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宮中宴享用家具 연구

        조시내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4 No.264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special kinds of furniture were used for court banquets. These pieces of furniture either symbolized the emperor and his imperial authority or served to place personal items belonging to the emperor. The appearanc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use of furniture of this type are detailed in chronicles documenting royal protocols such as Jinyeon Uigwe or Jinchan Uigwe, and illustrations contained within them. Guidelines on the fabrication of royal court banquet furniture had been set forth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in Gukjo Oryeui (Five National Rites). At each banquet, an uigwe, the document recording proceedings of a royal court event, was drawn up, as well as details of preparations. These uigwe records, maintained consistently over centuries, helped ensure that royal banquet furniture was fabricated according to the same specifications throughout the dynast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there was a sharp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festive and ceremonial events hosted in the royal court, which was due in part to Gojong’s desire to strengthen the prestige of the royal house and affirm the authority of his self-proclaimed position as the emperor. As a result, the production of uigwe commensurately increased as well during this period. Uigwe records notably contain information on groups of artisans enlisted to fabricate banquet furniture for the royal court, in the section‘Sangjeon (Reward Rules)’. Artisans who participated in the fabrication of royal court banquet furniture, such as cabinet makers, carpenters, lacquer artisans, furniture priming painters, furniture sculptors and metal accessory artisans were assigned a grade between 1 and 3, and were accordingly rewarded by Jinyeoncheong and Jinchanso, the two royal agencies in charge of organizing court events. Once into the Korean Empire period, the colors of the banquet furniture changed from red and black to yellow and red. This was also accompanied by noticeable changes in decorative motifs. Practical aspects of furniture were largely sacrificed in favor of splendor and stateliness, with ornamentation now tending toward underlining the grandeur of the emperor and the imperial house. The Korean Empire was an era that saw a lively exchange between the imperial house and the outside world, as attested to by furniture imported from France seen in Deoksugung and Changdeokgung Palaces. Foreign influences, however, were kept at bay concerning court banquet furniture, which was fabricated according to the same old specifications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is in large part owing to the fact that Gojong saw the integrity of the tradition of Joseon’s royal house as essential to the goal of strengthening his prestige as the ruler. Given the meager quantity of surviving royal banquet furniture produced during this relative short period of ten years, reconstructing facts about them was not an easy task. This study presents information gleaned from uigwe records from the Korean Empire period, about how furniture of this type was used, the court agencies in charge of supplying it, and the organization of artisans enlisted in its manufacture. Meanwhile, illustrations contained in uigwe were compared with surviving pieces of furniture to underst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banquet furniture from this era. 대한제국기 宮中宴享用가구는 궁중 연향에서 황제를 상징하거나 황제와 관련한 기물을 놓아 특수 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가구를 가리킨다. 궁중 연향용 가구의 양식적인 특징은 연향의 전모를 기록 한『進宴儀軌』,『 進饌儀軌』의관련기록및도설을통하여파악할수있다. 궁중연향용가구는조선 초기부터『國朝五禮儀』에 의하여 제작규범이 제시되었고, 의례가 있을 때마다 의궤를 제작하여 그 에 맞게 가구의 형식이 변용되지 않도록 정해진 규범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특히 대한제국기에는 축소되었던 왕실의례의 회복과 왕실의 권한 강화 그리고 황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고종의 노력으 로 연향이 성행하여 연향 관련 의궤가 활발히 간행되었다. 대한제국기 연향 관련 의궤를 통한 연구는 연향용 가구를 제작한 장인 조직의 체제를 파악하 게 해주며 그 내용은「賞典」條에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궁중 연향용 가구의 제작을 담당했던 小 木匠, 漆匠, 假漆匠, 彫刻匠, 豆錫匠등이 가구 제작에 참여한 날수에 따라 1등급에서 3등급까지 등 급이 매겨져 연향을 총괄했던 진연청 및 진찬소로부터 차등적으로 포상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궁중 연향용 가구의 조형은 의궤의 도설을 기초로 쓰임에 따라 床卓, 坐具, 燈火具로 구분하여 양식 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대한제국기 궁중 연향용 가구는 대한제국기를 기점으로 가구의 색상이 조 선시대의 朱漆과 黑漆에서 黃漆과 朱漆로 변화하고 황제의 위엄을 상징하고 안녕을 기원하는 문양 을 시문하여 실용을 강조하기보다 황제와 궁중행사의 권위를 상징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되었으 며 이것은 대한제국기라는 특수한 시대상이 반영된 특징이었다. 요컨대 대한제국기에는 덕수궁이나 창덕궁의 전각 내에서 프랑스에서 수입한 가구를 사용할 만 큼 황실에서부터 외국의 문물을 활발히 도입했던 혁신적인 시대였으나 궁중 의례용 가구의 경우에는 조선 전기부터 확립된 일정한 규범에 따라 보수적으로 제작되었다. 그것은 선진 문물을 도입하여 부 국강병에 힘쓰고자 하였던 반면 내부적으로는 전통적인 왕실의 의례를 회복하여 황실의 권한을 바로 세우고자 노력하고 선왕들이 유지해 온 궁중의례의 전통을 존중하고자 했던 고종 황제의 노력이 있었 기 때문이었다. 또한 대한제국기 궁중 연향용 가구는 대상 시기가 약 10년간으로 짧고 현존하는 가구 의 수가 많지 않아 양식적인 특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궁중 연향에 관한방대한내용을기록한『進宴儀軌』,『 進饌儀軌』를분석하여가구의사용, 가구제작을담당했던 관아, 가구 제작에 참여했던 장인의 체제를 파악하고, 의궤의 도설을 시기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고 현 존하는 유물을 대입하여 양식적인 특징의 일면을 살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우수등재

        근대 창덕궁 주요 전각의 공간과 장식 특성

        조시내 한국미술사학회 2022 美術史學硏究 Vol.315 No.315

        When King Sunjong acceded to the throne in 1907, Injeongjeon Hall and Seonjeongjeon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were refurbished and renovated. The two halls were transformed into audience area for the king and Daejojeon Hall was rebuilt to become the largest area in the palace that could perform various functions including the king’s state affairs, education, and leisure. In the 1910s, the Painting of Phoenixes was installed in Injeongjeon Hall, and Japanese industrial crafts and European Japonisme furnitures were placed here and in Seonjeongjeon Hall by political inten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 bringing a forced modernity to the palace. European and Chinese crafts were also brought to the palace. In 1920, Daejojeon Hall was renovated and European furniture, imported in the late 19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Joseon’s modern diplomatic relations, was arranged to complete a European style audience hall for the king. Qing-style furniture and enamelware were also chosen for the palace as they were suitable for the spacious rooms and new lifestyle of using chairs and tables. The Qing-style was mostly Peranakan style, favored by Chinese immigrants to the Southeast Asia who were important customers for the late 19th century Qing artisans.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court paintings were continued by painters such as Yang Kihoon and Kim Gyujin who tried to maintain the tradition while accepting modernity even though Joseon was occupied by Japan at the time. Moreover, painters provided designs for craftsmen who made products that lay foundations for modern craftworks. The early 20th century interior designs at Changdeokgung Palace accommodated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consequently created new values of modernity and cultural diversity particular to Korea. 창덕궁의 인정전, 대조전 영역은 순종이 즉위했던 1907년부터 수리와 개조가 이루어졌다. 인정전과 선 정전은 순종의 접견 공간으로 변용되었고, 대조전은 정무, 학문, 휴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최대 규모 의 전각으로 재건되었다. 1910년대 창덕궁 인정전과 선정전에는 <봉황도>, 일본의 산업 공예품, 일본풍의 서양 가구들이 일본의 정치적 의도에 따라 배치되면서, 타율적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이외에도 유럽과 중국의 공예품들도 창덕궁에 유입되었다. 19세기 후반 근대 외교의 도입과 함께 유입되었던 서양 가구들은 1920년 재건된 대조전 영역으로 옮겨져 유럽풍의 접견 공간을 완성했다. 창덕궁의 청대 장식으로는 궁궐의 넓은 실내공간과 입식으로 변화된 생활에 편리했던 청대의 가구와 법랑기가 선택되었다. 청대의 장식은 동남아시아 화교집단 페라나칸 양식이 두드러졌으며, 이것은 19세기 후반 중국의 미술품 수출 양상과 관련이 있었다. 한편, 식민 지배 속에서도 양기 훈, 김규진 등의 서화가들은 근대적 의식을 발휘하면서도 전통을 계승한 궁중 장식화를 그려냈다. 아울러 화 가들은 도안을 공예가에게 제공하고, 공예가는 도안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면서 근대화된 공예품 제작 기반도 공고히 되었다. 이처럼 20세기 초 창덕궁 주요 공간의 장식은 시대적 상황과 공간 특성에 대처해가면서 한국만의 특수한 근대성과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냈다.

      • KCI등재

        폐유리가 첨가된 석탄바닥재-준설토 계 인공골재의 특성

        조시내,강승구,Jo, Sinae,Kang, Seunggu 한국결정성장학회 2013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석탄 바닥재와 준설토(7 : 3, 무게비율)로 제조된 인공골재의 물성에 미치는 폐촉매 유리질 슬래그(이하 폐유리로 칭함) 첨가 영향을 평가하였다. 특히 인공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결과를 미세구조와 연계하여 그 발포특성을 고찰하였다. $1050{\sim}1150^{\circ}C$ 범위 내에서 인공골재 비중은 소성온도와 함께 약간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소성온도에서는 감소하여 발포경향을 나타내었다. 폐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공골재의 발포특성은 억제되었으며,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인공골재 흡수율은 소성온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1200^{\circ}C$ 이상의 소성온도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다량의 액상이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현상들은 폐유리를 첨가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인공골재의 비중은 1.1~1.6, 흡수율은 8~22 % 범위값을 나타내어 인공경량골재의 KS 기준을 만족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ddition of waste glassy slag produced from recycling of spent catalyst (denoted as waste glass hereaft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aggregates made of coal bottom ash and dredged soil (7 : 3 by weight base) was evaluated. Especially, the bloating behavior of artificial aggregates was analyzed by performing the relation study between the apparent density, water absorption and microstructure. The apparent density of artificial aggregates increased slightly with sintering temperature at $1050{\sim}1150^{\circ}C$, but decreased above $1150^{\circ}C$ showing bloating phenomenon. The bloating behavior of artificial aggregates was decreased so the apparent density increased with amount of waste glass added. Also, the water absorption of artificial aggregates decreased with sintering temperature. Above $1200^{\circ}C$, big fissure and much liquid were formed at the surface of artificial aggregates and these phenomena could be suppressed by increasing amount of waste glass added. The artificial aggregates fabricated in this study had an apparent density of 1.1~1.6 and water absorption of 8~22 % which meet KS requirements for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 KCI등재

        <연구논문> 운현궁 생활자기의 양상과 의미

        조시내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雲峴宮의 생활자기들은 19세기말 조선 관요 자기에서부터 1940년대 이후 산업자기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대 도자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운현궁의 도자 유물에 대한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국내외로 흩어져 소장되고 있다. 운현궁 도자 유물은 90%정도가 식기류이며, 그 가운데 19세기 말 ‘雲’, ‘雲峴’, ‘上室’ 등의 銘文이 쓰여진 명문 자기와 20세기 전반의 산업자기가 상당수를 구성하고 있다. 19세기 제작된 ‘雲’, ‘雲峴’, ‘上室’ 등의 銘文이 쓰여진 자기들은 운현궁에 진상되었던 것으로 分院里窯에서 제작된 조선말기 백자양식을 보여준다. 기형으로는 주로 접시류가 많이 남아있으며, 문양적인 측면에서는 德化窯 계열의 靈芝草花文, 절지형 화문 등 淸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반면, 산업자기들의 경우에는 일본의 영향이 농후하다. 1876년 개항 이후 일본 倭沙器의 수입이 증가하고, 대한제국 황실에서는 유럽과 일본의 산업 자기들을 수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910년 이후부터는 일본의 산업자기들의 점유율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일본의 산업자기들은 조선 시장에 크게 확산되어 조선 요업의 발전을 방해하기도 했지만 한국 근대 도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40년대에 들어서면 조선인들에 의해 산업자기 공장들이 설립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회사는 일본의 영향을 그대로 받았으나 창립초기부터 고급재질의 자기를 제작하여 현재까지도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운현궁 생활자기에 대한 연구는 근대 도자의 전개과정과 함께 시대상황적인 한계와 문제점을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운현궁의 19세기 명문 자기들은 조선말기 백자의 쇠퇴과정을 보여주었으며, 20세기 초 산업자기들은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자본과 도자 제작기술을 수용하면서 한국 도자의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도자기뿐만 아니라 운현궁에서 사용되었던 鍮器, 家具 등 다양한 생활 공예품들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근대기 공예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향후의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Ceramics used in Unhyeongung is an important source through which the trend of modern ceramics of Korea can be seen, from thos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9th century to industrial ceramics of the post-1940s. Although the exact figure of the ceramics left is not known, it is thought that most of them have been spread widely and kept in and out of Korea by go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About 90% of the ceramics are dishware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m are those of the late 19th century on which letters such as '雲', ‘雲峴’, ‘上室’, etc. were finely written and industrial ceramics of the early 20th century. Ceramics with letters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were those which were donated to the palace and show the style of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shape, the majority of them are dishware and, in terms of pattern, mushroom and flower pattern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of China. For industrial ceramics, however, they were heavily influenced by Japan. After opening ports in 1876, the import of Japanese ceramics increased, and the Korean royal palace used industrial ceramics from Europe and Japan but the number of Japanese industrial ceramics started to increase after 1910. Those Japanese ceramics dominated the market of the Joseon Dynasty and interfered with the development of its ceramic industry but also had a great effect on modern Korean ceramics. Industrial ceramic factories began to be built by Koreans at the beginning of the 1940s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but they produced quality ceramic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foundation and have since kept the tradition and quality of ceramics up to now. This study of ceramics used in Unhyeongung was a good opportunity for me to look into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time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odern ceramics of Korea. Ceramics with finely-written letters, which were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and used in Unhyeongung, showed the deterioration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industrial ceramics of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accepted capital and ceramics-making technique introduced from Japan, showed the process of Korean ceramics' being modernized. Starting with this study, I hope that individual studies of not only ceramics but also various kinds of handicrafts like brassware and furniture that were used in Unhyeongung are carried out and, based on those studies, researches through which craft culture in the modern period can be understood are pursued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 조선의 궁궐건축에 유입된 청대(淸代) 장식과 공예품 연구

        조시내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7 No.-

        본 논문에서는 외래 문물의 유입이 본격화되었던 조선의 개항 이후 한국의 궁궐건축에 유입되어 공간을 구성하고 장식했던 청(淸)의 공예품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유입 정황과 양식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선과 청의 무역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1882년)의 체결, 기선회사들의 경쟁, 화상(華商)의 활동 등에 의해 1880년대 이후 크게 증가하였으며, 궁궐에서 사용될 물품들은 중국 상해와 조선의 인천을 잇는 항로를 통해 청으로부터 유입되었다. 1891년 건립된 경복궁 집옥재(集玉齋)는 건축의 재료(벽돌)와 축조법, 기둥과 현판 그리고 실내 공간의 문과 격단(隔斷) 장식 등에서 중국 건축의 장식 요소들이 반영되었다. 집옥재는 청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궁궐건축으로써 청의 공예품 유입도 촉진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전하는 청의 가구, 도자기, 금속공예품 등을 종합하여 양식 특성을 비교한 결과 창덕궁에 전하는 중국 가구 일부와 도자기들은 페라나칸(Peranakan)을 대상으로 판매되었던 가구와 법랑자기(琺瑯瓷器)였으며, 청말 광동성(廣東省)을 중심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로 판매되었던 광동 가구와 법랑기였다. 조선의 궁궐에 유입된 청대 공예품들은 19세기 이후 중국의 무역항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던 중국의 미술품 수출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판매 대상과 지역에 따른 독특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어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the influx of foreign cultural artifacts during Joseon's period of opening up was examined.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Qing Dynasty's craftworks that were introduced into Korean palace architecture, contributing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decoration.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se imported craftworks, analyze the circumstances of their influx, and investigate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Trade between Joseon and Qing greatly increased after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Joseon and Qing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1882), competition among private trading companies, and the activities of Chinese merchants(華商),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flux of goods from Qing to Joseon through the route connecting Shanghai in China and the port of Incheon. The Jibokjae(集玉齋) Hall, constructed in 1891 within Gyeongbokgung Palace, incorporated decorative elements of Chinese architecture in its materials(brick), construction techniques, pillars, plaques, and interior space. It is inferred that the Jibokjae Hall, as a palace architecture reflecting Qing Dynasty's influence, would have also facilitated the influx of Qing Dynasty's art crafts. In relation to this,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Qing Dynasty's furniture, ceramics, and metal crafts available at present revealed that some of the Chinese furniture and ceramics found in Changdeokgung Palace were primarily sold to the Peranakan community and included furniture and enamelware known as Guangdong-style furniture and enamelware produced primarily in Guangdong Province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which were exported worldwide. There is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influx of Qing Dynasty's art crafts into Joseon's palaces and China's art export industry, which thrived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rading ports, and it allows us to observe unique stylis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arget market and region.

      • KCI등재

        페라나칸(Peranakan) 가구를 통해 본 창덕궁 대조전 가구의 양식 특성

        조시내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tate of Chinese furniture transmitted through the Changdeokgung Palace Daejojeon Hall and analyzes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aiming to shed light on the external cultural influences that have entered modern Korea. Previously,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r investigations into the Chinese furniture at the Changdeokgung Palace Daejojeon Hall, making it necessary to research the background of how distinctively styled Chinese furniture, different from the furniture of the Joseon royal palace,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palaces and its specific stylistic.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review and survey of the Chinese furniture house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Daejojeon Hall, using it as a basis, and confirmed that the Chinese furniture at the Changdeokgung Palace Daejojeon Hall has the sam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the Peranakan furniture of Southeast Asia.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Chinese furnishings that were first introduced into the palace, we first examined records from trade data and found that the Chinese furnishings in the palace were directly purchased by the Joseon government in Shanghai or Guangdong, which were China's export ports, or brought into Joseon by Chinese merchants. The study found,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that the furniture of Changdeokgung Palace Daejojeon Hall possessed distinctive stylistic traits that were typical of Chinese furniture structures, using materials such as marble and mother-of-pearl and embellished with floral, bird, butterfly, and other aesthetically pleasing characteristics, which are inherent to Peranakan furniture. 본 논문에서는 창덕궁 대조전에 전하는 중국 가구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양식 특성을 분석하여 근대 한국에 유입된 외래문화의 일면을 밝혀 보았다. 그동안 창덕궁 대조전의 중국 가구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조선의 왕실 가구와는 확연히 다른 양식의 중국 가구들이 근대 한국의 궁궐에 유입되었던 배경과 구체적인 양식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창덕궁 대조전에 소장되어있는 중국 가구에 대한 열람 및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창덕궁 대조전의 중국 가구들이 동남아시아 페라나칸의 가구와 동일한 양식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창덕궁 대조전의 중국 가구들이 궁궐에 유입되었던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근대 통상자료의 기록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창덕궁 대조전의 중국 가구들이 중국의 수출항이었던 상해나 광동에서 조선 정부가 직접 구입하거나 중국 상인들에 의해 조선에 유입되었음이 파악되었다. 그 다음으로 페라나칸의 주거문화와 가구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창덕궁 대조전의 가구들이 전형적인 중국 가구의 구조에 대리석, 자개 등의 소재를 활용하여 꽃, 새, 나비 등의 길상 문양을 장식한 페라나칸 가구만의 독특한 조형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2단계 열처리법으로 제조된 석탄바닥재가 주성분인 결정화 유리에 관한 연구

        조시내,강승구,Jo, Si-Nae,Kang, Seung-Gu 한국결정성장학회 2010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20 No.6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된 석탄 바닥재(bottom ash, B/A)를 이용하여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고 그 결정상,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바닥재의 용융점을 낮추기 위해 수식제로 $Li_2O$를 첨가하고 용융하여 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리는 2단계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결정화시켰다. 즉 핵형성을 위한 1차 열처리를 한 후 결정성장을 시키는 2차 열처리를 행함으로서 결정화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제조원 결정화유리에는 주 결정상으로 ${\beta}$-spodumene상이 그리고 부차적인 상으로 $Li_2SiO_3$이 생성되었다. 결정화된 시편의 결정화도는 2차 열처리 공정의 유지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유지시간이 3시간 이하일 때의 시편의 미세구조는 결정화가 완전히 일어나지 않았고 불균일한 형상을 보였으며 또한 9시간 이상이 되면 시편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시편의 결정화도가 우수하고, 미세구조가 균일하면서 기계적 강도값이 가장 높은 물성을 갖는 유리상의 제조가 가능한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The glass-ceramics containing bottom ash (B/A) which was a by-produced from an electrical power plant was fabricated and its crystalline phas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t first, the glass was fabricated by adding modifier oxide $Li_2O$ to lower the melting temperature of coal bottom ash. The glass obtained was heat-treated by using a 2-stage process to crystallize, that is to say, to increase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n the glass-ceramics, the first heat treatment for nucleation was performed followed by the secondary one for the growth of nucleates. The main crystalline phase formed in the glass-ceramics was ${\beta}$-spodumene and the secondary phase was $L_2SiO_3$.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glass-ceramics was increased with a holding time of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stage. In the case of the specimens hold up to 3 hour, the crystallization was not completed and the microstructures and morphologies of crystalline phase were not uniform. In the specimens of holding time over 9 hours, the cracks were generated inside of it, so its compressive strength would decrease due them. In conclusion, it was able to obtain the optimum condition to fabriate the glass-ceramics having the properties of high crystallization degree, uniform microstructures and morphologies and the high mechanical strength.

      • KCI등재

        석탄바닥재가 포함된 유리의 결정화 특성에 미치는 HF 처리 효과

        조시내,강승구,Jo, Si-Nae,Kang, Seung-Gu 한국세라믹학회 201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8 No.1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icrostructural change of the glass-ceramics were analyzed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and etching time of the HF solution in order to enhance the degree of crystallinity induced by heterogeneous nucleation of glass of bottom ash containing 15 wt% $Li_2O$. The nucleation site seemed to be generated where the Si ion was eluted. The main crystal phases in the glass-ceramics fabricated in this study were $\beta$-spodumene and $Li_2SiO_3$. The specimens etched with HF of 0.5 vol% within 0~60 seconds showed increased crystalline peak intensities in XRD pattern with etching time compared to no-etched one. Also the crystal size and crystal occupancy in the glass matrix observed by SEM were increased with etching time. For the glass-ceramics etched with 1.0 and 2.0 vol% HF solution, the etching time over 10 s was not effective to increase the crystallinity.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lass-ceramics with the higher crystallinity could be obtained by HF-etching followed by heat treatment process, even though the nucleating agent or 2-stages thermal treatment process were not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