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microbial Effect of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김생곤,김민정,김동춘,박순낭,조유진,마르셀로 올리베이라 프레리,장숙진,박영진,국중기,Kim, Saeng-Gon,Kim, Min-Jung,Jin, Dong-Chun,Park, Soon-Nang,Cho, Eu-Gene,Freire, Marcelo Oliveira,Jang, Sook-Jin,Park, Young-Jin,Kook, Joong-Ki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3

        Ursolic acid (UA)와 oleanolic acid (OA)들의 메티실린 저항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에는 상반된 의견들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부터 분리된 19개의 MRSA에 대한 UA와 OA의 항균 활성을 최소성장억제농도 및 최소살균농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 aureus KCTC $1621^T$가 MRSA 균주들보다 UA와 OA에 대한 저항성이 컸다. UA와 OA 각각의 MRSA 19 균주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4-32 ${\mu}g/ml$와 16->256 ${\mu}g/ml$로 넓은 범위를 보였다. UA와 OA에 대한 균주에 따른 항균 작용의 차이는 UA와 OA의 항균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해하기 힘들다. 이러한 결과들은 MRSA에 대한 UA와 OA의 항균 효과는 균주들 간의 UA와 OA에 대한 저항 능력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A), both triterpenoid compound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controversial. We examined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UA and OA against 19 strains of MRSA isolated from Koreans by determining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MBC). The data showed that the methicillin-sensitive strain S. aureus KCTC $1621^T$ was more resistant to UA and OA than that of the MRSA strains. The MBC values of UA and OA against MRSA had broad ranges; 4 to 32 ${\mu}g/ml$ and 16 to >256 ${\mu}g/ml$, respectively.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fferen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UA and OA among the MRSA strains, because UA and OA antimicrobial mechanisms are unknow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UA and OA against MRSA are dependent on resistance to UA and OA in each strain.

      • KCI등재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Carvacrol의 항균효과

        박순낭,이동균,임윤경,김화숙,조유진,김동춘,김생곤,국중기,Park, Soon-Nang,Lee, Dong-Kyun,Lim, Yun-Kyong,Kim, Hwa-Sook,Cho, Eu-Gene,Jin, Dongchun,Kim, Saeng-Gon,Kook, Joong-Ki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원인균들에 대한 carvacrol의 항균능을 알아보고, 사람의 구강조직 세포에서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하여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Carvacrol의 항균능은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5종류의 치주질환 원인균을 이용하여 MIC 및 MBC 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세포생존율은 정상 사람 치은섬유모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carvacrol의 MIC 및 MBC 값은 각각 $16-128{\mu}g/ml$과 $32-128{\mu}g/ml$이었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carvacrol은 $128{\mu}g/ml$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carvacrol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뛰어나지만, 구강조직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어 가글린제 및 치약 등의 구강위생용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64{\mu}g/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하고 정상 사람 치은섬유모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다른 항균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carvacrol against periodontopathic and cariogenic bacteria and its cytotoxicity in human oral tissue cells. We tested their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mutans streptococci and five major periodontopathic bacterial species involved in periodontal disease.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valuated b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The cell viability of carvacrol on normal human gingival fibroblast (NHGF) cells was tested by metyl thiazolyl tetrazolium assay. The data showed that carvacrol ha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 on tested bacteria with a MIC and MBC values ranged from 16 to $128{\mu}g/ml$ and from 32 to $128{\mu}g/ml$, respectively. In cell toxicity studies, carvacrol had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when NHGF cells were treated at $128{\mu}g/m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vacrol has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opathic and cariogenic bacteria. However, in order to use it as a component of gargling solution or toothpaste, its concentration should be below $64{\mu}g/ml$ and other compounds having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opathic and cariogenic bacteria should be used together.

      • KCI등재후보

        온라인 서점에서의 소비자-브랜드 품질이 고객만족과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서현석(Hyun-Suk Suh)․,조유진(Eu-Gene Ch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09 전자무역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품질(정서, 몰입, 파트너십), 보상프로그램의 비교가치지각(가격할인제도, 포인트적립제도), 배송서비스, 시스템편의성 등의 외생요인들이 고객만족과 e-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온라인서점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20대의 대학이상의 교육수준의 사람들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브랜드 관계품질 변수 중 ‘정서’가 고객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은 기존의 전자상거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든 소비자-브랜드 관계품질 외생변수적 역할을 위해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실현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uch exogenous variables as e-Brand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Value in Reward Program, Fulfillment Service, and System Convenience do have influence on the e-Loyalty, mediated by the Customer Satisfaction factor. The related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searched to develop a solid measurement tool on such factors above. A questionnaire survey of 245 online bookshop users was conduct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major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ollege and graduates in their 20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e-Brand Relationship Quality, the Emotion factor has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lso, the valid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e-Loyalt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solid ground for conceptualizing an e-Brand Relationship Quality which is rarely found in electronic commerc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