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통신서비스 분석을 통한 B-ISDN PLAZA 구축에 관한 연구

        조용환,김태호,심영진 ( Yong Hwan Cho,Tae Ho Kim,Young Jin Shim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5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9 No.2

        Abstract_Roman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 scheme of demonstration to be performed at the R-ISDN Plaza which is regarded as a type of testbeds for B-ISDN service. More specifically, in the hope of providing an idea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 충북지역에 적합한 IP 육성방안 연구

        조용환,전병민,김상욱,김태호 ( Yong Hwan Cho,Beung Min Jeun,Sang Wuk Kim,Tae Ho Kim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4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8 No.2

        Abstract_Roman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Information Providers(IP) in Chungbuk Region by perfoming the situational analysis and thus identifying some solutions to the possible problems that may occur in process of informatiza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조용환 ( Yong Hwan H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교육인류학은 오래 전부터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목적, 내용, 방법 등에 관련된 연구를 줄곧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문화`` 이데올로기와 정책에 매몰되어 교육인류학의 호소와 공헌은 우리 교육계와 교육학계로부터 그에 합당한 관심을 받지 못해 왔다. 그러다가 이주민이 급증하고 다문화 가정과 그 아이들이 ``문제``로 등장하면서 다문화교육이 유행처럼 무분별하게 다루어지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동향과 방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질적 연구의 존재론적 접근을 다문화교육에 접목시킬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금까지의 담론은 통합론, 교화론, 자원론, 인권론, 복지론이라 명명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담론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담론들에서 우리는 몇 가지 공통적인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감성적 측면이 소홀히 다루어졌다. 둘째, 질적 이해보다 양적 설명에 치중하였다. 셋째, 겉에 드러난 표현태(phenotype)에 주목하여 이면의 심층적 생성태(genotype)를 간과하였다. 넷째, 인식론에 머물러 존재론으로 나아가지 못 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유념하면서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존재론적, 미학적 방법으로 시를 선택하고 있다. 그간 망각, 은폐, 왜곡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열어 밝히는 데 ``시의 미학``이 어떤 가능성과 한계가 있을지 이 논문은 실험적인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 Anthropology of education has long studied such phenomena as educating multi-cultures, educating multi-culturally, and educating in multi-cultural situations. Its mission and contribution, however, have neither been properly recognized nor properly rewarded by Korean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indulged in mono-cultural ideologies and policies. Meanwhile, Korean society began to gain more and mor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hich caused various social conflicts between foreigners and natives. As a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became a prominent task recently among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They are now strongly recommended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and wisdom of educational anthropologists.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r the last decade seems to be oriented toward integrating social identities, domesticating cultural habits, developing human resources, securing human rights, and promoting the public welfare of children from immigrant families. However, such orientations have revealed several weak points on a philosophical basis as well as in methodological relevance, including (1)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preponderance to quantitative explanation rather than qualitative understanding, (3) overemphasis upon phenotype rather than genotyp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blems``, and (4) indifference to ontologic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tries an alternative poetic approach in order to apply more and better considerations for emotional, qualitative, genotypical, ont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건조체적밀도를 적용한 혼합토사 수치모델의 개발과 수치적 안정성 평가

        조용환(Yong-Hwan Cho),이광호(Kwang-Ho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3

        산업화에 의해 소실된 갯벌의 중요성이 근래에 주목을 받으며 인공 갯벌의 조성 및 자연 갯벌의 유지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갯벌을 조성하는 실트, 진흙, 모래 등과 같은 저질에 의한 거동특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 갯벌과 같이 혼합토사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가 현지조사와 수리실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수치모델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을 구성하는 저질의 동적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혼합토사 모델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혼합토사에 대한 표사이동 수치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재현 및 이동에 따른 수치적 안정성이 우선 검토되어야 하므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체적관계를 토사의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시상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혼합토사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하기 위해 진흙이 물을 함유하는 함수비를 도입하여 진흙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안된 혼합토사의 수치해석 모델을 혼합토사의 사면 붕괴에 적용하여 사면 붕괴에 따른 진흙과 모래의 이동계산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importance of tidal flats lost due to industrialization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nd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cre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s and maintenance of natural tidal fla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ud, mud, and sand that form tidal flats. Although research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mixed soils such as tidal flats has been conduc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and hydraulic experiments, interest in developing a numerical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has not yet reached.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ixed soil model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low quality of the tidal flats. In constructing a model for reproducing the surface movement of mixed soil, the numerical stability of the reproduction and movement of sand and mud constituting the mixed soil in the numerical model should be considered first, so first, the volume of sand and mud constituting the mixed soil A mixed soil model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was proposed based on a topographical diagram represent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mixed soil. In order to consider the dry bulk density of the mixed soil,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dry bulk density of the mud by introduc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ud containing wate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ud and sand movement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slope collapse of the mixed soil was stably perform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slope collapse of the mixed soil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to which the proposed mixed soil model was applied.

      • KCI등재

        Sediment Transport Calculation Considering Cohesive Effects and Its Application to Wave-Induced Topographic Change

        Cho, Yong Hwan(조용환),Nakamura, Tomoaki(나카무라 토모아키),Mizutani, Norimi(미즈타니 노리미),Lee, Kwang-Ho(이광호)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5 No.6

        점착성 표사의 유동 특성을 다루기 위하여 점착력을 고려한 표사유동 수치계산 모델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계산 모델에서는, 각각의 모래 입자는 점토의 얇은 층으로 둘러싸여 있는 상태를 가정했다. 모래 입자에 작용하는 점착력을 적용하기 위해 한계 Shields수와 소류사량을 결정하는 항이 수정되었다. 제안된 표사모델은 3차원 유체 구조 지형변화 연성 수치계산 모델에 적용하여, 인공여울의 지형변화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치계산 결과, 각각의 점토 함유율,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점착 저항력, 함수비의 증가는 한계 Shields수를 증가 시키고, 반대로 소류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지형변화 경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채 여울의 지형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를 모래 입자와 혼합함으로써 여울의 지형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암시한다. A sediment transport calculation considering cohesive force is proposed to deal with the transport phenomena of cohesive sediment. In the proposed calculation, each sand particle is assumed to be surrounded by a thin layer of mud. The critical Shields parameter and bed-load sediment transport rate are modified to include the cohesive force acting on the sand particle. The proposed calculation is incorporated into a two-way coupled fluid-structure-sediment interaction model, and applied to wave-induced topographic change of artificial shallow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the content ratio of the mud, cohesive resistance force per unit surface area and water content cause increases in the critical Shields parameter and decreases in the bed-load sediment transport rate, reducing the topographic change of the shallow without changing its trend. This suggests that mixing mud in the pores of the sand particles can reduce the topographic change of shallows.

      • 스마트 그리드의 국내·외 동향 및 보안의 중요성

        이성호(Sung-Ho Lee),조용환(Yong-Hwa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5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기전 전력망에 IT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그리드 사업이 활발하게 연구 진행 중이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는 시범 단지를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의 여러 가지 이점이 있지만 보안에 취약하다면 개인정보 유출, 경제적 손해, 서비스 제공의 중단 등이 일어나게 되므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상용화는 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보안은 매우 중요하므로 본고에서는 현재 스마트 그리드 기술의 취약점을 알아보고 대책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KCI등재

        역삼각형 플랩을 이용한 진자형 파력발전장치의 파랑응답에 대한 수치적 재현 가능성

        김탁겸(Tag-Gyeom Kim),김도삼(Do-Sam Kim),조용환(Yong-Hwan Cho),이광호(Kwang-Ho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5

        진자형 파력발전장치(Oscillating Wave Surge Converter, OWSC)는 다양한 유형의 파랑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해야하며 최적의 파랑에너지를 추출하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OWSC의 거동과 관련된 복잡한 파랑-구조물 상호작용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OWSC의 개념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 수치해석은 OWSC의 설계도구로써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OWSC의 거동특성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오픈소스 CFD를 이용하여 내습하는 파랑에 대한 역삼각형 플랩의 거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규칙파 내습시 주기의 변화에 따른 역삼각형 플랩 인근의 자유수면변위 및 회전각도(Flap Rotation angle)를 산정하여 구조물의 거동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그 결과를 수리실험과 비교·검토하여 해석성능의 타당성 및 OWSC의 관련 문제를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수치모델로서의 적용성능을 검증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파랑과 역삼각형 플랩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체역학적 거동 특성을 양호하게 재현함을 확인하였다. Analyzing various wave interactions with oscillating wave surge converters (OWSC) is essential because they must be operated efficiently under a wide range of wave conditions and designed to extract optimal wave energy. In the conceptual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of OWSC, numerical analysis can be a good alternative as a design tool. This study performed a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rted triangle flap against the incident waves using open source CFD to examine the essential behavioral attributes of OWSC. Specificall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were studied by calculating the free water surface displacement and the flap rotation angle near the inverted triangular flap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eriod under the regular wave condition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ith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performed and the applicability in analyzing the wave-structure interactions related to OWSC was verified.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the hydrodynamic behavior characteristic due to the interactions of the wave and the inverted triangle flap was well reproduced.

      • KCI등재

        지도학습을 이용한 새로운 선형 쇄파지표식 개발

        최병종(Byung-Jong Choi),박창욱(Chang-Wook Park),조용환(Yong-Hwan Cho),김도삼(Do-Sam Kim),이광호(Kwang-Ho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2 No.6

        연안에서 천수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쇄파는 표사이동, 연안류의 생성, 충격파압의 발생 등과 같은 연안역의 다양한 물리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연안구조물의 설계 시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과 같은 쇄파지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쇄파현상을 규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많은 과학적인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대표적인 쇄파에 연구들은 주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쇄파지표 예측을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쇄파지표에 대한 경험식은 일정한 방정식의 가정하에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가정한 방정식의 계수들을 결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귀 혹은 분류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분야에 있어서 높은 예측성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선형기반의 지도학습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적용된 머신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기존의 쇄파에 대한 실험자료로부터 쇄파지표 예측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학습된 모델로부터 쇄파예측을 위한 새로운 선형식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쇄파지표식은 단순한 선형식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험공식에 비해 유사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Breaking waves generated by wave shoaling in coastal area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various physical phenomena in coastal regions, such as sediment transport, longshore currents, and shock wave pressure. Therefore, it is crucial to accurately predict breaker index such as breaking wave height and breaking depth, when designing coastal structures. Numerous scientific efforts have been made in the past by many researchers to identify and predict the breaking phenomenon. Representative studies on wave breaking provide many empirical formulas for the prediction of breaking index, mainly through hydraulic model experiments. However, the existing empirical formulas for breaking index determine the coefficients of the assumed equa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under the assumption of a specific equation. In this paper, we applied a representative linear-base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at show high predictive performance in various research fields related to regression or classification problems. Based on the used machine learning methods, a model for prediction of the breaking index is developed from previously published experimental data on the breaking wave, and a new linear equation for prediction of breaker index is presented from the trained model. The newly proposed breaker index formula showed similar predictiv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empirical formula, although it was a simple linear eq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