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제도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k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20일부터 8월23일까지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46.88%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의 운영방식에 만족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46.75%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가 ‘학습 또는 진로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의 51.13%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관해 잘 몰라서가’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다섯째, 비교과 마일리지 분야중 가장 참여해 보고 싶은 분야는 ‘진로 및 취업’ 분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제도에 대한 검토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earners about the comparison of universities and the mileag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view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system by identifying learners opinions on the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in detail.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through mobile and online from August 20 to August 23, 2020 targeting k-university learners. For data analysis, SPSS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46.88%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comparis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ileage system. Second, 46.75%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were helpful in learning or career preparation. Third, 51.13%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Fourth,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was ‘because I did not know well about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the highest response was found. Fifth, among the fields of comparison and mileage, the field that I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was the field of ‘career and employ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learners perceptions of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and made efforts to review and improve the system.

      • KCI등재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동향

        조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and 31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contents,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trend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honor students was actively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11 and between 2017 and 2021. Second, the trend by study subject was the highest among four-year students, followed by four-year freshmen, cybe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graduates. Thir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nor students were conducte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the u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nfid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high, and the university honor student program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when designing programs for hon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a portfolio management system,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continuous program quality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seek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관련변인, 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도와 2017년부터 2021년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재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4년제 신입생, 사이버대 재학생, 4년제 졸업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대학 우수학생 특성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대학 우수학생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으로는학업성취도와 진로확신도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우수학생 프로그램 설계시 포트폴리오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동적인학습환경 구축, 지속적인 프로그램 질 관리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있다.

      • KCI등재

        동사 ‘지나다’의 다의(多義) 속성 기술 연구

        조보,박종호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0 한국융합인문학 Vol.8 No.3

        최근 인공 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간이 외부 환경이나 사건에 어떻게 반응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는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인 학문 분야만의 연구로는 인간의 인지 구조를 밝히기는 쉽지 않고, 공학이나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융합하여 꾸준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인간의 인지 구조를 탐구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인간의 자연언어를 지식베이스화 하여 하나의 망으로구조화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 요소의 속성 체계화에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동사‘지나다’를 대상으로 개념명을 설정하고 각 개념명에 소속(mapping)될 수 있는 다의(多義) 속성을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사 ‘지나다’의 각 개념명별로 기본 의미, 격틀 정보, 논항구조, 의미역, 공기하는명사, 상적 속성, 상황유형 등의 요소를 살펴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Betaine reduces cellular melanin content via sup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B16-F1 murine melanocytes

        조보,전희진,Trung Thanh Thach,Chunyan Wu,이성준 한국식품과학회 2017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6 No.5

        Long-term topical skin care by traditional antimelanogenic agents can raise several safety concerns. An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ctive compounds on melanogenesis is, therefore, necessary to address pigmentation issues. Here we revealed that stimulation with 1 mM betaine, an abundant component in rice bran, significantly reduced 21% of intracellular melanin content by suppressing tyrosinase activity an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expression in B16-F1 murine melanocytes. The expression of MITF was suppressed at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by 43 and 44%,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betaine-stimulated melanocytes showed inhibition of PKA-CREB signaling axis but activation of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and AKT-GSK3b signaling pathways. This inhibition and activation led to downregulation of MITF expression at both the transcriptional and post-translational levels to suppress melanin synthesis. These finding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betaine is a potential anti-melanogenic compound for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 KCI등재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차이 분석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k대학교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9일과 6월 7일에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 4명을 대상으로 소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는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는 대학생의 학업적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성별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넥스트디그리트랙은 남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 인터뷰를 통해 넥스트디그리트랙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의견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 효과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운영 및 지원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gender differences of Next degree track participation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 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pre and post survey on 103 students at k university on March 9 and June 7, 2021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In addition, a small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4 learners. Results First, participation in the next degree track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participation in the next degree track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participation in the next degree track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self 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Next degree track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al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 efficacy. Fifth, the learners positive opinions about the Next Degree Track were confirmed through the learner interview.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operation and support.

      • KCI등재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 시 고장의 중복을 배제한 유도탄 저장신뢰도 예측 모델

        조보람(Boram Jo),안장근(Jangkeun 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유도무기체계에서 특히 유도탄은 높은 신뢰도 및 가용도의 유지와 함께 경제적인 정비가 매우 중요한 무기체계이다. 대한민국 소요군에서는 야전에 배치된 모든 유도탄에 대해 정기적인 검사를 필수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정기적인 주기마다 야전에 배치된 모든 유도탄은 정비부대로 보내져 검사되고 혹은 검사 시 고장이 발견된다면 수리된다. 그리고 유도탄은 수시적으로 수행 가능한 자체점검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유도탄이 보유한 자체점검으로 유도탄이 발사대에서 운용될 동안이나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 고장을 발견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도탄의 신뢰도와 정비 비용은 검사주기의 기간과 자체점검 및 정기검사의 수준에 매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시점검과 정기검사를 받는 유도탄의 저장신뢰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기존에 연구된 모델을 수정하여 고장의 중복을 배제한 새로운 유도탄 저장신뢰도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치적 예시를 들어 새롭게 제시한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은 검사주기 기간을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For missile systems, sustaining high reliability and ensuring economical maintenance are very important.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most missiles, periodic inspection is mandatory for missiles in the field. Every fixed number of years, they are returned to the ordnance depot to be tested and repaired if faults are found. Almost all missiles have a built-in test (BIT) capability. With the BIT, faulty missiles can be isolated anytime during operations or storage in the launchers. So the reliability and the maintenance costs of the missiles greatly depend on the length of the inspection cycle and the BIT/inspection quality. In this paper, we suggest a model for predicting the storage reliability of missiles subjected to non-periodic tests and periodic inspections, excluding overlapping failures. Some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This model will be useful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