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TV 서비스를 위한 수신권한 인증 및 관리 시스템

        조용순,박기철,정회경,Cho, Yong-Soon,Park, Ki-Chul,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

        최근 들어 통방융합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방송, 통신, 전화 서비스가 통합된 TPS(Triple Play Service)를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V) 서비스를 등장시켰다. IPTV는 방송 서비스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보안을 위해 IPTV 포럼에서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보안 솔루션 인터 페이스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CAS는 실시간 방송 보안에 적합하고, DRM은 VOD 서비스 보안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 보안 시스템들은 제작자에 따라 권한정보의 표현 및 관리가 서로 상이하여 상호운용 부재를 야기한다. 또한 CAS와 DRM의 인터페이스 표준화 작업이 완료되면 표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기종 보안 시스템간의 통합 운용 요구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보안 시스템과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상호 운용 가능한 권한 정보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와 유연한 IPTV 서비스를 위해 CAS와 DRM을 연계하여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수신권한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Currently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has integrated, And IPTV Service has appeared who called TPS(Triple Play Service) which integrated with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and Phone Service. IPTV provide broadcasting service and VOD(Video on Demand) service, and it must be satisfied digital content security. For this condition, IPTV Forum working on standardization of interface for digital content security. The Security solution for broadcasting and VOD are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But these solutions manufactured by many vendors, so there is no inter-operability. And after finished standardization of interface for CAS and DRM system, the problem of inter-operability with them will be issued. For this reason, Rights management system which possible to operate independently with platform is necessary. In this paper, To protect multimedia digital conten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Conditional Access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음악클럽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 개정방안에 대한 연구

        조용순 ( Cho Yong-s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2

        음악클럽은 다양한 대중음악을 접할 수 있는 유통창구로써 관객과의 소통을 통한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관광활성화에도 기여하며, 해당 지역의 문화적 거점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홍익대학교 인근을 중심으로 영세하게 운영 중인 소형 음악클럽은 주로 일반음식점업으로 영업하면서 식품위생법 등의 규제의 대상인 반면에, 음악산업과 관련한 정부지원 정책으로부터는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음악산업과 관련한 정부지원 정책의 대상으로 편입시키고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요하다. 관련법의 주요 개정 방안으로는 음악산업진흥법에 ① 음악클럽을 음악공연장업 등으로 규정할 수 있도록 정의규정 마련, ② 음악산업의 정의에 음악공연장 업의 추가, ③ 음악클럽의 창업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지원근거 마련을 위하여 관련 시행령에 `음악프로그램 개발`, `공연장 홍보`, `국내외 관광객 유치`, `마케팅 및 경영지원` 등의 구체적 지원내용의 명시, ④ 음악공연 프로그램 등 우수한 음악클럽의 지정 등이 필요하다.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주도적으로 음악공연거리 등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문화산업진흥지구의 개념에 문화산업 관련 시설이 포함되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한편, 음악산업진흥법에서는 자유업으로 분류되는 음악클럽을 향후 법개정 및 정책 전 개시 신고업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정부혜택은 받지 못하면서 형사처벌의 대상만 양산되 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는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Music Club serves as a distribution center for various music channels and contributes to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and serves as a cultural hub in a related region. However, music clubs are mainly operating as general food stores, while they are regulated by Food Sanitation Law. It means that music club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related to the music industry.38)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music clubs the related laws need to be revised. The amendments to the Music Industry Promotion Act(MIPA) are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finition of the music club so that the music club can be defined as musical performing business. ② The music industry should be added to the definition of musical performing business. ③ In order to help start-up music clubs business and support to develop their business, concrete support programs such as development of performance programs, promotion of performances, promo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pport, and marketing and management etc. need to be noted in detail. ④ Designation grounds for excellent music clubs, such as music performance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needs to be revised to include cultural industry related facilities in the concept of the cultural industry promotional zon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cording to the MIPA music clubs does not receive the benefit of the government when it convert a free music club to declaration in the future or registration business. Also, in this case music clubs easily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Therefore, the legislation in this way should not be enacted.

      • KCI등재후보

        콘텐츠산업 진흥법과 기타 콘텐츠 관련 법률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조용순(Cho, Yong-Soo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3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fully revised along with changing its name to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ct(CIPA)” on 19th of May, 2010. However, with the dissolu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ransferring the contents works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MCST),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Development Act” has been, in fact, under control of MCST. Consequently, additional basic law has come to co-exist with the pre-establishe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Basic Act(CPBA)”, under which so far, cultural contents and digital cultural contents has been promoted. The revision also made the role of the former one unclear that has solely given base to other the subordinating specific laws including Game Industry Promotion Act,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also contains legal ground for the promotion of contents industry, which shall be problematic in relation with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Act(draft) (IPBA), clear relations between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contents, and clear and definitive role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and Contents Industry Promotion Committee, both are to be installed, need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tection coverage is to enlarged to entire contents producer from narrower online producer with the CIPA revision, this should be reviewed in Copyright Law’s perspective as well. CIPA contains mixed ranges of provisions acting as basic law and specific law, in which there is limit that provisions as basic law should be embodied in a specific law. In this regard, CIPA is required to establish a reasonable relations with specific laws. While CIPA is constituted primarily with provision of “programmed regulation”, CPBA contains provision that is not represented in a specific law, so that no duplication is incurred and each are made up for among CIPA, CPBA and other specific laws. Considering the concerns about conflict between MCST and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the article 4 of CIPA seems to need revision in a way to secure tha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is consistent to the basic concept of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Law(draft), IPBA(draft) is completely programmed regulation, CIPA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and basic concept of IPBA, no direct conflicts are expected. However, contents can be concluded in intellectual property, when planning policy involved, it is need to reconcile with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As some provisions involved with simplification in requirement for protection, clarification of the commencing point of copyright duration, extension of prohibited behaviour, that were proposed from the shortfall in Online Digital Contents Promotion Act, has been improved, it seem that contents producer, who has been out of protection by Copyright Law, now, de facto, can be protected at least by CIPA. For the days coming, legal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consistently in a way the relations among laws involved with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re clarified and optimized, from which participants around contents industry benefit from more supports and the consistent policies.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이 2010년 5월 19일 「콘텐츠산업 진흥법」으로 법 명칭을 변경하고 그 내용이 전면 개정되었다. 그러나 현 정부에서 정보통신부가 해체되면서 콘텐츠와 관련된 사항이 문화체육관광부로 이관됨에 따라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은 사실상 문화체육관광부가 관장하는 법이 되었다. 이에 따라 콘텐츠산업과 관련하여서는 그간 문화콘텐츠, 디지털문화콘텐츠 등의 진흥에 대한 근거법인 「문화산업진흥기본법」과 함께 표면적으로는 두 개의 기본법이 상존하는 상황이 되었다. 또한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등 개별 콘텐츠산업에 대한 기본법 역할을 하던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은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제정으로 그 위치가 상당히 애매하게 되었다. 그리고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에서도 콘텐츠산업의 진흥 근거가 있어 콘텐츠산업 진흥법과의 관계가 문제된다. 또한 「지식재산기본법(안)」과 관련하여서는 지식재산과 콘텐츠와의 관계 및 콘텐츠산업 진흥과 관련된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와의 관계정립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제정으로 기존의 온라인콘텐츠제작자에서 콘텐츠제작자로 보호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저작권법」과의 관계도 재조명 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은 콘텐츠의 진흥에 있어서는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조항과 개별구체적인 조항이 혼재되어 있는 바,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조항들은 다시 개별법제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개별법들과 관계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콘텐츠산업 진흥법에는 프로그램 규정 위주로 구성하고,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은 개별 법률에 없는 조문들을 두어 개별법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그리고 콘텐츠산업 진흥법이 상호 중복되지 않고 보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콘텐츠산업 진흥법은 콘텐츠 분야 시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다른 법률이나 행정을 지도ㆍ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선언적이고 프로그램적인 내용과 관련된 조문을 위주로 정립되어야 하며, 개별 구체화된 규정들은 개별 법률에 규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개별법에 일일이 담기 어렵거나 공통적인 지원근거가 필요한 규정들을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에 두게 된다면 콘텐츠산업 진흥법, 개별법,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이 서로 충돌 없이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송통신 기본법과 관련하여서는 콘텐츠 영역을 두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충돌할 우려가 있으므로 「콘텐츠산업 진흥법」 제4조의 개정을 통하여 방송통신 기본법도 콘텐츠 진흥부분에 있어서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기본이념에 부합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식재산기본법(안)과 관련하여서는 지식재산기본법은 완전한 프로그램 규정들이고, 콘텐츠산업 진흥법은 지식재산기본법의 목적과 기본이념에 부합하므로 직접적인 충돌은 없고, 다만 지식재산의 개념에 콘텐츠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시책 수립과 관련하여서는 국가 지식재산위원회와의 조율이 필요하다. 그간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의 한계로 제기된 보호요건의 간소화, 보호기간 기산점의 명확화, 금지되는 행위의 확대와 관련된 규정이 정비됨에 따라 저작권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콘텐츠제작자는 이제 콘텐츠산업진흥법에 의해서라도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콘텐츠산업 진흥과 관련한 법률 상호간의 관계정립이 이루어져 부처간 중복사업과 국고낭비를 줄이고, 콘텐츠 진흥 시책의 일관성이 유지되어 콘텐츠 산업에 종사하는 자에게 더 효율적이고 많은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법적 환경이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음반 등의 유통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식별자의 표시방법에 관한 고찰

        조용순(Cho, Yong-Soo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法學論叢 Vol.15 No.1

        The unified environment between Broadcasting-communication has come due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environment is now affecting the music industry. The music business is currently in downhill due to the increase of illegal downloading from P2P, Web-Hard services. And the old type of music media is being rapidly replaced to providing service through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 To confront this trend,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has been published in 2006. This Act issued the policy of "Identifier Indication" for the digital environment. Identifier Indication is: the meta-data which provides the unique serial number for the contents which are distributed on & off line to be managed permanently. If media such as disc and record are managed by this method, it enables the copy right protection, tracking down the distribution route, and also easy purchase and free-usage of the media for the internet users. Currently, only "trade name" and "rate classification" are being standardized for indication requirements at the current regulations for music industry promotion. But "identifier Indication" must be imported as a standard indication requirement, and also a digital indication method should be standardized to identify the digital music or video medias. In the article 11 of the current Enforcement Decree, it is required to put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Promotion" indication mark partially on music and video contents, however, this is not for the obligation, but for the protection. However, the policy of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is empowered to charge fine for negligence when the required indication identifier is not properly attached on the media. Therefore, there should be an amendment on the current article 11 at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that the optional identification on media must be changed to as an oblig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장애인 및 고령자의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관련 법률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조용순 ( Cho Yong S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1

        정보통신분야의 경우 장애인의 인터넷사용을 통한 지식공유 및 편의증진을 위한 웹접근성(Web Accessibility)이 도입되어 일반인들과의 정보격차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과 고령자는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가전제품의 사용에 있어 겪는 불편함은 여전하다. 점점 스마트화 되어가는 가전제품을 장애인과 고령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장애인과 고령자의 편의증진을 위한 기능이 적용된 기기의 개발과 생산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는 장애인, 고령자, 남자, 여자, 어린이 등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된 소위,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가 적용된 제품의 개발과 생산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수록 공정이 늘어나므로 결국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련 법제도의 정비를 통하여 관련 기술 연구개발 지원, 표준화 지침 제정을 통한 업계 혼란방지가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가전접근성법(Home Appliance Accessibility Act)이 제안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장애인단체, 가전기기 업체, 학계가 모여 “가전접근성포럼”을 발족하고 표준화, 제도개선에 대하여 논의를 하기 시작하였다. 가전접근성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방안으로는 먼저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조속한 통과가 필요하며, 동법 시행령의 정비를 통하여 접근성 도입이 시급히 필요한 가전제품의 품목, 사업자범위, 적용에 필요한 수단내용(가이드라인) 등을 잘 정립해야 한다. 이때에는 장애인 단체와 업계의 의견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은 고령자는 대상이 아니므로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의 개정도 아울러 필요하다. 한편,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개정은 가전접근성 확보에 대한 상당한 효과가 있으나, 주로 의무규정이어서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발전법 등의 개정을 통하여 기업의 인센티브 부여방안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어느 법률이라도 관련 기술표준 가이드라인에 대한 근거를 만드는 경우, 가이드라인 준수에 대한 업계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만일 개별법에 의해도 가전접근성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신법제정도 고려할 수 있으나 다른 법률의 개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면 신법 제정은 가장 마지막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Electronics and Home Appliances is getting smarter.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disabled and elderly to use them, most of all, it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he equipments which are applied the func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and the aged. * Professor of Ha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Industrial Security However, in companies`` position, a main problem occurs, which means their production cost increases as they add new functions to their product. Theref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m throughout reforming the related law. It is more important to produce universal design products which all-the public, disabled and aged- can use than to produce the disabled and aged specific design products. In the future, there are likely to be institutionalized as a trade barrier when Home Appliance Accessibility Act is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so that we need a proactive response. First of all, amendments to the Discrimination Disability Act is necessary in order to get the accessibility of electronics and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o this, revision of the elderly-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is also required. And Industrial Development Act should be reformed such as a plan of corporate incentives scheme. If we still have this problem, we have to consider enacting a new law. However, the enactment of the new law will be the very last resort.

      • KCI등재
      • KCI등재

        기술보호 관련 법률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고찰: 특허법, 영업비밀보호법, 산업기술보호법, 하도급법, 상생협력법을 중심으로

        조용순 ( Cho Yongsu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1

        우리나라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액 산정은 침해로 인한 일실이익에 대한 전보배상이 원칙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륙법계 국가로는 드물게 영미법상에 도입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기술보호 관련 법률로는 2011년 하도급법에 도입된 이래, 2019년 특허법, 영업비밀보호법, 산업기술보호법, 상생협력법에 도입되었다. 징벌적 손해배상은 ‘고의’에 대한 판단이 특히 중요한데, 아직까지 판례가 축적되지 못한 관계로 미국의 판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대기업은 변호사의 자문 등을 통한 고의의 회피가 가능하나 중소기업은 제도 인식의 미비 등으로 오히려 징벌적 손해배상을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더 많아 질수도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특허법을 제외한 영업비밀보호법, 산업기술보호법, 하도급법, 상생협력법의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에도 불구하고, 손해의 입증과 관련된 규정은 아직 정비가 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입증자료 제출 범위 확대, 손해액 산정을 위한 자료인 경우에는 자료제출 명령의 대상으로 하고, 자료제출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는 침해에 대한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하는 등 개정 특허법의 수준으로 정비될 필요가 있다. 영업비밀보호법의 경우 손해액의 추정에 있어 로열티 상당액의 산정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금액이 아닌, 개정 특허법과 같이 ‘합리적’으로 추산된 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이를 고려하여 향후 개정될 필요가 있다. 한편, 산업기술보호법, 하도급법, 상생협력법은 손해액 추정규정 자체가 없는 상태이므로, 손해액 추정규정 도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신기술의 유출이나 탈취의 경우 기술가치 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피해액 산정을 위한 모델개발과 함께 가치평가가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Korea, punitive damages were introduced in the 2011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FTSA), and in 2019 the Patent Act, Trade Secret Protection Act(TSPA),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ITPA), and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Act(MBCA). In punitive damages, the judgment of ‘intentional’ is especially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US precedents since there is no accumulated case. Major Company can avoid intentional counseling through the advice of lawyers, but SMEs may have to punish punitive damages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system. In the case of TSPA, ITPA, FTSA, and MBCA, except for Patent Act, the provisions related to proof of damage have not been well maintained yet. Therefore, the data submission order system of these laws needs to be revised to the level of patent Act need to be. TSPA needs to be amended in the future to estimate the amount of the royalties in estimating the amount of damages so that it can receive the 'reasonably' estimated amount rather than the usual amount. On the other hand, ITPA, FTSA, and MBCA do not have any provisions for the estimation of damages. Beside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technology value in the case of leakage or deodorization of new technologies. Therefore, valuation needs to be carried out by a credible institu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calculating damages.

      • KCI등재

        직무발명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용순 ( Cho Yong-s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직무발명에 대하여 발명자 귀속주의를 유지하였던 일본은 2015년 ‘사용자 귀속주의’를 일부 도입하여, 직무발명이 완성된 때에 특허 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기업으로 자동 승계되도록 하여 직무발명의 완성시점과 승계시점을 일치시킴으로써 불확실한 권리관계를 해소하고 명확하지 않은 권리관계를 이용하여 이중양도 등 부당한 행위의 발생가능성을 줄였다. 또한 종업원의 권리를 ‘이익청구권’으로 구성하여 이익에 ‘금전 이외의 이익’이 포함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독자적인 인센티브 시책을 전략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직무발명제도는 아직까지도 기본적으로 발명자 귀속주의를 취하고 있고, 승계를 위한 절차가 복잡하여 기업부담이 과도하다. 특히 승계통지시점에 대한 문제가 복잡하여 이중양도에 대한 위험이 있다. 우리나라도 이중양도의 위험성을 줄이고, 공동발명에서의 직무발명의 귀속의 복잡함 등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일본과 같이 사용자 귀속주의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승계규정이 없는 경우 대기업은 통상실시권조차도 부여하지 않는 직무발명 관련 규정은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보상의 경우 일본의 경우 이익청구권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전 위주의 보상이어서 금전 이외의 보상체계 정착에는 더 많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의 경우 직무발명 보상규정이 정비되지 못한 채 발명을 귀속시키거나 정당한 보상이 되지 않고 있음에 따라 분쟁의 위험을 안고 있어, 관련 기업의 규정 정비와 정당한 보상체계의 마련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Japan, which retained inventor attributions for employee’s inventions, introduced some of the user attributions in 2015 so that the right to obtain patents when a employee’s invention was completed was automatically inherited by the company. By coinciding with the succession time, it resolved the uncertainty of the rights relations and used the indefinite rights relation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unfair acts such as double transfer. In addition, the employee's rights were organized into claims of interest, allowing profits to include non-money gains so that users could strategically build their own incentive policies. However, Korea's employee’s invention system still takes the attribution of inventors, and the process for succession is complicated, and the company burden is excessive. In particular, there is a risk of double transfer because the issue of succession notification is complicated. Korea needs to adopt employer attributions like Japan to reduce the risk of double transmission and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involvement of employee’s invention in the joi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absence of succession provisions, regulations relating to employee’s inventions that large corporations do not even grant ordinary licenses should be abolished. In the case of compensation, in Japan, it is still money-based compensation, but it will take more time to settle a non-money compensation system. In Korea, SMEs are at risk of disputes due to the lack of maintenance of the invention compensation regulations and due to lack of proper compensation.

      • KCI등재

        식품안전 강화를 위한 식품위생관리인 제도에 대한 고찰: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조용순(Cho, Yong-Sun),송봉규(Song, Bong-Gyu)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1

        위해식품은 피해가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또한 일단 피해가 발생되면 사후구제란 별 효과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식품안전의 측면에서는 사후제재보다는 사전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일본은 1957년 「식품위생법」 개정을 통하여 식품위생관리자 제도를 도입하였 다. 식품위생관리자가 「식품위생법」 준수 및 위해방지를 게을리 하여 식품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업체 뿐만 아니라 식품위생관리자에게 형벌을 과하는등 민간차원에서 식품안전 관리를 엄격히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식품위생관리 자를 둘 필요가 없다고 여겨지는 HACCP 인증 시설에 대해서도 식품위생관리자를 두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도 1962년 「식품위생법」 제정당시부터 식품위생관리인 제도를 두고 있었는데, 2000년 돌연 이 제도가 폐지되었다. 현재 식품위생관리인 제도와 유사한 제도로는 「건강기능식품법」상의 품질관리인 제도가 있는데, 벌칙 등에서 개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우리나라에 불량식품을 만든 기업들 가운데 상당수가 정부의 식품안전 기준을 통과한 HACCP인증 업체로 드러나는 등 사회적 부작용이 있다는 점에서, 민간차원의 식품안전의 사전예방 관점에서 식품위생관리인 제도의 재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식품관리인제도를 재도입 하는 경우 식품안전을 식품제조 회사가 책임질 수 있으므로 식품안전 사전예방기능 강화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책임소재 명확화 확보, 그리고 전문직으로서의 식품위생관리인 채용 및 관련 종사자의 교육측면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In food safe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rather than post restraints. In 1957, Japan adopted the ‘Food Sanitation Manager’ to revise Food Sanitation Act. Japan is making strict efforts to maintain strict food safety management at private level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food sanitation manager for HACCP certification facilities. This is indicative of the implications. We also had a food sanitation manag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Food Sanitation Act in 1962. But, that system was abolished in 2000. A system similar to the current food sanitation manage is ‘Quality Control Manager’ of the Functional Health Foods Act. There is a need for revision in such a penal system as a punishment. Many of the companies that created hazardous food are HACCP companies. There are these social bad side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introduction of the food safety manager system from a viewpoint of a private food safety perspective. Food safety is responsible for food safety if the food safety manager system. We expect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food safe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generate new job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