수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초등학생의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의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iv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when a metaverse-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cultivat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convergent education elements related to human rights sensitivity are extracted from moral and social studies. Second, a metaverse-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devised to cultivate human rights sensitivity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model. Third, a metaverse-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and applied to foster human rights sensitivity. Fourth, the effect of the metaverse-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on cultiv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learners after application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basic data for metaverse-based maker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직 공정성이 직무열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조윤희(Yoonhee, Cho),홍계훈(Gye-Hoon, H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성원들이 공정한 절차에 의거해 공정한 분배를 받고 있다고 인식은 직무자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절차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들에서 팀 리더의 코칭이 조절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였 다. 즉, 공정한 절차에 의거해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팀 리더의 코칭을 통해 구성원 자신들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면 직무열의를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데이터는 국내기업에 종사하는 346명이 설문을 통해 얻어졌으며,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분배공정 성과 절차공정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리더의 코칭은 분배공정성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절차 공정성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팀 리더의 코칭은 아무런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job engagement.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a situational factor namely, team leadersʼ coach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nd job engagement. Ordinary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seven South Korean Companies(total N=346). Results confirmed the hypothesized model indicating that both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of members. Additionally, team leaders ʻcoach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engagement whereas it brought non-significant effect to procedural justice. The result that two types of justice and the interactive effect of team leadersʼ coaching were different implies that different managerial strategies should be used when job engagement was to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