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복지 부가급여 수혜의 남녀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보험, 국가규제적 급여, 기업복지를 중심으로

        조상미 ( Sang Mi Cho ),박은주 ( Eun Joo Par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임금 이외의 부가급여에서 남성근로자와 여성근로자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부가급여의 수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남녀간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근로자 1,069명, 남성근로자 1,555명을 대상으로, 음이항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가 급여의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부가급여를 사회보험, 국가규제적 급여, 기업복지, 세가 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각각의 부가급여별로 근로자가 적용받는 항목수로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부가급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남성근로자가 여성근로자보다 더 많이 제공받았다. 그러나 다른 변수를 통제한 성별의 영향력을 보면 근로자가 제공받는 국가규제적 급여 항목수의 경우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사회보험 이나 기업복지 항목수는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부가급여 항목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로 구분하여 비교해보면, 여성근로자는 연령의 영향을 남성보다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회보험 항목수의 경우 여성근로 자만이 연령이 낮을수록 항목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있어서 여성근로자는 남성근로자에 비해 유의한 영향을 많이 주지는 않았으나 남성근로자는 국가규제적 급여나 기업복지에 있어 뚜렷한 학력간 항목수의 차이를 보였다. 업종과 직종의 경우 남녀간 영향 요인이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사업장규모 변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규모가 클수록 항목 수가 증가하는데 반해, 여성근로자는 기업복지 항목수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종사상지위, 근속기간, 월평균임금, 노조유무 등은 여성근로자와 남성 근로자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study intend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at the fringe benefit and factors influencing fringe benefits. Utilizing 11th years survey of Korean Labor Panel, this study conduc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from 1,069 female workers and 1,555 male workers. Fringe benefit was classified into social insurance, national regulatory pay, corporate welfare, and the dependa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items for each fringe benefit. As a result, the number of items for all of each fringe benefit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While gender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items of national regulatory pay that workers receive,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items of social insurance or corporate welf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ach fringe benefit by gender, female workers appeared to have more effect of age than mal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items of social insurance, only female workers appeared to have increasing number of items as age gets lower. While academic background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for female workers, it had significant effect for male workers at the national regulatory pay or corporate welfare. In the case of job type and business type,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Generally the bigger the scale was, the more the number of items, but the scale appeared no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umber of items of corporate welfare for female workers. Positions, tenure, average monthly wage, existence of labor union, etc showed similar tendency in terms of influence for female and male workers.

      • KCI등재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조상미(Cho, Sang-Mi),전종설(Chun, Jong-Serl),남성희(Nam, Sung-Hee),간기현(Kan, Ki-Hyun),선미정(Seon, Mi-Jeo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정책특징 비교분석 연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을 중심으로

        조상미 ( Sang Mi Cho ),김진숙 ( Jin Sook Kim ),강철희 ( Chul Hee K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정책 특징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이 활성화되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유럽 국가의 사회적 기업 유형을 각 나라의 복지유형과 제 3섹터의 발전정도에 따라 구분하였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 국가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선정하였다. 비교분석의 기준은 크게 사회적 기업 지원체계와 지원방법으로 나누고, 사회적 기업 지원체계는 사회적 기업 육성 주도주체, 사회적 기업 관련 법률 및 정책 전담기구와 공조체제로 세분화 하였다. 지원방법은 재정지원과 사업지원 방안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기업은 4개국 모두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고, 모두 주법인 사회적 기업법이 있고, 각 나라별 다른 전담기구들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은 타 유럽 국가들에 비해 정부주도가 더욱 강하고, 제3섹터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주법을 제외한 다양한 관련법들이 부재하였다. 또한 타 국가들에 비해 한국은 주무부처와 관련부처의 협조가 부족하고, 전국적인 위원회의 활동도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정지원과 사업지원은 4개국 모두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그 비중과 사업 내용면에서 약간씩의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기금조성과 관련된 재정지원이 매우 약했으며, 사업내용의 전문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적 기업 지원체계와 지원방법에 대한 발전적인 제언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0tions for sett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ies of social enterprises. To this end, the types of European social enterprises which successfully operates its business were categorized into welfare and developing levels in the 3rd sector, and England, France, and Italy were selected as each representative country. The standard for comparative analysis is divided into supporting system and methods for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ing system was again categorized into main players of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relevant law on social enterprises, and policy managing bodies.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supporting methods into financial support and business support. As a result, the government played critical roles for the social enterprises in all four countries, with major laws on social enterprises and managing bodies for each nation. However, Korea showed stronger government-led trends than other European countries, with relatively weaker development in the 3rd sector, and lack of various relevant laws except the major law. In addition, Korea lacked in coordination between main acting and relevant department than other nations, and did not actively promote national commission activities. The financial and business supports were made in all four countries, bu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its weight and content. In terms of Korea, there existed very few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fund raising, with less professionalism in its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roductive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social enterprise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요인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조상미(Cho Sang-Mi),권소일(Kwon So-Il),김수정(Kim Su-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3

        최근 사회적 기업의 양적확대가 계속되고 있어 사회적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성과창출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 제시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직요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양한 조직 운영요인으로 전략적 요인, 경영지원시스템, 외부환경, 조직문화를 살펴보았으며 객관적 요인인 조직형태, 목적유형, 수익업종, 기업경로를 통제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직의 전략적 요인은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인사관리 지원과 혁신지향문화가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부환경 요인 중 지역사회지원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기업의 효과적 운영방안과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Recently, social enterprises are expanded quantitatively and continuously, so it is timely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various organiz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o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and social outcom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ategic factors, management system,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utcomes. Strategic factors emerg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s for both outcome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economic outcomes. Among external environment, community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