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인 전산자원 관리 효율화 및 공동활용 방안 사례 연구

        조성남 ( Sung-nam Cho ),김재성 ( Jae-sung Kim ),김대기 ( Dae-gi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KISTI 사례를 통해 IT 장비 중 매년 지속적으로 투자되고 있는 업무용 PC 및 노트북, PC용 SW를 대상으로 도입 타당성 및 적정성에 대한 심의 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지원하는 개인 전산자원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 및 투자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SW 불법 사용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불법 사용률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차문화를 위한 분청찻그릇 제작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전통도자의 계승은 과거의 것의 외형적 형식은 물론 그 안에 담긴 뜻과 정신의 계승을 포함하여 이어 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도자찻그릇은 차문화의 전통과 함께 오랜 시간동안 진행되었으나 근대화과정에서 정체성의 혼란기를 지나 현재는 전통차문화의 형식과 의미를 되찾기 위한 활동과 동시에 우리의 찻그릇에 담긴 미를 찾아가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차문화의 융성과 대중화에 따라 소수의 인원이 영위해온 차문화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문화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차를 마시는 방법이나 형식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찻그릇의 제작과 대중적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찻사발’로 불리는 찻그릇은 전통 찻그릇으로서 차를 마시는 품격을 높이는 동시에 재현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찻그릇 제작에서 일본의 다도와 그들이 선호하는 찻그릇이 주류를 이룸에 따라 우리의 미의식을 반영하면서 현대인의 감성을 고려한 찻그릇 조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와 차문화의 의미와 우리나라 차문화의 흐름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의 차문화 전통과 전통 찻그릇을 문헌과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재현의 개념을 넘어서 우리의 미의식을 융합한 찻그릇 제작에 참고하였다. 찻그릇 제작을 위한 표현기법은 분청의 분장기법을 중심으로 찻그릇에 담긴 전통미의식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적 미감을 고려한 찻그릇 제작을 의도하였다. 찻그릇 제작을 위하여 혼합산청토를 이용하여 성형하였고 투명유, 재유, 시노유를 활용하여 백토분장에 의한 조형효과를 강조하였다. 기존의 분청 찻그릇의 이미지가 비교적 거칠고 투박한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의 찻그릇은 분장기법이 갖는 현대성과 추상성을 토대로 맑고 투명한 분위기와 담백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찻그릇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uccession of traditional pottery means to inherit meanings and minds contained in it besides its external forms. Korean tea crockery has been processed for a very long time along with tradition of tea culture. But, passing through a confusion period of the identity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presently, simultaneously with activity to recover formality and meaning of traditional tea culture, effort to find out beauty contained in Korean tea crockery is being continued. According to prosperity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ea culture, tea culture which has been led by a handful of men is being settled as universal culture formality. Information of ways or formality of drinking tea can be met easily through the Internet too. Manufacture and public demand of tea crockery are increasing steadily. Especially, recently, tea crockery called “tea bowls” heightens dignity to drink tea, as Korean traditional tea crockery. At the same time, as a reproduction object of traditional porcelain, it is recognized as essence by several potters. However, in producing tea crockery, ahead of awareness of Korean tea culture and traditional tea crockery, because Japanese tea ceremony and their preferred tea crockery form the mainstream, it is judged that formation of tea crockery considering sensitivity of modern people is necessary while reflecting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is study, by looking into the meaning of tea and tea culture, examining flows and current states of Korean tea culture, and analyzing tradition and traditional tea crockery of Korea through case investigation, they were referred to in the production of tea crockery containing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beyond a concept of the reproduction. Expression techniques for producing tea crockery were tried to express traditional beauty awareness which is contained in tea crockery, focused on decoration technique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s. Through this, production of tea crockery considering tradition and modern beauty senses was intended. For the production of tea crockery, it was formed by using mixed soil of Sanchoeng. Using a transparent glaze, ash glaze, and shino glaze, formative effect by decoration technique of white clary was emphasized. If existing images of grayish-blue-powdered tea crockery were comparatively rough and coarse mostly, in this study, by expressing a clean transparent atmosphere and a light image based on modernity and abstractness of decoration technique of tea crockery, new possibility of formation of tea crockery was tried to propose.

      • KCI등재

        도자박물관의 전시연출 특성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1 No.-

        기존의 권위적인 박물관과 달리 현대의 박물관은 역할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박물관 전시는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전문박물관의 출현은 현대사회의 여러 전문영역에 대한 일반인들의 문화충족 욕구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특히 90년대 이후 두드러지는 도자박물관은 전통도자는 물론 현대문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도자의 경향을 보여주는 매체로서 도자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문화의 확산을 통해 도자문화발전의 토대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자박물관의 전시연출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박물관의 개념과 현대사회에서 달라진 박물관의 역할 및 전문박물관의 성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시와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연출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문헌을 통해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도자의 분류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도자전문박물관의 현황과 전시사례조사를 위해 박물관을 직접 방문 조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도자분류에 따른 연출사례와 연출매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대의 도자전시는 다양한 연출기법과 연출매체의 활용으로 시각은 물론 관람객의 감성을 중시하는 연출경향을 띠고 있다. 또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전시기법, 타 매체와의 협업과 첨단기기의 활용으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전시를 통한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도자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와 소통의 확대를 통해 도자문화의 발전적 토대마련을 꾀하고자 한다. Unlike previous authoritative museums, the roles of museums are so diversified and subdivided that a museum exhibition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e advent of more visible professional museums provides an opportunity to satisfy ordinary people’s culture and curiosity about various professional areas of modern society and serves as a place performing a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ceramic museums that was distinctive since late 1990s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ceramic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bout ceramics and expansion of culture as the media showing various aspects of ceramics appearing in the flow of modern culture.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concepts of modern museums, and modern society’s new roles of museum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useums for the analysis about characteristics of ceramic museums’ exhibition display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of theoretical contents about exhibition displays for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s and audiences. Furthermore, it analyzed display cases and display media according to ceramic classification by visiting a museum in person and collecting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s of ceramic professional museums and exhibition cases based on the concept of ceramic classification. Modern exhibitions of ceramics tend to display laying emphasis on both views and emotions of audiences through diverse display techniques and display media. Besides, their purpose is to maximize effects of communication by using exhibition techniques attracting audiences’ participation, cooperation with other media and high tech device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fully to lay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ceramic culture by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by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rough exhibitions,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ceramic culture and expanding communication.

      • KCI등재

        바다이미지를 응용한 찻상제작 연구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본 연구는 바다이미지를 소재로 분장기법을 응용한 찻상제작을 통해 분장의 표현기법을 모색하고 이를 작품에 활용함으로써 분청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는 한편 차문화의 영역에서 도재찻상의 기능성을 확대하고 조형소재로서 찻상조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문헌연구, 인터넷검색,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하여 바다이미지와 찻상의 개념에 대한 개념을 정립 및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바다의 시각적 이미지화를 위하여 회화와 입체작품, 제품의 영역에 나타난 바다이미지를 비롯하여 도자에 나타난 바다의 표현형식을 작품사례를 통하여 탐구하여 작품제작에 참고하였다. 또한 찻상의 형식과 구조연구는 문헌과 실제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찻상조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찻상은 조합토를 도판형태로 성형하여 돌 형상이나 굽의 형태로 다리를 부착하거나 나무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였다. 성형된 찻상은 1250℃에서 재유와 투명유를 시유하여 완성하였고 소성완료 후 고목 형상 및 받침대형식으로 목재를 깎아 조립?완성하였다. This study was engaged in designing a tea table using bunchang technique (that applies white clay to the surface of a ceramic), and the tea table that the study had worked on was created based on these images of the sea. Through such designing of the tea table with bunchang technique applied, the study looked into the representation technique of bunchang, and as applying the technique to the work, it recalled the significance of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dd to that,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aimed to improve the functional property of ceramic tea tables in the field of tea culture as proposing a tea table design which could be used as a design material.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and scopes, the study reviewed references, searched on the Internet and had interviews with expert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y on concepts of the ocean images as well as the tea table, and to visualize the images of the sea, the study took a look into not only the ocean images observed in paintings, three - dimensional works and products but also how the sea has been represented through ceramics. The study referred to what it had learned from its investigations when it actually tried to design its own piece. Not only that, as for the form and the structure of the tea table, the study analyzed references and examined how any tea tables were actually being used, and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s were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to help the study construct the tea table. Regarding the tea table, the study shaped the modeling clay in a form of a plate, and designed it for a user to attach legs in a shape of a stone or a heel or even to assemble the wood. The designed tea table was completed after it got glazed with an ash glaze and a transparent glaze at a temperature of 1,250℃, and after the process of firing, the study cut the wood to complete the tea table with a support looking like an old tree. At present, the general tea culture of Korea has been even more popularized, and activities of these tea drinkers who pursue some special tea ceremonies are being diversified. Not only that, tea goods that artists in several fields have been designing and creating make the tea culture a cultural phenomenon to be experienced more conveniently than before. This study focused on static drinking manners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tea culture and processed the natural materials to create a tea table which would formatively re-interpret images of nature as well as some of natural objects, and as a result, the tea table that the study had designed never felt boring or old-fashioned. What and how this study had done to create the tea table will improve a possibility of ceramic tea tables’ inviting people to feel any different attractions of their lives with cups of tea.

      • KCI등재SCOPUS

        최신임상강좌 : 난치성 질염의 최신 치료법

        조성남 ( Sung Nam Ch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2

        Three common vaginal infections are bacterial vaginosis (BV), vulvovaginal candidiasis (VVC), and trichomonas vaginitis (TV). However their symptoms and signs are similar and atypical and other non-infectious vaginal inflammations will be the causes of id

      • KCI등재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

        조성남(Sung-Nam Cho)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도래한 고렁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노부모 가족부양의 한계 및 노부모 부양에 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과 국가정책에의 기대를 파악한다. 자료는 기혼자녀 30대와 40대 응답자들을 나이, 성별, 부모동거 경험여부에 따라 각 5-6명씩 구성된 총 8개 집단의 초점집단토론(FGD:Focus Group Discussions)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노부모부양의 우선적인 책임은 가족에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지만 노부모 가족부양의 부담감이나 부모와 동거시의 애로 사항도 제시된다. 특히 부모가 더 연로해지거나 건강이 나빠질 경우에 예상되는 동거부양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나타났다. 우리사회에서 노부모는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의식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고령화에 따른 노인부양과 복지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가족이 부모부양을 전담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인부양에 대해 국가 및 지역 사회의 책임 비중 및 기대 또한 증대됨을 전망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limitations of the old family supported system for the elderly being surfaced in the face of the changing life style of the people in today's industrialized, urban Korean society. The qualitativ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s(FGD). The FGD data numbered a total of 43 participants who were divided into 8 different groups, each consisting of 5-6 respondents sorted out by sex and age as well as by their current cohabitation with their parents or having such experience in the past.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focusing on the values and the expectations regarding the elderly support and the family relationship.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old family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at this particular juncture is also a step forward necessary for the eventual formulation of policy measures by the state and the society to produce a new viable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 CPLD활용 E-bike 구동제어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실험

        조성남(Sung-Nam Cho),최진욱(Jin-Wook Choi),손영대(Young-Dae Son)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에서는 CPLD를 활용하여 E-bike에 장착 가능한 독립여자권선 영구자석 전동기 구동제어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E-bike에서 독립여자권선 영구자석 전동기의 적용은 고가의 구동제어시스템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보완을 위해 고가의 전동기 구동 전용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사용 대신 원칩 마이크로컨트롤러와 CPLD를 활용한 PWM 로직 발생회로를 구현하였으며, 3상 인버터로 구성 된 구동제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최적 설계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I 전류제어를 적용하여 속도-토크 범위가 넓고 여러 우수한 장점을 가진 독립여자권선 영구자석 전동기의 효율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 전자 학술정보의 공동 구매 촉진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조성남 ( Sung-nam Cho ),김환민 ( Hwan-min Kim ),김완종 ( Wan-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연구자들이 연구 및 학술활동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참조하고 인용하고 있으며, 특히 학술연구물의 하나인 해외 학술저널 및 논문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해외 학술정보 시장은 대형 출판사의 주도로 시장이 형성되고 독과점 형태로 운영됨에 따라 그 비용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이와 반대로 국내에서의 해외 저널에 대한 예산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국가 차원의 KESLI 컨소시엄(전자정보 공동구매 및 활용 체제)을 구성하여 전자정보 공동구매의 장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협의회, 전문도서관 등 컨소시엄 운영주체의 다변화에 대한 대응과 구매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고 대체 정보자원의 제공 등 기존의 KESLI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연구소, 기업 그리고 학술정보 출판사 및 공급사의 전자정보 공동구매 활성화 및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였다.

      • KCI등재

        분청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현대도자의 조형성 연구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도자문화의 영역에서 청자나 백자의 발생에서 그 배경에 중국의 영향이 있다면 분청자는 우리민족의 정서와 자연을 표현한 매체로서 독자적인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오늘날의 도예가들은 전통도자를 재현하는 전승형태를 비롯하여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고 계승하려는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분청자는 독특한 기법과 추상성을 기반으로 한국적이면서 현대적인 예술작품으로 인식됨과 동시에 가장 한국적인 도자로 평가됨에 따라 많은 도예가, 애호가를 비롯하여 해외에서도 그 예술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이 주목하고 있는 분청자의 기법에 나타난 조형성을 토대로 현대도예가 추구하는 분청자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분청의 현황분석을 통해 분청조형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분청작업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분청에 대한 개념과 제작기법을 문헌을 통해 개념과 분청사기의 의미를 조사하고 제작기법 사례를 실제 유물자료에 나타난 기법의 특성과 조형적 특장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현대의 분청조형은 현대도자의 분류에 따른 분청조형의 유형을 실제 작품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청의 표현특성을 현대분청에 표현된 문양 이미지와 표현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청의 조형성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If there was an influence of China for generation of celadon or white porcelain in ceramic culture area, a grayish-blue-powder is recognized as a media to express Korean people"s emotions and nature. Today"s potters put multifaceted efforts for traditional morphology to reproduce traditional ceramics and re-interprets and keep traditions. Especially, a grayish-blue-powder is based on unique technique and abstraction, and as they are recognized as Koreanish and modern art works and accessed as the most Koreanish ceramics so that many potters, enthusiasts and even other countries pay attention to its artistry. This study analyzes moulding characteristics of a grayish-blue-powder which modern potters seek for based on formativeness which was expressed in a grayish-blue-powder technique. Also, through modern grayish-blue-powder"s status analysis, a direction of a grayish-blue -powder moulding will be investigated and they will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various a grayish-blue-powder works. Research methods and scope include analyzing concept of a grayish-blue-powder, concept of production techniques through literature and meaning of a grayish-blue-powder celadon,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echnique and moulding shown in the actual artifacts data. For modern a grayish-blue-powder moulding, type of grayish-blue-powder mouldi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ceramics was analyzed through the actual works, and result was found by analyzing formativeness of a grayish-blue-powder by classify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 grayish-blue-powder according to pattern image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odern grayish- blue-pow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