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분쟁해결절차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조수혜(Soo Hye Cho) 한국비교사법학회 2011 比較私法 Vol.18 No.3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that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Online Dispute Resolution" or “ODR." The Uniform Domain Name Dispute Resolution Policy(UDRP) tha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DRs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to examine whether 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fairness. The empirical study of this paper found UDRP decisions are unfairly biased, implying that other ODRs may not satisfy even the minimum level of fairness. While the regulation of ODR is challenging, such regulation is necessary because ODR affects fairnes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commerce despite it is private. Considering the complex issues of ODR, a hybrid or comprise approach to regulation may provid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achieve regulatory goals. Because ODR issues range from law to technology, it may be regulated utilizing multi-instruments, including state law, international customary rule, and technological standards. The compromise regulation approach will need to be coordinated appropriately to be effective in achieving its regulatory goal. In the coordination, each regulatory body-state authorities, private act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must play its function well to be effective.

      • KCI등재

        상고심 개선방안의 논의과정에 대한 절차적 접근

        조수혜 ( Cho Soo Hye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4

        상고심 개선방안은 우리의 길지 않은 사법사(司法史)에서 끊임없이 논의되었던 문제로, 사법제도의 근간에 관한 중요한 쟁점이다. 가장 최근에 논의되었던 상고심 개선방안은 19대 국회에서 논의되었던 법원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913138)으로, 대법원 외에 별도의 상고심법원으로 상고법원을 신설하여 대법원은 상고법원이 심판하기로 정한 사건을 제외한 사건을 중심으로 심판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법안의 형식은 의원입법이나, 대법원이 사전에 연구하여 마련하고 입법을 주도한 정책으로, 국회의원 과반수가 넘는 168명이 동참하였으나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한 채 국회 임기만료로 폐기되었다. 상고법원안의 논의절차를 협상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은, 앞으로 상고심의 개선방안을 논의하는데 중요한 절차적 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적정한 사법제도의 개선, 연구를 위한 논의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improvement of the third instant trial has been constantly discussed in our judicial history for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elates to the foundation of our judicial system. An establishment of the Third Instant Court, which is independent and separated from the Supreme Court, has been proposed as the recent proposal to improve the third instant trial. The bill regarding the Third Instant Court suggested that the newly established Third Instant Court shall have jurisdiction over general appeal cases, while the Supreme Court shall focus on major appeal cases that would affect the public significantly. Despite the proposal was sponsored by more than half of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not introduced to a general meeting since it was not approved by the standing committee. With the analysis on the discuss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negotiation, the aforementioned bill suggests some implications regarding the discussion process to improve the third instant trial and our judicial system.

      • KCI등재

        소송 전 증거조사로서 28 U.S.C. §1782에 의한 미국 증거개시 이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조수혜(Cho, Soohye)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4

        미국 연방법률은 외국 또는 국제 재판부 등에 계속 중인 사건에 대하여 연방지방법원이 FRCP 규정에 따라 진술하게 하거나 문서 또는 물건의 제출을 명할 수 있다는 조항을 두고 있다. 이 조항에 따라 미국 연방법원은 미국 밖의 국제소송사건을 다수 다루게 되며, FRCP에 규정된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광범위한 변론 전 증거개시절차를 미국 외의 국가 또는 국제기관의 재판부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므로 미국 FRCP의 증거개시제도의 수출이라고 비유되기도 한다. 위 연방법 조항의 적용요건을 충족하고 연방지방법원이 신청을 허가하는 경우 FRCP에 의한 광범위한 증거개시로 자료확보가 가능하여 국내소송절차에 의하는 것보다도 강력한 소송 도구가 되므로 28 U.S.C. §1782에 의한 증거절차 이용 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증거의 구조적 편재 현상을 해소하고자 민사소송법에 증거보전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집단소송법안, 민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을 통하여 소송 전 증거조사제도의 도입이 제안되고 있다.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우리나라 법원에서 소송하는 당사자들은 변론 전에 증거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소송 전 증거조사절차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한편 §1782 요건이 충족되면 미국 FRCP의 증거개시절차를 미국 법원에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782 신청에 의한 증언, 문서 또는 자료의 제출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이용 가능성과 파급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Discovery set forth in the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authorizes parties to exchang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ase for the fullest possible knowledge of the issues and facts before trial. Discovery in the U.S. federal courts is far broader in scope than in other countries and primarily controlled by the parties, thus civil law countries regarded it as exceptional tools for evidence collecting. Nonetheless, 28 U.S.C. §1782 provides direct access to U.S discovery in international cases, allowing U.S. courts to compel discovery for cases in foreign or international tribunals where the prescribed requisites are satisfied. It was designed to provide equitable and efficacious procedures for foreign tribunals and litigations an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foreign practice and procedure. Under 28 U.S.C. §1782, the district court of the district in which a person resides or is found may order him to give his testimony or statement or to produce a document or other thing for use in a proceeding in a foreign or international tribunal. It would be the “export of discovery” in that the liberal and party-driven discovery is available for foreign or international proceedings under the provision. The number of discovery requests for use in foreign civil proceedings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for its nature as a powerful tool for obtaining information that could be relevant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ute. The Korean legal profession has requested the introduction of pre-trial evidence-taking proceedings to adjust the inequality i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ase between parties, presenting the Civil Procedure Amendment Bill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its distinctive nature, it would be easily anticipated that U.S. discovery would conflict with the Civil Procedure Act of Korea. The impact of 28 U.S.C. §1782 should be exami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evidence rules of Korea.

      • KCI등재

        재판청구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소고 -수용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의 논의 비교-

        조수혜 ( Soo Hye Ch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3

        In the U.S., the constitutional right of access to the courts requires the state to assist inmates in the preparation and filing of meaningful legal papers. Despit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ccess to the courts does not appear in the U.S. Constitution, the U.S. Supreme Court has declared it to be the fundamental right since its Ex Parte Hull case in 1941. According to Bounds case that re-established the legal nature and scope of access to the courts, the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 of access to the courts implies the state`s obligation to assist the preparation and filing of meaningful legal papers by providing inmates with adequate law libraries or adequate assistance from persons trained in the law.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a fair and speedy trial in Article 27, that is in nature of the basic procedural right that justifies the state obligation to provide the meaningful and effective way to access to the courts. Nevertheless, the right to trial under the Constitution of Korea does not extend its protection for the preparation and filing of lawsuit despite of its specification in the Constitution and its nature. As appeared in the Bounds case, inmates who are detained and physically isolated from civil society, but should enjoy the right to trial, would have difficulties in exercising their rights to trial unless the state assists inmates in the preparation and filing of lawsuit. Therefore,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inmates, the right to trial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should extend its protection to encompass the preparation of litigation, respecting the spirit and values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미국의 증거개시와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의 충돌에 관한 소고 : 민사소송에서의 증거조사의 범위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조수혜(Cho, Soo-Hye)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3

        증거조사를 법원의 소송행위로 보며 당사자의 증거신청에 대하여 그 채부를 결정하고 증거조사를 실시하는 대륙법계 국가와 달리, 미국의 증거개시(discovery)는 소송 개시 후 변론 전에 당사자들이 주도하여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증거개시절차이다. 전통적으로 대륙법계 국가는 미국의 증거개시가 자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일부 국가는 증거개시에 자국 소재의 자료제출을 법으로 금지하기도 한다. 증거절차에 대한 대륙법계 국가와 미국 간의 근본적인 시각 차이는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시각의 차이와 결합하여 법제 간의 충돌로 이어진다.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유럽연합(EU)은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을 2016년 제정하여 2018년 시행하였다. GDPR 제정 이후 개인정보보호의 범위가 넓어지고 보호정도가 강화됨에 따라, 특히 전자적 저장문서(ESI)에 대한 제출명령의 경우 개인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개인정보보호법제와의 충돌이 문제되고 있다.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FRCP)에 의한 증거개시는 변론에 앞서 당사자들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그 범위가 넓게 설정되어 있으나, 최근 비례성원칙 등 이를 제한하는 여러 법리 및 판례들이 확립되고, FRCP도 이를 반영하여 증거개시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방향으로 최근 개정되었다. 그러나 GDPR 위반을 주장하며 자료제출을 거부한 당사자에 대하여, 미국 연방법원은 FRCP에 의한 자료제출을 강제할 수 있다는 판결을 다수 선고하여 GDPR과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증거절차와 개인정보에 대한 대륙법계 국가와 미국의 근본적인 시각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결과 발생한 충돌 및 이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는 것은 바람직한 민사재판절차를 위한 증거절차의 범위와 그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개인정보침해와 그 대책 등을 마련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GDPR과 FRCP에 규정된 증거개시절차의 충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증거개시제도 중에서도 개인정보보호법제와의 충돌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ESI의 제출명령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우선 FRCP에 규정된 증거개시절차를 대륙법계의 증거절차와 비교하고 법제 간 증거절차의 차이로 인하여 탄생한 헤이그증거협약의 내용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의 해외이전에 관한 GDPR의 규정내용 및 증거개시에의 제출방법을 검토한 후, GDPR과 증거개시의 충돌에 대한 미국의 법리와 최근 판례를 분석하여 그 의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Civil Procedures pursue the accurate application of law to the facts that are proved in the trial, based on the full and fair disclosure. In contrast to the civil law countries, where judges have the exclusive power to take evidences at trial as the exercise of the judicial power, discovery rules of FRCP provide parties with the power to inspect documents and things and permit the broad scope of discovery, even including possibly inadmissible evidences, as long as they are relevant to the case, directly or indirectly. Because of their different approaches to the evidence taking processes, civil law countries forbid the extraterritorial discovery of the U.S., which is perceived as the infringement of the judicial sovereign. Some of the civil law countries express manifest hostility to the cross-border discovery, responding to it with the blocking statute, which criminalizes the production of evidence in the U.S. discovery rules. This fundamental disagreement leads to the collision between civil law countries and the U.S., combined with the different mechanisms to regulate data protection, the substantial rights in the digital age. With regard to the data protection regulation, the European Union(EU) adopted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in 2016,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2018, to strenghten individuals’ fundamental rights by protecting natural person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The strengthened protection of the GDPR implies the conflicts between the data protection of the EU and the broad discovery of the U.S.,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of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ESI), which would contain personal data at a considerable chance. The permissive and broad discovery would violate the GDPR, whereas the recent amendments to the FRCP limited the scope of discovery for the appropriate discovery. Besides, the U.S. federal courts have ordered the production of ESI based on the Aerospatiale case and the Restatement, emphasizing the U.S. interests in its broad discovery processes. This article proceeds in five parts.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evidence gathering processes between the civil law countries and the U.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conflicts between them. It also examines the Hague Evidence Convention, which intended to facilitate obtaining evidence from abroad, despite it was eventually frustrated. The third part investigates the provisions of the GDPR,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er of personal data for the U.S. discovery rules. The fourth part explores the U.S. federal court cases to identify the recent trend in U.S. cases regarding the discovery rules and data protection. Finally, this article argues the necessity of the concrete and manifest principles to comply with data protection regulations, while achieving the appropriate evidence gathering processes for the full and fair trial.

      • KCI등재

        상권 : 민사소송에서의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보장

        조수혜 ( Soo Hye Cho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3

        The judicial system of Korea has achieved its efficiency, as demonstrated by the recently published policy note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Korea is ranked as the 7th fastest country among 34 OECD countries. The efficiency of the judicial system of Korea is followed by its endless efforts to improve its efficiency, which is also supported by the OECD analysis toward the efficiency of the proceedings. Nevertheless, an individual prospective of violating the right to speedy trial does not receive enough concerns what it should deserve: Despite Article 27 Section 3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the right to speedy trial in civil procedure as well as criminal procedure, unlike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or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any possibility of delays in trials may happen even under an efficient system, a case declaring the violation of the right to a speedy trial in civil procedure is not found in Korea. Even a standard or consideration for the right to speedy trial in civil procedure is hardly discussed. For the full protection of the right to speedy trial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atic efficiency of the judicial system as well as the perspective of an individual case, the standard or consideration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right to speedy trial should be profoundly discussed, reflecting the judicial system of Korea.

      • KCI등재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조수혜(Cho, Soohye) 미국헌법학회 2012 美國憲法硏究 Vol.23 No.3

        가처분제도는 본안사건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본안사건과 관련하여 다툼이 있는 관계를 잠정적이고 임시적으로 정하는 것으로, 본안에 대한 최종 판단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는 헌법재판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헌법재판소법은 일반절차로서의 가처분절차를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헌법재판소는 법률에 가처분에 대한 직접 근거를 두지 않은 헌법소원사건에 있어서도 가처분신청을 인용한 바 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특히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사건에서 가처분의 인용을 엄격하게 하고 있으며, 지난 24년간 법령의 효력정지가 처분에 대한 인용사건 수는 단 3건에 그친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 우리의 가처분에 상당하는 예비적 금지명령은 형평법상의 제도로서 예외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법리에도 불구하고 헌법사건에서 중요한 소송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인용 사건수도 상당수에 이른다. 헌법사건, 특히 법령 등 정부의 적법한 공권력의 행사에 대한 가처분은 중대한 불이익이 있는 지 등 가처분의 요건을 심사함에 있어 엄격하게 판단되어야 할 것이나, 신속성이 요구되는 등 가처분이 필요한 사건의 경우에는 가처분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당사자의 권리보호와 본안결정의 실효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A provisional remedy that intends to preserve the status quo until the court issues a final judgment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Despite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of Korea does not concretely provide the provision of provisional remedies in the general constitutional procedur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granted a provisional remedy where the unconstitutionality of a statute was disputed. Nevertheless, the number of cases granting a provisional remedy in disput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a statute, 3 cases during 24 years, demonstrate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been strict in determining the requirements of a provisional remedy. In the U.S., a preliminary injunc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provisional remedy under the federal laws, has been a significant tactic in constitutional cases despite of its nature as an extraordinary remedy. A case that raises constitutional issues against a legal government action, including statutes, would demand the cautious application to grant a provisional remedy. Nevertheless, the properly granted provisional remedy w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an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final judgments.

      • KCI등재

        재판에 대한 신뢰 확보를 위한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제도의 개선 - 미국의 부적격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그 시사점의 관점에서 -

        조수혜(Cho, Soo Hy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60 No.-

        사법부의 공정한 재판은 법치주의가 지배하는 민주사회의 기본요소이다. 특히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사회의 근본적 가치에 대한 의견이 분열될 때, 사법부의 공정한 재판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사회를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법원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공적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법기관의 독립성, 재판의 중립성, 그리고 법관의 윤리성 등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거론된다. 사법 공정성 또는 중립성이란 추상적인 개념으로, 명확하게 일단할 수 없다. 또한 법관이 사람인 이상, 사람으로서 가지는 편향성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에 이 논문의 위와 같은 한계를 전제로 하여, 재판의 중립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재판의 중립성을 위하여 마련된 제도 중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또는 미국의 법관 부적격(disqualification)제도에 대하여 비교법적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미국은 영국법 전통을 계수하여 전통적으로 공정한 자세로 재판에 임할 것을 선서한 법관의 중립성을 강하게 신뢰하여 직접적인 금전적 이해관계가 있거나 자기와 관련된 사건의 경우에만 중립성이 의심된다고 하여 법관의 부적격사유를 좁게 인정하여 왔으나, 사법의 중립성에 대한 공적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그 사유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오고 있다. 미국의 제도를 참고로 하여 우리의 사정에 맞게끔 제도를 수정, 변경하여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의 법제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 연구는 그 초석으로서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rule of law requires a fair trial by independent judges. Public confidence in a fair trial can play the pivotal role where there is a sharp dissension surrounding fundamental values of the society for the rapid changes.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confidence for a fair trial,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impartiality of trial, and integrity of judges are essential elements. Nonetheless, the notion of impartiality is abstract and vague, that is hardly possible to interpret it in predictable ways. Judges, as a human being, cannot avoid a bias blind spot.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explores the nature of judicial impartiality and attempt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judicial disqual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tradition of common law had accorded with a strict rule to disqualify a judge, based on the strong presumption on the integrity of judges. However, the recent trends of legislative amendments and judicial cases regarding disqualification or recusal demonstrate that the grounds of disqualification are expanded for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impartiality of a trial. These trends would suggest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our recusal system.

      • KCI등재

        일본의 2022년 민사소송법 개정에 의한 전자정보에 대한 증거조사

        조수혜(CHO, SOO-HYE)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國際去來와 法 Vol.- No.42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T) brings about changes in civil procedure. By integrating IT into the litigation proceedings, documents are now submitted online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to the court, and the case records are digitized. It has led to the transition to electronic litigation, where remote video trials are conducted without the need for direct attendance in the courtroom. In addition to the transition to electronic litigation, the development of IT has also had a comprehensive impact on civil procedure. One prominent example is electronic evidence, where various electronically produced, stored, and used data (referred to as “ESI”) is submitted as evidence in civil procedure. In order to achieve the ideals of civil procedure, such as appropriateness, fairness, efficiency, and econom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ethods and proceedings for evidence rul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SI. While Japan introduced electronic litigation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ivil Procedure Act of Japan in 2022, and established provisions regarding evidence rules of ESI, it falls short of providing rules that fully consider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SI,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evidentiary methods. Nonetheless, it is significant that a comprehensive and unified regulation has been established, laying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 regulations on the evidence rules of ESI, which may have implications for Korea.

      • KCI등재

        사법정의접근권 보장을 위한 분쟁해결절차 개선 - 조정제도 활성화의 관점에서 -

        조수혜 ( Soo-hye Cho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集 Vol.24 No.3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일률적인 법적용에 의한 분쟁해결이 아닌 당사자 상호간의 소통을 존중하는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분쟁해결에 있어서 당사자자치(autonomy) 또는 당사자의 자기결정권(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을 존중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쟁해결절차가 필요하다. 당사자들 간의 협상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하여 제3자의 도움을 받아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인 조정은 당사자 간의 소통이 중시되고, 당사자 자율성이 존중된다는 점에서 창의적이고 유연한 분쟁해결이 가능하므로 사법정의접근권(Access to Justice)을 실효적으로 보장하는데 기여한다. 사법정의접근권은 분쟁 당사자들이 실효적으로 분쟁해결절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법치주의의 실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글은 사법정의접근권 보장을 위하여 다원화된 분쟁해결제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정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각 나라의 일반 민사사건의 조정과 관련하여, 영미법계 국가인 미국, 영미법계 국가이면서 아시아권 국가인 싱가포르, 우리와 조정법제가 유사한 점이 많다고 여겨지는 일본, 북유럽 국가로 조정을 활성화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핀란드를 선정하여 그 조정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각 나라의 민사영역의 조정제도로, 민간 조정기구에서 이루어지는 조정과 법원에서 이루어지는 법원형 조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법적 연구를 통하여, 각 나라가 당사자자치를 존중하고 조정의 절차적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조정절차를 규율하는 법 또는 조정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정의 효력에 관한 법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이 외에도 법원연계형 조정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조정 접근성을 확대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조정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법원연계형 조정의 활성화와는 별개로, 당사자자치의 존중이라는 조정의 본질을 고려하여 조정의 기밀성(confidentiality) 보장이 명문으로 규정되어야 하며, 조정과 소송이 엄격하게 분리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확인하였다. Diversity, which has become the core value of this society, demands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that values party autonomy o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arties. Rather than the rigid procedure that applies the law without considering parties’ interests, mediation is expected to promote Access to Justice, in that mediation is the negotiated process where the third party assists disputing parties in resolving their disputes, providing creative and flexible resolution. Access to Justice is the essential factor to achieve the rule of law by promoting the effective dispute resolution for ordinary citizens. This article presumes that Access to Justice would be achieved by promoting diversity in the dispute resolution system, which is expected to be achieved by the promotion of mediation.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mediation for civil and commercial matters, including judicial mediation or court-connected mediation, of the United States, Singapore, Japan, and Finland. The comparative study implies that the party autonomy o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shall be protected by the legislation: The act regulating the mediation proceedings for its procedural fairness or the act indicating the procedure to enforce the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 can be commonly found in those countries. For the promotion of mediation, we need the legislative action in the area of mediation to preserve its nature of democratic procedure provid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