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지역 중장년의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성희,박수선,황경란,Cho, Sunghui,Park, Su Sun,Hwang, Kyoung Ran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5 No.4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지원서비스가 두 요인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제4차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한 지역주민의 욕구조사 자료 중 50~64세 중장년층 8,69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서비스가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관계 어려움이 낮을수록,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할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중장년의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가족지원서비스는 중장년이 경험하는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기도 지역 중장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가족지원서비스가 갖는 관계 구조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성희 ( Cho Sunghui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에 종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부터 6 차까지의 자료를 모두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변수에 모두 응답한 1,241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 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모두 전체적인 경향에 있어서 모두 감소했다. 둘째,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결과 중 하나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는 청소년의 문화적 응 스트레스 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았고,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속도는 느렸다. 셋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의 속도 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속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 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원은 가족을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과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초기부터 감소시키기 위해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의 활성화 등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We examined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adolescents and the change rate of acculturative stress. For doing this, data from the first wave to the 6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24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ecreased gradually. The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initial phase ha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in the initial phase,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The speed of the chang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positively affected that of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to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Plus, ways of invigorating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decrease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itial phase was discussed.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조성희 ( Sunghui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은 상황에서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배우자의 의한 폭력 피해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배우자가 있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생각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와 우울은 북한이탈여성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하는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와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ㆍ정책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It appears tha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re very high in a situation where the proportion of wome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s significantly higher.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For this purpose,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on a research model to explain suicidal ide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spou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ouse violence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to reduce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spouse violence and depression in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 KCI등재후보

        국제개발협력 참여자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NGO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성희(Sunghui Cho), 김인설(Insul Kim), 조영미(Youngmi Cho), 정경은(Kyoungeun Chung)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현지 주민들의 참여와 NGO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국제개발협력 참여자들의 사회참여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NGO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네팔과 동티모르의 현지 참여자 191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현지 참여자들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NGO에 대한 인식 또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현지 참여자들의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NGO에 대한 인식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현지 주민들의 사회참여의 중요성과 NGO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s of NGOs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role of NGO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emphasized. For this purpose,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data of 191 local participants in Nepal and East Timor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local participant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erception of NGO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local residents' social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 plan to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of NGO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성희(Sunghui Cho),김혜선(Hyes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9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자아존중감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같은 수준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더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cPTS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data surveyed on 291 adolescents was us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PTSD.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moderated an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cPTSD. Even if the level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was the same, high self-esteem could reduce the cPTS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thods to reduc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and the cPTSD caused by it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성희 ( Sunghui Cho ),박소영 ( Soyoung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중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1,1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에 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방임적 양육태도는 학업중단위험에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을 낮추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and the risk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in the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7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and 1,163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risk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Second, the less the level of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was. Third, self-esteem of adolesce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and the risk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lower the risk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focusing on the intervention for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in the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족 정책지원 이용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성희 ( Sunghui Cho ),박소영 ( Soyoung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다문화가족 정책지원 이용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중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1,235명의 자료를 조절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다문화가족 정책지원 이용 경험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다문화가족 정책지원 이용 경험은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다문화가족 정책지원 이용 확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assistance programs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6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1,235 responses were analyzed by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cculturative stress was, the lower was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econd,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programs experience had moderated effects on the negativ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which suggests that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programs experience can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nd assistance programs experience of mulicultural adolescents and to decrease the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미혼모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성희 ( Sunghui Cho ),김희주 ( Heejoo Kim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구 한국가족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4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dependent w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South Korean moth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unmarried mothers who resided in community settings.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ers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will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was mediated by independent will. Second, unmarried mother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ir independent will increased. Third, social support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 mediation relationship with independent will. Conclu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grated interventions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increase the level of independent will need to be implemented since these two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South Korean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