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대중문학과 서구주의: ‘비서구 문화의 정전성과 타자성’의 맥락에서

        조성면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n-Western literature’s Western-bias and its influence through the scrutiny of Korean Popular Fiction, and to show that Korean modern literature is a historical and imperialistic concept as part of westernism. Korean Popular Fiction has been represented as creative fictions, translation and argumentations. Popular fiction newly emerged in the era of New Style Fiction which has a dual aspect of pre-modern romance fiction and modern novels. The New Style Fiction was premature modern novels which had the Enlightenment’s enthusiasm such as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vulgarity and commercialism at the same time, or each of these characteristics was not well-established yet. Korean Popular Fiction started a new era with the emergence of an Adapted Story, Jahnghanmong, one of the bestsellers in the New Style Fictions. Jahnghanmong is important because it is one of the most famous love-story of Japan, which was a pseudo-West and a big power of Eastern Asia. The very genre which shows the westerism in Korea is mystery. A real creative Korean mystery was written by Nae-Sung Kim. During his study abroad in Japan in 1935,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by publishing Oval Mirror in Profile, a professional journal of Japanese mystery. Kim also followed this trend at the time and named his main character Yoo boo-llan like Edogawa Ranpo transvocalizaton of Edgar Allen Poe. In this regard, Kim’s mysteries can be said a mirror which reflected Korean Genre Literature’s Western-bias and imperialistic violence. Genre-Fantasy, which became a main stream of Korean Juvenile literature in 1990s, developed as a literature genre based on The Lord of the Rings by J.R.R. Tolkien, The Chronicle of Lodoss island by Mizuno Ryo and role-playing games (RPGs). This is an example of westerism's globalization, too. As such, Korean Popular Fiction is a mixture of existing romance (traditional epics), mysteries, SFs, and fantasy, which are brought from Western epic genres. Serious literature and Popular Fiction in Korea are closely bound to westernism. This means that globalization of 19th century’s western literary concepts and modern literature including Popular Fiction have the common ground of a Western and imperialistic origin. 이 글의 목표는 ‘비서구 문화의 정전성과 타자성’의 맥락에서 서구문학의 타자이자 정전체제의 외부인 한국 대중문학(Popular Fiction)을 통해서 비서구 문학의 서구편향과 그 양상을 살피고 근대문학이야말로 서구주의의 일부인 역사적 개념이며 제국주의적인 것임을 드러내고자 하는 데 있다. 근대문학이 시작된 이후, 한참 동안 한국문학은 세계문학=서구문학이라는 암묵적인 공식을 전제하고 있었으며, 조금 거칠게 말해서 내용과 주제의식 등과 상관없이 문학의 형식・서술기법・이념 등 서구에서 정립된 것에서 크게 일탈하지 않은 서구주의의 현존임을 입증해 왔다. 한국의 대중문학은 창작과 번역 그리고 논쟁의 형식으로 존재해왔다. 대중문학이 출현한 것은 근대초기 로망스와 근대소설의 양면성을 지닌 신소설의 시대부터이다. 신소설 시대 베스트셀러의 하나인 번안소설(an Adapted Story) <<장한몽(長恨夢)>>에 이르러 대중소설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다. 유교적 이상의 알레고리인 도덕적 인물이 신분적 장애와 고난을 딛고 사랑을 완성한다는 권선징악(poetic justice)의 틀에서 벗어나 연애와 사랑이 돈이라는 자본주의적 관계 속에 편입되는 새로운 로망스 패턴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장한몽>>은 의사-서구이자 동아시아의 패자인 일본의 소설을 번안한 것이다. 요컨대 이 작품은 한국 근대문학, 특히 연애소설(Love Story)이 서구주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주는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국에서 서구주의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르는 바로 추리소설(Mystery)이다. 추리소설은 에드가 앨런 포(Edgar Allen Poe)가 창안해낸 근대소설로 이성의 힘으로 세계를 설명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서구 부르주아지의 자신감과 합리주의를 극화하고 있는 장르이다. 한국의 추리소설은 번역과 함께 시작되었다.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은 1908년에 발표된 <<쌍옥적>>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현했지만, 대부분 습작 수준의 한계를 넘지 못했다. 한국에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창작 추리소설은 김내성이 등장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김내성은 일본 유학중인 1935년「타원형의 거울」을 일본의 추리소설 전문잡지 <<프로필(profile)>>에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 때 그에게 큰 영향을 준 인물이 일본 추리소설의 아버지로 꼽히는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 Edogawa Rampo)이다. 에도가와 란포는 에드가 앨런 포의 일본식 음차(tuning fork)이며, 김내성 역시 이런 관행을 쫓아 자신의 추리소설의 주인공 이름을 지었다. 유불란은 르블랑의 음차이며 오마주(hommage)이다. 이런 점에 비추어 그의 추리소설은 한국 장르문학(Genre Literature)의 서구편향과 제국의 폭력성을 비추고 드러내는 거울이었던 셈이다. 1990년대 들어 한국 청년문학(Juvenile literature)의 주류로 자리 잡은 장르판타지(Genre-Fantasy)는 영국의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과 일본의 미즈노 료의 <<로도스도 전기(The Chronicle of Lodoss island)>> 그리고 RPG게임 등에 기반을 두고 발전한 장르이다. 한국의 장르판타지는 초고속통신망과 월드와이드웹 같은 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외래의 문화가 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수용되었고, 이에 따라 문화소비의 패턴과 감수성 그리고 취향에 커다란 변화가 동반되었다. 캐릭터 이름이라든지 또한 유럽의 중세와 북구의 영웅 신화를 연상케 하는 작품의 구조가 단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본격문학이든 대 ...

      • KCI등재
      • KCI등재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대중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조성면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1

        북한에서 『꽃 파는 처녀』는 이른바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통하는 작품이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은 북한식 문학예술의 한 범주로 연극과 가사 등 김일성 및 김정일의 창작과 지도로 만들어진 ‘항일무장투쟁기’의 혁명예술들을 가리킨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는 『피바다』・『한 자위단원의 운명』・『성황당』・『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꽃 파는 처녀』 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대개 연극과 혁명가극(북한식 오페라)은 물론 영화와 소설로 제작되는 등 대부분 장르적 변용과 확장이 이루어졌다. 『꽃 파는 처녀』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가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1977년 4・15창작단에 의해 장편소설로 만들어진 소설 텍스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았다. 『꽃 파는 처녀』는 연극・가극・장편소설・아동문학・화폐의 도안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주로 활용되는 북한식 이념의 문화콘텐츠 곧 혁명의 원소스멀티유즈라 할 수 있다. 『꽃 파는 처녀』는 연극・가극・영화 등 복잡한 경로를 거쳐 소설이 된 작품이다. 이런 복잡한 텍스트 형성 과정과 역사로 인해 오히려 그것은 북한문학의 특수성을 살펴보는데 최적의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꽃 파는 처녀』는 주인공 꽃분이와 동생 순희 그리고 어머니와 오빠 철용 등 일가족을 중심으로 배지주 부부와의 계급적 갈등과 항거를 서사의 중핵(kernel)으로 삼고 있는 작품이다. 배지주의 소작인으로 살아가는 꽃분이 일가를 비롯한 가난한 마을사람들과 일제 경찰・군수 등과 결탁한 배지주 부부와 갈등을 기본조건으로 하고 꽃분이 일가의 수난과 혹독한 삶이 작품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이루고 있다. 『꽃 파는 처녀』는 항일혁명의 전통과 인민대중의 사상무장과 계급교양이라는 대원칙과 창작방법에 충실한 작품으로 주체예술의 전형이자 정전(正典)으로 통하지만 이념의 잣대를 걷어내고 오직 스토리와 미적 형식만을 놓고 본다면, 신파극이나 대중소설에 가깝다.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통속성은 일차적으로 인민대중을 위한 예술 곧 문학예술을 통한 사상교육과 당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는 사회주의 문학의 대원칙을 구현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목적과 원칙에 대한 강한 지향이 작품의 신파성과 통속성이라는 미적 부작용을 배태하게 된 것이다. 『꽃 파는 처녀』의 주요 스토리텔링 전략은 정형화한 선악 이분법, 감정의 과잉, 우연의 남발, 조력자(helper)의 존재, 그리고 반전과 비약 등이다. 『꽃 파는 처녀』는 이 같은 통속소설의 면모 외에도 독일의 신낭만주의작가로 분류되는 아르투어 슈니츨러(Arthur Schnitzler, 1862~1931)의 단편소설 「눈 먼 제로니모와 그의 형(Der blinde Geronimo und sein Buder」(1900)과 강력한 상호텍스트성을 가지고 있다. 요컨대 가난한 고아형제(자매)・실명한 동생・음악연주와 구걸 등 주요 모티프에 있어서 상당부분 일치하고 유사하다. 슈니츨러와 「눈 먼 제로니모와 그의 형」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24년부터 ≪개벽≫지에 소개되거나 1938년 유치진에 의해 번역되어 연극무대에 올려졌다. 또 1954년 10월 안수길에 의해 ≪학원≫에 번역,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5차례 이상 재출간을 거듭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전자가 후자의 영향을 받았거나 모티프를 차용했을 개연성이 높다. 이와 같이 『꽃 파는 처녀』는 계몽과 선전이라는 혁명문학의 목적을 구 ...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미디어와 동아시아론의 확장 : 문학비평에서 문화비평으로

        조성면 ( Cho Sung-myoe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동아시아론은 1990년대에 등장한 대안담론, 이른바 세계체제와 분단체제를 매개하면서 민족문학론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실천적 담론이다. 최원식 교수의 「민족문학론의 반성과 전망」(1982)에서 시작되어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1993)에서 구체화한 동아시아론은 백낙청 교수의 변혁적 중도주의와 백영서 교수의 복합국가론 등으로 분화, 발전하면서 90년대의 대안담론으로 부상하였다. 이 같은 성과와 의의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론은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요컨대 동아시아론의 정당성과 필연성을 보다 공고화하면서 21세기 삶과 문명의 패러다임에 지대한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웹과 접속하는 일 등이 그러하다. 한류열풍과 촛불집회 그리고 중동 민주화 등이 잘 보여주고 있듯 웹과 소셜 미디어는 현실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새로운 대안의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비추어 동아시아 공동의 웹 포털을 구축하고 블로그 등을 통해서 대중과의 소통의 채널을 확보하는 한편, 새로운 비평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사이버 동아시아론과 세속화한 비평적 글쓰기는 동아시아론의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Discourse of East Asia, the revolutionary discourse of alternative raised in 1990’s can be defined a practical theory to overcome the Division System of Korea peninsula and to link with Minjokmunhakron(resistant movement of national literature of Korea is similar to French Engagement). The Discourse originated from Choi Won-Shik’s “Reflection and Outlook on Minjokmunhakron”(1982)and embodied in his “Seeking on Asian Perspective of the Era of Detente”(1993),began to improve and to differentiate into a variety of theories such as Baek Nak-Cheong’s Revolutionary Middle Way and Baek Young-Suh’s Compounding Nation States. Hereafter, it has emerged as representation theory in 1990’s. Despite these achievement and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it is faced with many challenges now. In short, it is inevitable and mandatory for the Discourse to consolidate its legitimacy and necessity and to access the web impacted on everyday life and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As this case illustrating the crazy for Hallyu(Korean wave), political candlelight vigil and Mideast democracy movement, Cyberspac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political realities and emerged as the new alternative’s. In this regard, it is an urgent task that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through the dedicated web site and makes space for criticism through the secularized critical writing, given to the e-Discourse.

      • KCI등재후보

        만주․대중소설․동아시아론 -조흔파의 실록소설 『만주국』-

        조성면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Cho Heun Pa’s Manchukuo(滿洲國, 1970) is a kind of faction dealing with the Puppet nation Manchuria, the last emperor of Ching Àixīnjuéluó Pǔyí, and the modern history of East Asia from 1908 to 1945. It is noteworthy that Cho wrote and published these story 18 years earlier than Bernardo Bertolucci’s famous film The Last Emperor,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work to have principal political events and figures of modern East Asia during the 1st and 2nd World War. However, Cho’s Manchukuo could not be defined exactly Manchu story. Because it is title only-not Manchuria’s story but the East Asia’s politic and historical mishaps. Despite its title Manchukuo, the faction eventually would become popular fiction to meet the needs of adult male readers and monthly journalism through substituting and appropriating a gossip story for Àixīnjuéluó Pǔyí & Manchuria. Above all, we think the biggest problem of the novel to avoid the stories related to the tyrant president Park Jong Hee himself & his staffs of the regime from the Military Academy of Manchukuo and to prelude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korean leftists in chinese East Asia.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this novel-that is empirical error,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pandering to the tastes of readers. But this novel has meant to represent Manchuria as the introspective object of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to bring light Pǔyí as the epitome of modern East Asian history, depart from the limits of Korean modern novels to be tied with the feature of immigration’s and refugees’ literature. 조흔파의 『만주국』(1970)은 ‘만주국’에 관한 이야기 곧 푸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정치적 사건을 그린 장편 실록소설이다. 작품의 완성도를 떠나 한국소설사에서 베르톨루치의 영화 「마지막 황제」보다 18년이나 앞서 푸이를 본격적으로 다루었으며, 동아시아를 뒤흔든 주요 인물과 사건을 그리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만주국』은 제목만 ‘만주국’일뿐 실제로는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과 인물들을 다룬 대중소설이다. ‘실록소설’이란 타이틀을 내걸었지만, 실제로는 성인 남성 독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정치 야사와 미확인 비사(秘事)들을 다루고 푸이를 가십(gossip)성 인물로 전유함으로써 『만주국』은 저널리즘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중소설로 떨어지고 말았다. 작품 발표 시기가 제3공화국 말기라는 특수상황 때문이었는지 만주군관 학교 출신인 박정희와 정권 실세들의 이야기를 철저하게 배제하고, 항일무장투쟁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는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만주국』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실증적인 오류와 함께 동아시아 현대사의 축도라 할 푸이를 통속적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만주국’이 갖는 다양하고 중층적인 의미를 간과한 채 성인 남성 독자의 취향에 영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만주국』은 이와 같이 많은 문제와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망명문학과 이민문학이 주류를 이루는 이른바 한국 ‘만주문학’의 한계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에서 ‘만주’의 현재성과 당대성을 강력하게 환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이념이자 방법으로서 동아시아론의 현실성을 가늠해볼 대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의 사상과 문학 ― 동아시아발(發) 근대 평화사상으로서의 원불교

        조성면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18 No.-

        이 글의 목적은 근대성에 대한 한국불교의 대응을 원불교를 통해서 살피되, 아직까지 우리 인문학이 주목하지 않았던 대산 김대거의 삶과 문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평화와 구원의 사상인 원불교와 동아시아론과의 소통의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대산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과 계승자인 정산의 뒤를 이은 세 번째 종법사이다. 원불교의 종지는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세계를 주재하는 일원상의 진리를 깨달아 우리 모두가 마음공부에 힘써 도덕적 인간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광대 무량한 낙원 세계를 열어가자는 것이다. 역대의 제불조사(諸佛祖師)들이 지적했듯이 마음을 떠나 마음 밖에서 행복을 찾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며, 광대무량한 낙원 세계 역시 초월적 이상의 공간도 아니고 과학문명과 기술로 건설되어야 할 미래의 세계가 아니라 평화와 법열로 가득한 마음속의 낙원이며 그런 마음으로 이룩되어야 할 세상인 것이다. 원불교의 세 번째 지도자였던 대산은 민족 · 계급 · 인종 · 성 · 종교 등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공부와 종교연합운동(United Religion)을 제시하여 정신문명과 과학문명이 조화를 이루는 평화의 세상을 건설하자는 일종의 도덕의 정치학을 보여주었다. 동아시아 정신사의 핵심인 유불선을 통합한 원불교의 이념과 화동의 도와 같은 대산의 평화사상은 근대 이후를 지향하는 동아시아론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There is the very purpose of this article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possibilities that have mutual communication and link between Won-Buddhism and the East-Asian discourse through the venerable Dharma master Daesan Kim Dae-ga(1914~1998)'s thought and Dharma-literature. He was the third head master of Won-Buddhism who succeeded the venerable great master of dharma Sotaesan(1891~1943) and the Successive leader Chongsan(1900~1962)'s Dharma Seat. The essential doctrine of Won-Buddhism is based on the Il-Won, the Dharma Buddha which is the Ultimate truth of the universe, the object of faith, the model of practice, and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So, let all of us believe, practice and enlighten it to come to the spiritual peace and the ideal world that we've dreamed of and staved for. According to all Buddha and enlightened Sages's dharma teaching, it is so stupid to seek after the truth and the happiness apart from each of mind. In the same manner the ideal religious world that Won-Buddhism make mention is not a transcendent space and a vague future-world established by religious providence or scientific technology but the real and mental embodied by mind practice and Buddhism-praxis. Hence, Dae san had presented the mind practice to come to the true Nirvana and the movement of United Religion to realize the world peace through cooperations with other religion. The aim and orientation of the religious practice and movement is to get over kinds of conflict among nation, class, race, gender, and religion. At this point the tenet of Won-Buddhism incorporated with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an be defined the new principle of peace to grope for the limitation of modern society and Dae San's thought prescribed the object of our East-Asian Discourse to be scrutinized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