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

        조성남(Sung-Nam Cho)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도래한 고렁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노부모 가족부양의 한계 및 노부모 부양에 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과 국가정책에의 기대를 파악한다. 자료는 기혼자녀 30대와 40대 응답자들을 나이, 성별, 부모동거 경험여부에 따라 각 5-6명씩 구성된 총 8개 집단의 초점집단토론(FGD:Focus Group Discussions)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노부모부양의 우선적인 책임은 가족에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지만 노부모 가족부양의 부담감이나 부모와 동거시의 애로 사항도 제시된다. 특히 부모가 더 연로해지거나 건강이 나빠질 경우에 예상되는 동거부양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나타났다. 우리사회에서 노부모는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의식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고령화에 따른 노인부양과 복지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가족이 부모부양을 전담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인부양에 대해 국가 및 지역 사회의 책임 비중 및 기대 또한 증대됨을 전망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limitations of the old family supported system for the elderly being surfaced in the face of the changing life style of the people in today's industrialized, urban Korean society. The qualitativ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s(FGD). The FGD data numbered a total of 43 participants who were divided into 8 different groups, each consisting of 5-6 respondents sorted out by sex and age as well as by their current cohabitation with their parents or having such experience in the past.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focusing on the values and the expectations regarding the elderly support and the family relationship.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old family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at this particular juncture is also a step forward necessary for the eventual formulation of policy measures by the state and the society to produce a new viable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 개인 전산자원 관리 효율화 및 공동활용 방안 사례 연구

        조성남 ( Sung-nam Cho ),김재성 ( Jae-sung Kim ),김대기 ( Dae-gi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KISTI 사례를 통해 IT 장비 중 매년 지속적으로 투자되고 있는 업무용 PC 및 노트북, PC용 SW를 대상으로 도입 타당성 및 적정성에 대한 심의 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지원하는 개인 전산자원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 및 투자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SW 불법 사용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불법 사용률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광서비스 융합을 통한 지역 전통도자문화콘텐츠 확장성 복합연구 - 전남지역 도자공립박물관을 중심으로 -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지역박물관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문화관광의 거점이며, 박물관이 지역의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문화자원임을 인식하고 시작되었다. 오늘날 박물관은 대중을 위한 교육의 장이며, 시민을 위한 휴식공간의 역할이 요구되는 등 대중과 함께하는 박물관으로서 달라진 문화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전통도자문화콘텐츠의 확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물관 공간의 역할변화에 따른 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운영현황과 전통도자문화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관광서비스와 박물관의 변화에 따른 지역박물관의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문헌자료와 사례를 통하여 서술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공립도자박물관 현황, 그리고 전남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도자문화를 살펴보고, 지역박물관 문화콘텐츠를 전시, 체험 및 교육, 문화상품, 휴식공간의 특성과 현황을 실제 운영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문화콘텐츠는 관광패러다임을 고려한 관광서비스의 다양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기술은 전통도자를 주제로 한 문화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콘텐츠로 현재 전남공립도자박물관의 디지털 콘텐츠가 주로 유아나 어린이 대상의 콘텐츠로 한정됨에 따라 연령범위를 확대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디지털콘텐츠의 확장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의 범위를 체험 및 교육으로 확장하여 지식의 습득을 돕고 문화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체험기회 제공으로 색다른 교육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박물관이 전통계승과 창조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역 공립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의 다양한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관광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은 자연경관, 레저환경 그리고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편의제공을 통해 지역관광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박물관이 지역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지역전통도자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독창적인 창작콘텐츠를 개발·운영하는 작은 동기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도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전통도자 문화콘텐츠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rior to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a local museum is a base for regional cultural tourism marketed for tourists and museums ar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 tourism. Museum is an educational place for the messes as a cultural space. These days, cultural services of museum have changed in other ways, that it is required to play a role as rest area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s importance continues to gr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ourism service. Therefore, this research is provide the operation ststus of local public ceramics museums and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ing role in the museum space. In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described the literary data and cases of cultural contents of local museums according to changes in museums and tourism service.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the traditional ceramic culture related to the identity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exhibi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products, and rest area of local museums through the actual operating c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ltural contents of museums need to build diversification of services based on tourism paradigm. The museums could extend their social role through this. Second, the digital technology is the contents that enrich the cultural contents under the theme of traditional ceramics. Currently, the digital contents of Jeonnam Public Ceramic Museum are limited to the contents mostly for infants or children, s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at could expand the range of age can bring about the expandability of digital contents. Thir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digital contents to experience & education could help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feel interest in culture, which could provide an unique educational experience. The museums could also expand their pivotal role in local culture for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creative development. Fourth, the effects of tourism could be enhanced by connecting with various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where a local public museum is located. When Jeonnam raises the satisfaction with local tourism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focusing on natural landscape, leisure environment, and museums, the museums could become the priming water for local development. This study attaches importances that local traditional ceramics cultural contents keep their local identity and offer motivation to run creative contents. Many different perspectives need to be conducted after this.

      • KCI등재

        한국 도자전문박물관의 전시특성에 대한 고찰

        조성남 ( Cho Sung Na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0 No.-

        오늘날의 문화는 대중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감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 파고들고 있으며 근거리에서 경험하고 체득할 수 있는 문화시설의 증가로 우리의 생활은 훨씬 더 풍요롭고 다채로운 문화경험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국내의 초기 박물관은 일본인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는 국립박물관이나 대학박물관 등에서 유물이나 민속자료 등의 전시물을 통해 우리민족의 역사나 전통을 교육하는 문화교육 현장으로서 역할을 하였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다룬 전문박물관의 출현이 이어지고 있다. 전통문화에 대한 향수를 비롯하여 새로운 스타일의 삶의 방식의 출현, 첨단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망라하는 등 박물관의 주제가 다채로워지고 있다. 또한 예술을 생활의 일부로 끌어들여 정서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일반인들의 문화충족 욕구와 관심의 증대가 전문박물관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의 등장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90년대 이후 전문박물관의 증가와 함께 국내의 도자역사 및 지역의 예술과 문화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전문박물관이 전국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박물관은 특정 주제에 치우치지 않으며, 특정소재를 테마로 생활주변에 있는 다양한 소재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전문박물관은 이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코드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의 도자전문박물관은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등에 독특한 문화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은 각 지역의 문화적 우수성이나 역사성을 홍보하고 관광산업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개선 및 문화생활 영유를 위한 지역민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경험하는 공간 조성을 박물관 운영의 주요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도자전문박물관을 대상으로 박물관의 설립목적에 따른 박물관 특성 조사 및 주요한 전시주제 및 전시유형 등 전시특성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도자문화 발전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Culture today is in the center of our daily life to make ordinary people understand and access to it easily by vario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and commune with them. As the increase of the cultural facilities where people can learn and experience within short distance, we are able to live more plentiful lives and experience various cultures. The initial domestic museums were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ese. After the liberation, national and university museums played a role as a cultural education field which educates our history and tradition through the exhibits of relics and folk materials. Recently, there are appearances of specialized museums that deal with subject materials of various areas. The subjects of museums are getting diversified like dealing with nostalgia of traditional culture, the appearance of new life style and high tech industry. The museums with new concepts started to appear because there were the increase of people`s interest and the desire of cultural satisfaction which pursues the emotional satisfaction as bringing the art into a part of the life. In modern life, specialized museums which contain subdivided subjects in each area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From 1990s, the appearances of the museums which deal with specialized subjects have been remarkable, which is like natural history, folk life history, art, literature, science, animation, design, jewelry, automobile and dinosaur museums. Domestic ceramics specialized museums reflect the local citizens` wills for promoting their own cultural superiority or historicity, vitalizing tourism industry, improving the local image and possessing cultural life. The main management strategies of those museums are to lead the interest into the culture and build the space for cultural experience.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e foundation and analyze the exhibit tendency while focusing on the domestic specialized ceramics museums. Then we use the data for the prospect of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ramics cultural exhibits and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MIMO 기반의 IoT 통신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딥러닝을 활용한 비밀키 차원 분배 메커니즘

        조성남,정윤수,Cho, Sung-Nam,Jeong, Yoon-Su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1

        IoT 장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중 안테나를 통해 IoT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MIMO 간섭 최소화 및 전송 용량 증대는 가장 큰 이슈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MIMO 기반의 IoT 통신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딥러닝을 활용한 비밀키 차원 분배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 메커니즘은 다중의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IoT 정보를 딥러닝을 사용하여 일괄적으로 분산 처리함으로써 송·수신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자원 손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제안 메커니즘은 AP들간의 직접적인 간섭이 없는 기지국의 다중 안테나 다중 스트림 전송을 통해 용량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차원 키 분배 처리 과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제안 메커니즘은 다중 안테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IoT 정보의 주파수 채널 수에 따라 비밀키를 차원 분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IoT 정보수에 따른 비밀키 사용 빈도수를 딥러닝하여 IoT 정보를 서로 동기화하고 있다. As IoT devices increase exponentially, minimizing MIMO interference and increasing transmission capacity for sending and receiving IoT information through multiple antennas remain the biggest issues. In this paper, secret key-level distribution mechanism using deep learning is proposed to minimize MIMO-based IoT communication noise. The proposed mechanism minimizes resource loss du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by dispersing IoT information sent and received through multiple antennas in batches using deep learning. In addition, the proposed mechanism applied a multidimensional key distribution processing process to maximize capacity through multiple antenna multiple stream transmission at base stations without direct interference between the APs. In addition, the proposed mechanism synchronizes IoT information by deep learning the frequency of use of secret key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oT information by applying the method of distributing secret keys in dimens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equency channels of IoT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the multiple antenna technology.

      • ITA 기반에서의 조직 정보화 자원관리 방안 연구

        조성남(Cho sung-nam),김지영(Kim ji-young),정택영(Chung taik-yeong),박찬진(Park chan-jin)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정보기술(IT)은 오늘날 조직의 경영 환경개선 및 혁신, 생산성 향상,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 등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도구가 됐으며 모든 분야에 있어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IT 특성이 변화주기가 빠르고 시장의 지배력과 연동됨에 따라 조직은 신기술 IT를 적용하여 시장에서 경쟁우위에 서파 한다. 그러나 무계획적으로 무분별하게 시스템이 도입되어 조직내에서 정보화 자산에 대한 관리가 부실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PBS 제도하에 있는 공공기관에서의 정보화 자원관리는 단일성에 끝나는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정부주도하에 정보시스템의 대규모화에 따른 상호운용성과 통합성 제고, 시스템에 대한 평가체계 및 지속적인 진화관리, 정보화 투자에 대한 효과 기대 등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ITA를 기반으로 기관에서의 정보화 자산 및 자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구축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Information Technology(IT) was introduced to the business as a means of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Nowadays, IT has become an essential component of an organization's survival. Almost no operations of an organiz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T. The benefits of using IT in organizations can not be underestimated. Some organizations have flourished because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derived from the IT systems they have developed. Most IT systems, however, have been extended, changed and integrated with ad-hoc and makeshift solutions without thinking long-range view. It results in high maintenance cost and uncontrolle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Especially,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Project-Based System (PBS) have some problems in keeping a good management systems for information resource, because they are usually operated for a set period. Therefore, we propose the framework how to efficiently manage the IT assets and resources based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ITA) that is introduced for the overall optimization of IT investment, change management and inter-operability.

      • 학술정보의 효율적 전주기 관리 및 서비스 체제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조성남 ( Sung-nam Cho ),서태설 ( Tae-sul Seo ),김완종 ( Wan-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서비스 체제를 수립하고 활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논문 자동수집 및 구축, 논문 투고 및 심사, 전자출판, XML 자동 구축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기능 구현에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 Peer-Review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및 변환파트와 투고 및 심사, 전자출판 파트, XML 구축 파트 등으로 분리되거나 별도로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KISTI의 Peer-Review 시스템인 ACOMS와 XML 기반 학술정보 서비스 시스템(KpubS) 기능 및 프로세스를 통합한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원문 PDF를 XML로 완전 자동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은 없는 상태로써 반자동 변환 기능을 탑재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다양한 수집 채널을 통해 입수된 학술정보 및 XML 자료에 대한 입력체계를 제공하고, XML 본문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자동 식별 및 추출하여 학술정보 DB를 구축·저장하며, 구축된 DB 및 XML 기반의 전자출판 기능 제공과 함께 웹서비스 단계까지의 전주기 공정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맨틱 태깅 및 수식, 표, 그림 정보 제공 등 이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바다이미지를 응용한 찻상제작 연구

        조성남(Cho, Sung N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본 연구는 바다이미지를 소재로 분장기법을 응용한 찻상제작을 통해 분장의 표현기법을 모색하고 이를 작품에 활용함으로써 분청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는 한편 차문화의 영역에서 도재찻상의 기능성을 확대하고 조형소재로서 찻상조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문헌연구, 인터넷검색,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하여 바다이미지와 찻상의 개념에 대한 개념을 정립 및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바다의 시각적 이미지화를 위하여 회화와 입체작품, 제품의 영역에 나타난 바다이미지를 비롯하여 도자에 나타난 바다의 표현형식을 작품사례를 통하여 탐구하여 작품제작에 참고하였다. 또한 찻상의 형식과 구조연구는 문헌과 실제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찻상조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찻상은 조합토를 도판형태로 성형하여 돌 형상이나 굽의 형태로 다리를 부착하거나 나무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였다. 성형된 찻상은 1250℃에서 재유와 투명유를 시유하여 완성하였고 소성완료 후 고목 형상 및 받침대형식으로 목재를 깎아 조립?완성하였다. This study was engaged in designing a tea table using bunchang technique (that applies white clay to the surface of a ceramic), and the tea table that the study had worked on was created based on these images of the sea. Through such designing of the tea table with bunchang technique applied, the study looked into the representation technique of bunchang, and as applying the technique to the work, it recalled the significance of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dd to that,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aimed to improve the functional property of ceramic tea tables in the field of tea culture as proposing a tea table design which could be used as a design material.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and scopes, the study reviewed references, searched on the Internet and had interviews with expert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y on concepts of the ocean images as well as the tea table, and to visualize the images of the sea, the study took a look into not only the ocean images observed in paintings, three - dimensional works and products but also how the sea has been represented through ceramics. The study referred to what it had learned from its investigations when it actually tried to design its own piece. Not only that, as for the form and the structure of the tea table, the study analyzed references and examined how any tea tables were actually being used, and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s were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to help the study construct the tea table. Regarding the tea table, the study shaped the modeling clay in a form of a plate, and designed it for a user to attach legs in a shape of a stone or a heel or even to assemble the wood. The designed tea table was completed after it got glazed with an ash glaze and a transparent glaze at a temperature of 1,250℃, and after the process of firing, the study cut the wood to complete the tea table with a support looking like an old tree. At present, the general tea culture of Korea has been even more popularized, and activities of these tea drinkers who pursue some special tea ceremonies are being diversified. Not only that, tea goods that artists in several fields have been designing and creating make the tea culture a cultural phenomenon to be experienced more conveniently than before. This study focused on static drinking manners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tea culture and processed the natural materials to create a tea table which would formatively re-interpret images of nature as well as some of natural objects, and as a result, the tea table that the study had designed never felt boring or old-fashioned. What and how this study had done to create the tea table will improve a possibility of ceramic tea tables’ inviting people to feel any different attractions of their lives with cups of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