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들의 학급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개인 목표지향성과 교실목표구조의 역할

        조윤정(YoonJung Cho)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미래교육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인적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생들이 지각한 교실의 성취목표구조가 학급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미국 4년제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과 전통적 교실 수업을 수강하는 722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생들의 학급 공동체 의식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인은 학생들이 지각한 교실의 숙달-접근 목표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어서, 개인의 숙달-접근 목표, 개인 숙달-회피 목표가 학생들의 학급 공동체 의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개인 숙달-접근 목표와 교실 수행-접근 목표구조 변인이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하면서 학생들의 학급 공동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해보면, 숙달-접근 목표를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학생이 수행-접근 목표를 강조하는 교실환경에 있을 경우, 학급 공동체 인식 을 형성하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나아가서, 학급 공동체 인식은 여러 하위 개념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개인적 목표지향성과 지각된 교실의 목표구조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정준상관분석 결과, 학생들의 개인적 목표지향성과 그들이 인지한 교실의 목표구조가 어떤 성격을 갖는가에 따라서 다양한 통로를 거쳐서 학급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됨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s of students’personal goal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classroom goal structure on their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The participants were 722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either online or face-to-face clas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lassroom mastery-approach goal structure was the strongest predictors of students’classroom sense of community, followed by personal mastery-approach goal, and personal mastery-avoidance goal being significant predictor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emerged between personal mastery-approach goal and classroom performance-approach goal structure, indicating that individuals with mastery-approach goals may be challenged in developing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when a classroom was perceived as having a salient performance-approach goal structur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urther examine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lassroom goal structure variables are specifically related to five conceptual dimensions of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goal orientations or perceptions of classroom goal structure may take different pathways to experience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성취목표의 관계에서 내재동기의 조절효과

        조윤정 ( Cho Yoonjung ),황소리 ( Hwang Sori ),심성민 ( Sim Sungmin ),강스텔라 ( Kang Stella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가 교사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의 내재동기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교사의 성취목표를 예측하는 학교목표구조(환경변인)와 내재동기(개인변인)의 독립적 효과뿐만 아니라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총 246명의 교사들이 성취목표(숙달, 수행접근), 학교목표구조(숙달, 수행), 그리고 내재동기 문항에 응답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숙달목표구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학교수행목표구조는 교사의 수행접근목표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내재동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내재동기 간의 상호작효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내재동기가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숙달목표,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수행접근목표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의 목표구조가 모든 교사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교사 개인의 내재동기에 따라 더 강력한 영향을 행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학교의 목표구조가 어떤 조건에서 어떤 동기적 특성을 가진 교사에게 차별적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This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in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A total of 246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achievement goal for teaching (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mastery,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mastery goals, while perceived performance goal structures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In addition, the two types of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Firs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mastery goals for teach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mastery goals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an those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found for teacher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while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help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under what conditions and for whom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has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 KCI등재

        교사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조윤정(Cho,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교사동기는 교사의 교직업무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습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학업동기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동기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교사동기 연구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동안 수행된 교사동기 연구들은 교직의 특수성을 반영한 동기이론을 개발하여 적용하기 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 사용되었던 동기이론을 교사동기에 단순히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동기 연구에 적용된 주요 동기이론들(자기효능감, 성취목표이론, 자기결정성이론, 기대-가치이론, 성취정서이론)을 검토하고,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도출된 주요 교사동기 구인들(교사효능감, 성취목표, 자율성동기, 교직선택동기, 성취정서)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의 주요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향후 교사동기 연구에서 주목해야할 과제로 교사동기 특수성에 부합하는 동기이론 개발 및 적용, 교사동기의 종단적 변화와 안정성, 교사가 ‘지각한’ 동기의 특성과 선행요인, 교사동기와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 교사동기 측정방식의 다각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동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교사동기 연구자들이 주목해온 주제들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중요성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연구주제들을 발굴하여 향후 과제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espi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eacher motivation on student learn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eacher motivational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eacher motivation in terms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o effectively promote adaptive teacher motivation. Early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the motivational theories utilized in student motivational research are applicable to explain teacher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motiv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teacher motiva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main theories of motivation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 self-determination, expectancy-value, achievement emotion theories) as theoretical framework and examin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teacher moti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futur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t was discussed that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revising and expanding the motivation theories suitable for th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n order to reflect unique and distinctive aspects of teacher motiva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domain-specific and situation-specific nature of teacher motivation need to be captured and tha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motivation and related variables need to be investigated. As research interest in teacher motivation is rapidly increasing,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of teacher motivation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미래 삶의 목표가 학업 참여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조윤정(YoonJung Cho),심성옥(Sungok Serena Shim),황소리(Sori Hwang),Helsper,Addis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308명의 중국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 삶의 목표와 학업 참여 및 소진 경험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미래 삶의 목표(재정적 성공, 사회적 지위, 공동체적 목표)는 다양한 수준의 자기 결정적 동기와 관련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업 참여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목표는 통제된 동기를 매개로 학업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사회적 지위 목표는 자율적 동기를 높여 학업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통제된 동기를 매개로 소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동체적 목표는 자율적 동기를 높여 학업 참여도를 높이는 동시에 감소된 무동기를 매개로 소진 경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현재 학업 동기와 참여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학생들의 미래 인생 목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life goal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burnout of 308 Chinese Medical University students. The path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distinct future life goals (financial success, social status, and communal goals) corresponded to distinct level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motivational levels subsequently impacted both academic engagement and burnout. Financial goals predicted heightened burnout through a pathway of controlled motivation. Social status goals, while positively influencing academic engagement via increased autonomous motivation, also contributed to elevated burnout through controlled motivation. On the contrary, communal goals amplified academic engagement through augmented autonomous motivation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burnout by diminishing amotivat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significant role of students’ future life goals in understanding their current academic motivation and engagement.

      • KCI등재

        The Influence of Juvenile Justice Workers on Delinquent Youths’ Treatment Motivation

        Elana Grissom,조윤정(YoonJung Cho)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신념(향상신념, 고정신념)과 성취목표(숙달목표,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치료 프로그램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있다.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교정직 근로자의 숙달 목표는 비행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숙달목표 및 수행목표 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은 비행청소년의 수행목표 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에 대한 향상 신념은 교정직 근로자의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숙달목표와 수행목표 지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직 근로자가 지능에 대한 향상 신념이 높을수록 교정직 근로자의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숙달목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수행목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linquent youths’ perceptions of juvenile justice system(JJS) worker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s on youths’ motivation to complete delinquency-reduction treatment programs. Results revealed that delinquent youths’ perceptions of JJS workers’ mastery goal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self-efficacy,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Additionally, workers’ entity theories of intelligence positively affected youths’ performance goals. Notably, thre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emerged between JJS workers’ incremental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goals, influencing youths’ treatment motiv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JS workers’ performance goals and delinquent youths’ self-efficacy varied by youths’ perceptions of workers’ incremental beliefs. Second, JJS workers’ incremental beliefs moderated the effect of workers’ performance goals on youths’ mastery goal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performance goals and workers’ performance goals varied depending upon workers’ endorsement of incremental beliefs.

      • KCI우수등재

        지식 습득인가 정파적 해석인가

        이나연(Lee, Na Yeon),조윤정(Cho, YoonJung) 한국언론학회 2017 한국언론학보 Vol.6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partisan knowledge learning and partisan interpretation as played 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media use and attitude polarizat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media use and attitude polarization toward partisan issues, only a few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process by which use of partisan media leads to attitude polarization.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1,032 adults, this study measured their levels of knowledge about three partisan issues and how they interpreted those issues. Based on those measurement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artisan media use, partisan knowledge learning, partisan interpretation, and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toward partisan issu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tical interpret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media use and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that is, use of political media led to partisan interpretation that resulted in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However, political knowledge learning was not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political media and attitude polarization. Specifically, use of partisan media had no relationship with partisan knowledge and partisan knowledge learning had no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attitude pola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tisan interpretation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media use and attitude polarization than partisan knowledge learning.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지은림(Chi, Eunlim),양명희(Yang, Myunghee),조윤정(Cho, Yoon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This paper aims to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eacher concern which was developed in the U.S. since teacher concern is closely related with teachers' culture and environments. This study constructed the teacher concern scale based on Fuller's theory which assumes that teacher concern consists of three factors of ‘impact’, ‘self’, and ‘task’. George's TCQ (Teacher Concern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44 five-point scale items, was administered to 1,077 secondary teachers. To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 the analysis of item fit and item response categories was done by many-faceted Rasch model. The analysis identified 9 misfitting items, and the misfitting items revealed that Korean teacher concern reflects different aspects from Americans. After deleting misfitting items, the interval of item scale was improved and Cronbach-α w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Mplus analysi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trait factors of teacher concern. Among three factors, ‘impact’ was found as the first factor, and ‘self’ was the second factor. In terms of the level of teacher concern, the average score of ‘self’ was highest, and that of ‘task’ was lowest.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teacher concern measurement instrument can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교사관심사는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지각하는 문제와 요구, 어려움으로 정의되는 바 교사교육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교사의 심리적 특성이다. 본 연구는 미국의 교육상황에서 개발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가 우리나라 교사들에게도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측정학적 측면들을 검토하였다. 다국면라쉬모형을 적용하여 문항의 적합성과 문항반응범주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는데, 부적합 문항으로 나타난 9개 문항들은 학급당 학생 수나 학교업무 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교사의 자율권이 낮은 문항이 교사관심사가 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동료교사에 관한 관심도 미국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부적합한 문항을 제외한 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토와 문항반응범주를 재확인하였는데, 질문지가 측정학적으로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의 특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고, 개발된 질문지 결과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사 수준을 파악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외국에서 사용하던 교사관심사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는 것이 교사관심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