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도서관의 다문화자료 입수를 위한 효과적 방안 연구

        조용완,Cho, Yong-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3

        최근 우리사회가 급격히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국내거주 이주민들 의 출신국가에서 생산된 자료의 입수와 제공은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비체계적인 자료입수 방법과 해당 국가의 열악한 출판 및 유통 환경 등으로 인해 다문화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는 일부 도서관들은 다문화자료의 입수에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들의 다문화, 지역학, 어문학 관련 자료입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다문화자료의 효과적인 입수를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problems of acquisition of multicultural materials published in many countries where immigrants living in Korea came from. Until these days, libraries that want to support immigrant community in S. Korea have had many difficulties in acquiring those materials because they used informal acquisition methods and mother countries of the immigrants in Korea have lower quantities and quality of boo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an developed count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 utilizing domestic vendors or book jobbers, contacting online bookstores, publishers and local bookstores in mother countries of the immigrants in Korea, attending international book fairs held in different Asian countries and taking buying trips for multicultural materials and connecting organizations and people related with multicultural materials. This study gives some benefits to libraries that are developing area studies, language and literature collection as well as libraries that are developing multicultural collection.

      • KCI등재

        대구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의 아카이빙 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조용완,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대구 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다문화 정보자원의 생산, 수집, 관리를 포함하는 아카이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청 다문화팀, 다문화 관련 센터와 시민단체, 공공도서관 등 총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생산, 외부 정보자원의 수집, 그리고 공문서와 상담일지, 다문화 도서, 박물자료 등의 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유관 기관들은 정보생산, 수집, 관리에서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며, 양측은 협력적 아카이빙 활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archiving activities related to producing,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of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Dae Gu. To do this, 12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Multicultural Team of Dae Gu,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eign worker support center, NGOs for immigrants and public libraries were visited. As a result,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have struggled for producing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collecting information resources from external bodies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like official documents, counseling reports, multicultural books and artifacts. But there were problems in archiving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solve problems, first,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should reinforce responsibilities to produce,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resources. Second, public libraries should actively try to collect and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from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Finally, cooperative archiving activities between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and public libraries are needed.

      • KCI등재

        대구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의 아카이빙 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조용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archiving activities related to producing,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of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Dae Gu. To do this, 12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Multicultural Team of Dae Gu,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eign worker support center, NGOs for immigrants and public libraries were visited. As a result,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have struggled for producing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collecting information resources from external bodies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like official documents, counseling reports, multicultural books and artifacts. But there were problems in archiving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solve problems, first,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should reinforce responsibilities to produce,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resources. Second, public libraries should actively try to collect and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from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Finally, cooperative archiving activities between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and public libraries are needed. 본 연구는 대구 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다문화 정보자원의 생산, 수집, 관리를 포함하는 아카이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청 다문화팀, 다문화 관련 센터와 시민단체, 공공도서관 등 총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생산, 외부 정보자원의 수집, 그리고 공문서와 상담일지, 다문화 도서, 박물자료 등의 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유관 기관들은 정보생산, 수집, 관리에서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며, 양측은 협력적 아카이빙 활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조용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deals with information poverty and information service for information welfare of North Korean refugees.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it was conclud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were situated at information poverty, as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South Koreans.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ir information poverty was caused by the inferiority of their information literary and information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for overcoming the information poverty and promoting the information welfare of North Korean refugees. 이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 급격히 유입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이 겪고 있는 정보빈곤 문제와 그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심층면담과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그들은 정보 리터러시의 결핍과 열악한 정보환경 등으로 인해 남한사회 정착과 적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입수하여 활용하지 못하는 정보빈곤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빈곤을 해소하고 그들의 정보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정보지원체계를 수요자인 북한이탈주민 중심의 정보서비스 체계로 전환하는 한편,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마인드와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북한이탈주민들도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적극적인 정보추구를 통해 남한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구지역 자치단체장 후보자와 당선자의 도서관 공약 제시 및 이행 분석 -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조용완,Cho, Yong-Wa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explored election promises on library fields by the candidates for the mayor,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and the chiefs of district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implementation of their election promises by the elected head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5th local election of Korea. To do this, election promises of 36 candidates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official gazettes for elections deposited i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f Korea. Also, the implementation of their promises of 11 elected heads was analyzed by searching through the official websites, news databases and internet. As a result, election promises and implementation by the candidates for the mayor and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were mostly insufficient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54% of all candidates for the chiefs of districts presented election promises that were mostly related with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and installation of small libraries. Some elected chiefs actively implemented their promises, while the other elected chiefs did not fulfill their promises. 본 연구는 2010년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대구지역의 광역시장, 교육감, 구청장(군수)에 출마한 후보자들의 도서관 관련 공약제시 여부 및 공약내용을 검토하고, 당선된 단체장들이 도서관 관련공약을 어떻게 이행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후보자 36명을 대상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선거공보 등을 토대로 공약을 분석하였으며, 이 중에서 자치단체장으로 당선된 11명의 공약 이행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시청, 교육청, 구청의 홈페이지와 언론기사를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광역시장과 교육감 후보자들의 도서관 공약과 당선자들의 공약이행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대체로 미흡하였다. 그리고 대구지역 기초단체장 후보자들은 54%가 도서관공약을 제시하였는데, 공공도서관 건립 공약과 작은도서관 조성 공약으로 한정되었다. 기초단체장 당선자들의 공약이행과 관련해 일부는 적극적으로 도서관 공약을 이행한 반면, 일부는 거의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도서관 기반의 다문화 아카이브 분석 연구

        조용완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4

        After introducing the Industrial Trainee System in 1993, the population of immigrants coming to Korean have increased rapidly and over 2 million immigrants are living in Korea in 2017. In this situation, libraries are responsible for collecting, organizing,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various records related to immigrants living in local communities but it is hard to find these kind of libraries in Korea. So, this study is trying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archives established by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To do this, 9 multicultural archives in U.S. and Canada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supporting institutions, types of records, digitizing and file formats, digital collec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adata schemas. At last, some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libraries as a local multicultural archives. 1993년 산업연수생 제도 도입 이후 체류 외국인의 수가 214만 명에 이르는 오늘날까지 이주민과 그 가족, 이주민 모임, 다문화 유관 기관/단체들이 가치 있는 기록물을 생산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도서관들은 아직 이를 체계적인 아카이브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도서관이 주체가 된 지역사회의 다문화 및 소수 인종 관련 아카이브 9개를 대상으로 하여 아카이브의 참여기관 및 지원기관, 대상 기록물 유형, 원문 구축과정 및 파일 형식, 기록물 관리시스템과 메타데이터 지원 등의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들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도서관들의 다문화 아카이브 구축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몇 가지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주요국의 법정납본 법규 비교 연구

        조용완,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3

        The legal deposit is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method for acquiring a country's publicat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laws and regulations about legal deposit among several countries that have different histories and traditions and to supplement laws and regulations of Korea's legal deposit. To do this, research papers and laws, regulations, guides, web sites and online systems about legal deposit of eight countries including USA,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France, Japan, Singapore, and Korea were reviewed.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se several categories including publications to be deposited or not deposited, requirements, due dates, expenses, and numbers of copies for deposit, and penalty for noncompliance with legal deposit. Also, online publications to be deposited or not deposited, requirements and methods for deposit were compared and analysed. At last, some suggestions were also made for improvement in laws and regulations of <Library Law> in Korea. 법정납본은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가진 나라들의 법정납본에 관련된 법률과 명령, 규칙 등을 항목별로 비교하여 국내의 납본 관련 법규의 미비점을 개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법정납본 제도에 관한 각종 문헌에 대한 검토와 함께 한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프랑스, 일본, 싱가포르 등 총 8개국의 납본 법규와 납본 안내자료, 납본 수행기관 홈페이지, 온라인 납본시스템 등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별 법정납본에 관한 법적 근거와 납본 기관에 대해 검토하고, 국가별 법정납본 법규를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대상 국가별로 납본 대상 자료, 납본 제외자료, 납본자료의 요건, 납본 기한과 납본 비용, 납본 미이행 벌칙, 납본 부수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급증하는 온라인 출판물의 납본에 대해 살펴보고자 각 국가별로 온라인 납본 대상 자료, 납본 제외 온라인자료, 온라인자료의 납본 요건, 온라인자료의 납본 방법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별 법정납본 법규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법정납본의 발전을 위해 <도서관법> 내 납본 관련 조항의 개정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주요 국가의 학위논문 납본 관련 법규와 실무에 관한 분석 연구

        조용완,구정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8개국의 학위논문의 법정납본과 관련된 자료들을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위논문 법정납본 제도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조사대상 국가의 학위논문 납본과 제출 등에 관련된 법규와 국가도서관 및 학술유통기관의 학위논문납본 실무과정과 지침, 주요 대학들의 학위논문 납본 실무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요 논점이 되는 사안을 도출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학위논문 법정납본 제도를 위해 법적인 측면에서는 도서관법과 고등교육법의 개정을, 실무측면에서는 KERIS의 학위논문 수집과 제공에 관한 법적 근거의 강화와 dCollection 시스템 운영의 개선과 더불어 전자학위논문 중심의 납본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research aims to propose improvement to legal theses deposit system in S. Korea by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legal theses deposit systems in eight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Canada, Australia, France, Taiwan, Japan and S. Korea. The research used documentary research method including literature review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legal regulations, ordinances, practical processes,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sis submissions at national libraries and academic institutional depositories, as well as practical cases of thesis submissions at major universities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key issue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and corresponding suggestions for solving the issues are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theses deposits systems, the research recommends legal amendments to the Library Law and Higher Education Law. On the practical side, the research proposes strengthening the legal foundation for KERIS, in collecting and providing thes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dCollection system, and proposing a submission method focused on electronic theses.

      • 척추 전이암 환자의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시간 경과에 따른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조용완,김주호,안승권,이상규,조정희,Cho, Yong Wan,Kim, Joo Ho,Ahn, Seung Kwon,Lee, Sang Kyoo,Cho, Jeong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1

        목 적 : 치료 중에도 지속적으로 X-ray 영상을 획득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치료 방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 척추 전이암 정위적방사선치료의 적절한 치료 시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yberKnife를 이용하여 정위적방사선치료를 받은 척추 전이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경추 환자는 8명, 흉추는 26명, 그리고 요추는 23 명이었다. 치료 중 획득한 X-ray 영상을 종합하여 치료 부위 별로 분류한 후, 치료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5 분마다 구간을 나누어 시간에 따른 환자의 움직임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 경추의 경우, 회전 방향으로 15 분 이후부터 움직임의 증가폭이 커지기 시작하였다. 흉추에서는 특별히 움직임이 증가하는 구간은 없었으나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기 때문에 대략 40 분 이후 의미 있는 값이 나올 것이라 추정된다. 요추의 경우, 치료 시작 20 분 이후 수직 이동 방향과 회전 방향으로 움직임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치료 시스템의 경우, 치료 시간은 경추의 경우 15 분, 흉추의 경우 40 분, 요추의 경우 20 분 이내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약 치료 시간이 이보다 긴 경우, 치료 중간에 추가적인 환자 정렬을 실시하거나 추가적인 PTV margin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time of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spine metastasis cancer by using the image guidance system of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which is able to correct movements of patients during th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seven spine metastasis cancer patients who have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of CyberKnife participate, 8 of them with cervical spine cancer, 26 of them with thoracic spine cancer, and 23 of them with lumbar spine cancer. X-ray images acquired during the treatment were classified by treatment sit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reatment, motion tendency of patients is analyzed in each section which is divided into every 5 minutes. Results : In case of cervical spine, there is sudden increase of variation in 15 minutes after the treatment starts in rotational direction. In case of thoracic spine, there is no significantly variable section. However, variation increases gradually with the passage of time so that it is assumed that noticeable value comes up in approximately 40 minutes. In case of lumbar spine, sharp increase of variation is seen in 20 minutes in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direction. Conclusion : Without having corrections during the treatment, proper treatment time is considered as less than 15 minutes for cervical spine, 40 minutes for thoracic spine, and 20 minutes for lumbar spine. If treatment time is longer than these duration, additional patient alignments are required or PTV margin should be enlarged.

      • KCI등재

        문헌정보학 분야의 난민연구 문헌고찰

        조용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1

        This study analyzes 47 articles dealing with refuge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he subjects of these articles are such various as the cases of refugee service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the library service guidance for refugees, information resources of refugees and forced migration study, and information need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refugees. However, the research of this area has such limitations and weakness as the small scale of articles about refugees, the scarcity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deficient studies concentrating refugees directly, and the unprepared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there was no article about refugee which was produced by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South Korea. Urgently needed is the research of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orth Korean refugees considering the recent influx of North Korean refugee into South Korea. 본 연구는 난민과 관련하여 1975년부터 현재까지 국내외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생산된 47편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주요 주제들은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난민 서비스 사례보고, 난민관련 도서관 서비스 방안 제시, 난민과 강제이주학 분야의 정보원 안내, 난민의 정보요구 및 정보행태 분석 등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은 나름의 의의를 가지고 있었지만, 첫째, 관련 연구의 양적 부족, 둘째, 전문연구자의 부재, 셋째, 난민 맞춤형 연구의 부족, 넷째, 체계적인 연구방법의 미비와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난민관련 연구가 전무하였는데, 북한이탈주민들이 대거 입국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을 고려할 때, 그들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의 개발을 위하여 그들의 정보요구와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가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