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RFID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조수선(Su San Joe),이용준(Yong Jun Lee),장윤석(Yun Seok Chang),정종진(Jong Jin Jung),고훈(Hoon Ko),김지연(JIS Yen Kr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주요기술인 다줌 RFID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찰하고 그 이용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 조기수용자와 일반수용자 집단별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험적 연구이다. 다중 RFID의 유용성. 적합성, 용이성,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여 조기수용자와 일반수용자간 인식의 차이와 각 집단별 채택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20대, 30대, 40대의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혁성향 지수에 따라 조기수용자와 일반수용자 집단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기수용자는 일반수용자보다 유용성, 적합성, 용이성,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우려에 대해 더 높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수용자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상호작용성, 유용성, 용이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 수용자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유용성, 용이성, 상호작용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합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는 채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nge of variables that might affect usage intention of muiti-RFID as the important component of ubiquitous contex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dopter and late adopter for successful diffusion in terms of its usage intention. From the literature review, five variables were established to be related to usage intention of multi-RFID: perceived usefulness, compatibility, ease of use, interactivity, and concern of privac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a survey conducted in Seoul area. A sample of 400 adults was drawn from the age of 20, 30, and 40s and divided into the early adopter and late adopter groups by the innovation index. The early adopter group more highly agrees with perceived usefulness, compatibility, ease of use, interactivity, and concern of privacy than the late adopter group. While interactivit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re rank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usage intention in the early adopter group, perceive usefulness, ease of use, and interactivity are rank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usage intention in the late adopter group. Compatibility and concern of privacy did not reliably contribute to explaining usage intention of multi-RFID.

      • KCI등재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조수선 ( Joe Susan ),주라헬 ( Ju Rache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이라는 새로운 학습상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분량의 적절성으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요인과 학습몰입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분량의 적절성 순으로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콘텐츠와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반면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원격수업 환경에서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이자 교수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의 상황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가운데 특히 코로나 불안이라는 요인을 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로 인한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s the university’s novel remote learning setting, due to Coronavirus, has on students’ learning flow. The study categorizes factors of influences into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appropriate volume of learning to understand the effects. With each category, the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how these factors interact to influence the learning flow and show the relationship to Coronavirus anxiety’s moderating effec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arning flow. Also, Coronavirus anxiety reflec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content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Consequently, Coronavirus anxiety de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but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content-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In sum, this result suggested that content-learner interaction is a key factor to maximizing learning flow, as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design in remote academic setting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shed light on Coronavirus anxiety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the pandemic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various ways to improve learning flow in a remote class situation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ronavirus anxiety.

      • KCI등재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조수선(Susan Jo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각 연도별로 뮤직비디오가 있는 30위까지의 노래 총 300개와 각 노래의 뮤직비디오 상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남녀 한명씩, 총 517명의 등장인물이 선정되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llowings. While women engaged in classic image, man engaged in naive image. R&B and Ballad demonstrated more classic image of women. Ballad, R&B, and Rock demonstrated more naive image of men than other genre. Sexuality was more prominent in dance and hip-hop genre. Compared to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 was more sexually objectified, held to exposer herself and more likely to demonstrated sexually alluring behavior.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수선(Joe, Susan),주라헬(Ju, Rache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자발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편리성이 인지된 이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과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편리성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 학업성취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자발적 학습 환경에서도 편리성은 온라인 학습의 주요한 긍정적 측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편리성과 학업성취 인식간의 관계에 있어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은 단일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함께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편리성을 경험할 경우 이용 용이성을 높이고 이는 유용성으로 이어져 학습만족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 인식으로까지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성공을 좌우하는 학습자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혜택과 수행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호환, 학습자료 및 녹화물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방역기준 내에서 적절한 학습 시설 지원 등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연하고 편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experienced by learners in involuntary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aused by Coronavirus 19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ven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was confirmed that convenience can be a major positive aspect of online learning even in involuntary learning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both single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f learners experience convenienc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ease of use increases, which leads to usefulness, improve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es virtuous circulation that leads to a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online learning, i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and various benefits through onlin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flexibl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such as compatibility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reinforcement of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recordings, and support of appropriate learning facilities within quarantine standards.

      • KCI등재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조수선(Susan Joe),김봉현(Bong Hy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튜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용방식,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중재방식을 설정하고, 연령대별 이들 변인들을 비교하고 유튜브 이용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령대별 이용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용방식 중 구독채널 유무와 일반채널 이용,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그리고 중재방식 중 기술통제와 감독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3-4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와 감독이, 5-6세 집단은 구독유무, 조절능력, 일반채널, 부모감독, 대화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7-9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 조절능력,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 유의미한 변인들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발견함으로서 유튜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다르게 구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그동안 덜 다루어진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류와 이들 방식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have impacts on the amount of YouTube viewing. In doing so, usage type, children’s levels of self-control on viewing, parent’s perception of media contents, and parental mediation style were investigated by ag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use by the different age groups.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scription status(non subscription based vs. subscription-based viewing), level of self-control, perception of content, and parent’s mediations (technology, supervision, and guidance). Given the amount of YouTube use, the subscription status and parent’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group of 3-4 years old. For the age group of 5-6, subscription status, levels of self-control, and mediation of parent’s supervision and guidance we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of 7-9, subscription status, the level of self control, and premium service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in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aningful variables by age group suggests tha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hildren’s YouTube use. In addition, it raises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YouTube usage method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se methods.

      • KCI우수등재

        온라인신문의 의제 및 의제속성 설정 연구

        조수선(Su-San Joe),김유정(Yoo-Jung Kim) 한국언론학회 2004 한국언론학보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examination of agenda-setting function of online journalism: 〈Chosun.com〉, 〈Ohmynews〉. In order to compare agenda-setting function of 〈Chosun.com〉 and 〈Ohmynews〉, agenda and agenda attributes in online news were analyzed first. Subsequently, the respondents' self reported public agenda and agenda attributes were evaluat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dibility toward two online newspaper and agenda-setting function were examin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sun.com〉 and 〈Ohmynews〉 in regards to agenda and agenda attributes setting. This study failed to find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grement of media agenda and public agenda, and media agenda attributes and public agenda attributes between 〈Chosun.com〉 and 〈Ohmynew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agenda and agenda attributes setting according to different credibility toward 〈Chosun.com〉 and 〈Ohmynews〉.

      • KCI우수등재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조수선(Susan Joe)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보 Vol.4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eadline and leadline in the online newspaper reading by measuring reader's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For the experiment, 123 university students and 103 working men distributed randomly into 2x3 headline and leadline conditions. The subjects rated the recall, recognition, credibility, interest, and quality after reading with the headline and leadline combination via computer terminal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 rated the informational headline higher than the sensational headline except the interest. In terms of leadline, the summary leadline had the highest score and followed no leadline and the beginning leadline. Consequently, headline effect appeared to be higher than leadline based on interaction effect.

      • KCI등재

        온라인 신문 댓글의 내용분석: 댓글의 유형과 댓글 게시자의 성향

        조수선 ( Su San Jo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신문 기사에 달리는 댓글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 게시도, 이해도, 존중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댓글의 유형은 자기 미디어형(38.4%), 정치적 주장형(33.5%), 사회적 관찰형(15.6%), 시민적 참여형(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주장형의 댓글을 다는 사람은 중게시자이며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찰형의 댓글을 다는 사람은 보통 게시자이며 관련 기사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적 참여형의 댓글을 다는 사람은 보통 게시자이며 관련 기사에대한 이해도가 높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미디어형의 댓글을 다는 사람은 경게시자이며 관련 기사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며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상대방에 대한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시민적 참여형이 가장 바람직한 댓글의 이용형태라 할 수 있으나 댓글의 네 가지 유형 중 가장비율이 낮았다. 정치적 주장형과 자기 미디어형이 총 댓글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하고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온라인 신문의 댓글게시자의 성향을 추론하고 이에 따른 제한적 해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type of reple and the degree of up-loading, comprehension, respectiveness. Types of reples are divided into Self-Media(38.4%), Political Assertion(33.5%), Social Observation(15.6%), and Citizenry Participation(12.1%). Repler of Political Assertion is a heavy up-loader and shows lower respectiveness. Repler of Social Observation is a medium up-loader and represents to normal comprehension and high respectiveness. Repler of Citizenry Participation is a medium up-loader and demonstrates high comprehension and respectiveness. Repeler of Self-Media is a light up-loader and shows lower comprehension and respectiveness. An ideal type of reple, Citizenry Participation, which has a disposition of high comprehension and respectiveness to newspaper article and others, is revealed as the lowest portion to the total amount of reple.

      • KCI우수등재

        방송언어정보의 시각적 전달양상에 관한 연구

        조수선(Susan Joe)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6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visual modality via verbal information on theories of communication modality. A episode of 〈Knowledge Channel e〉 was chosen and made it into three versions of modality. A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effects of three versions of modality: visual verbal information(video + text); auditorial verbal information(video + narration); visual verbal information + auditorial verbal information (video + text + narration) in terms of content recall, scene recall, and recognition. video + text group and video + text + narration group got higher mean score of content recall than video + narration group. video + narration group got higher mean score of scene recall than video + text group and video + text + narration group. Video + text group got higher point of recognition than video + narration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text modality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gnitive learning effect in the multi media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