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통제와 애착변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성차를 중심으로

        조영오 경찰대학 경찰대학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attachment on delinquency.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survey data of 452 adolescents(335 males and 117 females) on probation,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8.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total sample showed that self-control had direct effects on all types of delinquency(drinking, cyber delinquency, violent delinquency, sexual delinquency) except for smoking, and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rough relationships with guardians, officers, and deviant peers. Although the findings provided partial support for both social selection and social causation models, mixed selection-causation model provides better explanation of delinquency. According to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ender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deviant peer association on delinquency, whil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trol and attachment variables excluding deviant peer association and between these variables and delinquency appeared. Social selection and social causation were partially supported, but mixed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male youth. For the female youth social causation was more supported than social sele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criminological theories can be used to explain female delinquency but limitations still exist.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programs which aim at increasing self-control and relationships with prosocial others and decreasing deviant peer association. In particular, we ne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gender 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452명(남자=335명, 여자=117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에 의하면 자기통제는 흡연을 제외한 모든 비행(음주, 사이버비행, 폭력비행, 성적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보호자, 형사사법기관 종사자, 비행친구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을 구분하여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실시한 결과 자기통제와 비행친구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상당한 유사점이 발견되었다. 반면, 자기통제가 비행친구관계를 제외한 다른 애착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애착변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남․여 간에 차이를 보였다. 남자 청소년 비행의 경우 선택이론과 인과이론이 부분적으로 지지를 받았지만 이 둘을 통합한 접근이 적절한 반면, 여자 청소년 비행의 경우 선택이론보다는 인과이론이 더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범죄학 이론이 여자 청소년의 비행을 어느 정도 설명하기는 하나 한계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찰을 비롯해 형사사법기관에서 청소년 비행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통제와 친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고 비행친구관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프로그램 운영 시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기통제와 친구관계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 비행친구와 친사회적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영오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viant peers and prosocial pe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delinquency,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data of 456 youth offenders on probation,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8. The results show that self-control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deviant peer association on drinking, cyber delinquency, violent delinquency, and sexual delinquency(i.e., partial mediating effects), while self-control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smoking(i.e., full mediating effect). There exist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trol, peer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 Self-control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drinking, cyber delinquency, and violent delinquency(i.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had only indirect influence on smoking and sexual delinquency(i.e., full mediating effects) for male offenders. For female offenders, self-control had only direct effects on cyber delinquency and violent delinquency, while self-control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viant peer association(i.e., no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of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self-control and decrease contacts with and influence from delinquent peers, and systematic program evaluation tools. In particular, we ne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gender 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비행의 관계에 있어서 비행친구와 친사회적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와 이러한 효과가 성별에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456명의 소년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결과에 의하면 자기통제는 음주, 사이버비행, 폭력비행, 성적비행에 직접적인 영향과 비행친구관계를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부분매개 효과), 흡연의 경우에는 비행친구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완전매개 효과). 자기통제, 친구관계, 비행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기통제는 음주, 사이버비행, 폭력비행에 직⋅간접적인 효과(부분매개 효과)를 미치고 흡연과 성적비행에는 간접적인 효과(완전매개 효과)를 가진 반면, 여자 청소년의 경우 자기통제는 사이버비행과 폭력비행에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비행친구관계에는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매개효과 없음). 연구결과는 자기통제를 증진시키고 비행친구와의 접촉 및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시행 및 체계적인 평가의 필요성과 무엇보다 성별이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교규칙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의 성차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조영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2 치안정책연구 Vol.36 No.1

        It is needed to understand antisocial behavior in childhood to unveil the transition from juvenile delinquency to adult crime. Using th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study examines the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school rules violation among the students of lower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al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stress from taking classes or studying, and association with classmat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rules violation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abuse at home affects rules violation by female students. In addition, stress from taking classes or studying and association with classmates have lagged effects on school rules violation among male students. However, only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have consistent influences on violation of school regulations for female stud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s consider gender-specific issues when developing programs for the students of lower grades to better adjust to school. Moreover, comprehensive preven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stop juvenile delinquents becoming adult criminals.

      • KCI등재후보

        차광막을 이용한 하절기 콘크리트포장의 초기온도 관리 방안연구

        조영오,김형배,서영찬,안성순 한국도로학회 2004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6 No.4

        콘크리트 포장의 장기 공용성은 시공조건과 환경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즉 초기에 무작위 균열이나 균열틈이 많이 벌어진 경우 포장수명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시공당시의 온도와 습도, 시멘트와 골재의 종류, 양생조건들은 콘크리트포장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대기온도와 수화열의 증가에 의한 높은 온도차이는 심각한 초기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광막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를 제어하여 초기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추고 슬래브 깊이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curling stress를 줄일 수 있었고, 강도에 있어서는 차광막 설치 구간이 일반시공 구간보다 장기강도를 크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포장의 포설 후 7 2시간의 강도 및 응력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인 H I P E R P A V를 사용하여 초기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비교해본 결과 차광막을 설치한 구간이 본 시험시공의 예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 r e l i a b i l i t y ) 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은 구간(일반시공구간) 72.5%, 차광막 설치 구간 9 5 %로 나타나 차광막 설치 구간이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은 구간보다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Long term performance of concrete pavement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given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 It means that random cracks and extreme crack width due to inappropriate quality control at the early age might lead to decreasing the pavement service life.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during the construction, cement and aggregate types, curing condition are major components to affect the quality of the concrete pavement at the early age. First of all, the high temperature differential, that is made by increasing air temperature and the heat of cement hydration, is known as the major contributor to severe cracks. In this study, tent covering was use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lab. The field measurement data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the tent covering is very significant to decrease possibilities of random crack occurrence and curling stress and enhance the long-term concrete strength. HIPERPAV(High PERformance PAVing software), a program predicting the strength and stress of an early-age concrete pavement (72 hour after placement), is used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tent covering. The HIPERPAVE results showed that the section with the tent covering has higher reliability than the section without the tent covering by 22.5%. In details, reliability is increased 72.5% (without the tent covering) to 95% (with the tent covering).

      • KCI등재

        청소년범죄자의 비행요인에 있어서의 성별 간 차이

        조영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요인에 있어서의 성차를 분석하고 이러한 성차가 비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2018년에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449명(남자=334명, 여자=11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제이론, 긴장이론, 사회학습이론, 생활양식이론, 낙인이론 변수들이 비행(음주, 흡연, 사이버비행, 폭력비행, 성적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비행과 비행요인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차는 요인마다 차이를 보였다. 즉, 보호자 애착, 사회적지지, 가정에서의 학대경험, 우울은 여자 청소년의 비행에만 영향을 미쳤고, 도덕적 신념은 남자 청소년의 비행에만 영향을 미친 반면, 분노, 친사회적 친구관계, 비행친구관계, 일탈생활양식, 낙인은 남녀 청소년 모두의 비행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행요인에 있어서의 성차는 비행의 종류에 따라 달라졌다. 예를 들어 친사회적 친구관계가 음주와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 청소년에게만 유의미하였고, 흡연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유의미하였으며,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 청소년에게만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 범죄학 이론들이 일반화의 측면에서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청소년 비행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와 예방을 위해서는 성인지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linquency, and explore whether the differences are influenced by types of delinquency, using data of 449 juvenile offenders on probation,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8. Social control, self-control, strain, social learning, lifestyle, labeling variables are used as correlates of delinquency, and five types of delinquency are included in analyses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provide two interesting findings. First, correlates are affected by gender. For example,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buse at home, and depression on delinquency are significant only for female adolescents, while moral belief affects only male delinquency.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linquency differ across types of delinquency. For instance, pro-social peer affili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drinking and violent delinquency only for the female youth, and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only for the male youth. The findings imply more research on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linquency an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ypes of delinquency to examine generalizability of theories as well as to better understand causes of delinquency by considering gender-specific factors.

      • KCI등재

        타인과의 애착변화와 비행경로의 관계

        조영오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1

        Th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others has been emphasized as a major factor of delinquency in criminological theories, and also supported by empirical research. In addition, developmental criminology research provided evidence for the multipl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linquency, instead of single trajectory, and the influence of attachment to others on those trajectories. Prior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hanges in delinquency over time while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received less atten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delinquency as well as attachment to others from 6th grade to 10th grade, and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rowth mixture model, there appeared thre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delinquency(i.e. no/low-persistent group, high-decrease group, low-increase group).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in abuse at home, deviant peer association, and attachment to teachers across subgroups, time, and the interactions of them,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in attachment to parents across subgroups and tim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in association with classmates across subgroups. In addition, changes in abuse at home, association with classmates, and attachment to teachers were more related to the changes in delinquency of high-decrease group, changes in attachment to parents were mo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delinquency of low-increase group, but changes in deviant peer association were connected to the changes in delinquency of all the groups.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provided. 발달범죄학 연구들은 범죄나 비행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및 변화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한 반면,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가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비행의 발달경로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가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비행발달경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성장복합모형 결과에 의하면 3개의 비행발달경로(무비행/저수준지속 집단, 고수준 감소 집단, 저수준 증가 집단)가 존재하였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은 타인과의 관계가 하위 집단 및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가정 학대, 비행친구관계, 교사애착은 비행하위 집단과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비행발달경로와 시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애착은 집단과 시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교우관계는 집단 간에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별 비행발달과 애착변수의 관계를 보면 가정 학대, 교우관계 및 교사 애착은 고수준 감소 집단의 비행발달양상과 보다 관련이 있었으며, 부모 애착은 저수준 증가 집단의 비행발달양상과 더 관련이 있었고, 비행친구관계는 모든 집단의 비행발달양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청소년 비행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통제와 기회요인이 교통법규 위반에 미치는 영향

        조영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2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opportunities on traffic violations and to explore whether the relationships are valid across sex. To this end we use the data of ‘Korean Victimization Survey 2016’ which were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7.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s show that self-control and opportunity have only main effects on traffic violations,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on the traffic violations are not significant. Regression analyses examining sex differences in the influences of self-control and opportunities on traffic violations provide similar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cross males and females. The current study partially support Gottfredson and Hirschi’s arguments on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opportunity on crime, and imply that criminal opportunity is to be included in self-control theory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of crime.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authors' arguments regard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e theory across sex.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었던 교통법규 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히, 자기통제와 기회요인이 교통법규 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전국범죄피해조사 2016’ 자료 중 2016년 한 해 동안 운전경험이 있는 5,777명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기통제와 기회요인은 교통법규위반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칠 뿐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고, 요인들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회요인에 대한 Gottfredson과 Hirschi(1990, 1993)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며, 아울러 위법행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는 자기통제와 기회요인에 대한 통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호관찰관과의 관계가 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조영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to probation officers on delinquency, using data of 458 juveniles on probation. According to the analyses, attachment to probation officers significantly decreased cyber delinquency and smoking, after controlling for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probation officer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violent delinquency. When parental attachment increased, violent delinquency decreased for juveniles who had strong attachment to probation officers, while for those with weak attachment to probation officers, any changes in parental attachmen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in violent delinquency. The findings imply that probation officers play significant roles in preventing delinquency of adolescences on probation. Moreover, juvenile probation offices should reconsider the influence of probation officers when they provide programs for the youth on probation. For example, juvenile probation officers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them and the juveniles than numbers of contacts with the youth to prevent delinquency more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관과의 관계가 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소년 4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보호관찰관과의 유대는 보호자 및 친구와의 애착을 통제한 상태에서 소년의 사이버 비행과 흡연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관찰관과의 관계는 보호자애착과 폭력 비행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호관찰관과의 유대가 강한 소년의 경우 보호자 애착이 증가할수록 폭력 비행이 급격히 감소한 반면, 보호관찰관과의 유대가 약한 소년의 경우 보호자 애착이 증가하더라도 소년의 폭력 비행은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년의 비행 예방을 위해서 보호관찰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소년보호관찰에서 소년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구성 시 보호관찰관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보호관찰관이 담당 소년과의 만남 횟수를 단순히 늘리는 것이 아니라 소년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가질 때 소년의 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easibility Analysis of Current Pavement Condition Monitoring Technologies: 3D Pavement Profiler and Infographic Pavement Management Program Using the Semi-Circular Bending Fracture Test

        조영오,Augusto Cannone Falchetto,문기훈,손덕수 한국도로학회 202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5 No.5

        PURPOSES : The evaluation of the low-temperature performance of an asphalt mixture is crucial for mitigating transverse thermal cracking and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s. Engineers in pavement agencies must identify and verify the pavement sections that require urgent management. In early 2000, the research division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3D) pavement condition monitoring profiler vehicle (3DPM) and an advanced infographic (AIG) highway pavement management system computer program. Owing to these efforts, the management of the entire expressway network has become more precise, effective, and efficient. However, current 3DPM and AIG technologies focus only on the pavement surface and not on the entire pavement layer. Over the years, along with monitoring, further strengthening and verification of the feasibility of current 3DPM and AIG technologies by performing extensive mechanical tests and data analyses have been recommended. METHODS : First, the pavement section that required urgent care was selected using the 3DPM and AIG approaches. Second, asphalt mixture cores were acquired from the specified section, and a low-temperature fracture test, semi- circular bending (SCB) test, was performed. The mechanical parameters, energy-release rate, and fracture toughness were computed and compared. RESULTS : As expected, the asphalt mixture cores acquired from the specified pavement section ( poor condition – bad section) exhibited negative fracture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control section (good section). CONCLUSIONS : The current 3DPM and AIG approaches in KEC can successfully evaluate and analyze selected pavement conditions. However, more extensive experimental studies and mathematical analyses are required to further strengthen and upgrade current pavement analysis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