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栗谷 『醇言』의 한국철학사적 位相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조선조에서 開明성과 聰明성을 통하여 전체를 통관해야만 보이는 物極必返의 진리가 우주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체득하라고 한 것은 사실 율곡이었다. 이러한 물극필반의 원리를 이기론에 적용하여 이해한다면 物極으로서의 퇴계의 主理論이 必返의 원리를 담고 있는 율곡의 理氣之妙적 사유로 나타났다고 본다. 즉 조선조 이기론의 변천을 중심으로 볼 때 이같은 물극필반의 원리를 알게 되면 조선조초기부터 이어져왔던 주리적 경향 혹은 주리파가 가치를 낮게 평가한 이 세계를 이루는 또 하나의 요소인 氣의 중요성이 대두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율곡이다. 율곡은 그런 기운을 놓치지 않고 변화된 상황에 맞는 適宜한 權道 실천으로서 『노자』 주해서인 『醇言』을 주해했다고 본다. 율곡은 화담과 같이 唯氣論을 주장하지도 않고, 이기묘합적인 사유를 통하여 두 사상을 종합적으로 묘합시키되, 退溪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를 중시함으로써 物極必返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과 ‘下學而上遠’ 및 修己治人의 입장에서 이해된 『순언』은 理氣論에서 尊理적 사유 혹은 主理적 사유가 윤리적인 인간을 형성하게 하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기시킬 수 있는 사유의 절대성, 경직성, 편협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순언』에는 이단을 무조건 배척하는 입장이 아닌 상호 의사소통을 통한 통합과 공존의 논리, 포용의 입장이 담겨 있다. 진리에 대한 공명정대한 입장에서 출발한 율곡의 『순언』 주해는 이후 진리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어주어 한국사상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理 불변적 사유에 입각한 주리적인 입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를 중시하는 氣 중시적 사유에서 나올 수 있는 물극필반의 논리는 이전과 변화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전과 다른 새로운 차원에로의 전환점을 제공하였고, 이에 『순언』이 한국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 on the Yul-Gok's Lao Tsu commentary 『SunEon』 and Korean Philosophical phase. There are many commentary on Lao-Tsu in china Jo-Sun Dynasty. Why is it do difficult to search for common understandings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on Lao-Tsu. All of them may reveal the commentator's thoughts of intellectual of his period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s of Lao-Tsu commentary 『SunEon』 is one of them. the Lao-Tsu commentaries have diverged and coexisted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nd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Jo-Sun Dynasty. Yul-Gok's the Lao-Tsu in Jo-Sun Dynasty. Especially this commentary focus on the re-establishment of taoist tao's originality and Lao-Tzu's original thought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 ordinary confucianist regard Lao-Tzu as heretic. But Yul-Gok did not think alike.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upon comparison with confucious viewpoint, such as thought is reflected philosophical change in Jo-Sun Dynasty. In correct term, all kinds of things reach limit it always return counterforce. For this reason,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d as such his thought make a turning-point in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조희룡(趙熙龍) 화론(畵論)에 나타난 도가철학적(道家哲學的) 요소(要素)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조선조 많은 문인화가 그 어느 누구보다도 사상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그리고 자신에 찬 자신의 예술창작에 임한 조희룡의 예술정신을 통해 변화된 조선조 후기 회화의 양상을 보여준다. 유가적 사유를 예술정신에 담아내면서도 특히 장자철학의 많은 영향을 받은 조희룡은 비록 中人이었지만 주자학 진리일변도에서 벗어난 이단관과 진리인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어 중인들의 시대인식은 물론 학적 수준과 내용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장자철학이 조희룡의 회화론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주었는지를 『장자』 이해 의 기본틀로서의 『장자』 郭象本 숭상 태도, 博物學적 사유와 異端에 대한 긍정적 인식, 예술창작에서의 天倪와 性靈 강조, 無法과 나를 강조하는 예술정신 전개, 奇 숭상의 예술정신을 드러냄 등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조희룡은 물론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론에 대한 이론 즉 기존의 인품을 강조하는 畵如其人이나 혹은 比德의 사유와 관련된 전통 문인화론을 그대로 받아들인 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이한 격을 담아낼 것을 주장하는 조희룡은 회화창작에서는 대담하게 거칠 것 없이 누구보다도 집단에 매몰되지 않는 개인으로서 주체적인 나, 창신적인 나, 자신만의 진실한 성령(性靈)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런 사유의 바탕에는 유가사상 아닌 집단에 매몰되지 않는 개인을 강조하는, 그리고 변화를 강조하는 노장사상이 담겨 있다. 특히 조희룡이 기이한 격을 담아낼 수 있는 조건이 되는 "나의 법일 따름이다"라든지 "이 법은 나로부터 시작된 것이다"라는 것을 강조하는 사유에는 그 사유의 바탕에는 노장의 무위자연적 예술창작과 道法自然의 예술정신이 깔려 있다. 이런 대담한 예술정신은 불가도 자연스럽게 용해되어 나타난다. 조희룡의 이상과 같은 사유에는 이것은 미의식이 기존의 雅를 숭상하는 것에서부터 俗을 아울러 존중하는 예술로, 절제된 溫柔敦厚한 中和美를 숭상하던 것에서부터 감성적인 아름다움을 숭상하는 것으로 변화되었음이 담겨 있다. 이것은 공자가 부정적으로 말한 怪力亂神을 조희룡은 과감하게 자신의 예술이론과 창작에 적용함을 의미한다. 이 논문을 통해 조선조에 노장철학이 철학 이외의 다른 방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 수 있고, 이런 점은 19세기를 살아갔던 지식인들이 변화된 시대에 어떤 사유와 그 사유에 바탕한 예술정신이 어떤 모습으로 대처하고 표현했는가를 알 수 있다. 나아가 手藝를 강조하고 전통적인 문인화론인 胸有成竹론을 과감하게 부정하는 식의 발언에서는 기존의 중국문인화론에 매몰되지 않고 나를 담아내고자 한 한국문인화의 독창적 사유틀의 한 측면도 확인할 수도 있다. Jo Hee-ryong (1789~1866) is representative Literary Painter who came from the Middle clas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t the time, epigraphy and bibl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culture, and cultual participation of those in the middle class and pratical science began activated. Also on the painting history Namjonghwa, Chinese painting of Southern school that had been gradually accepted was being settled. In particular, the times present difference from other times in view of that Muninhwa, the literary painting.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out artistic ideology and aesthetic view from works of Jo Hee-ryong who focused on popular common beauty at the end of the Jeoseon Dynasty. For the study purposes, the study was conduct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nalyzing his works aesthetically. And other is to examine how his aesthetic view was realized the theory of literary painting in Jo Hee-ryong and taoistic element. He try to express taoistic element in his painting work and painting artistic thories especilly aeshhetic oddity and creativity. Jo Hee-ryong`s those attempts means that he broke from the frame of tradition that had lasted several hundred years, and became a motive to have our unique painting theor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evaluation of Jo Hee-ryong who enjoyed various artistic worlds with his unique creativ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又峰 趙熙龍의 梅花 理解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6 No.-

        동양회화사를 볼 때 신사적 차원이나 형사적 차원 등 그리는 기법에 따라 다른모습을 드러내기는 하지만 많은 문인화가들이 매화를 하나의 화목으로 설정하고그것을 그린 수없이 뛰어난 화가들이 많다. 한국회화사에서 본다면 조희룡도 그 중에 하나를 차지한다. 하지만 조희룡은 이전의 매화를 그린 문인화가들과는 달랐다.조선조는 추사 김정희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면 이전과 다른 회화 경향이 나타난다. 일종의 雅에서 俗으로 변천하는 것이 그것이다. 회화사의 입장에서 볼 때 그중심에 조희룡이 있다. 흔히 19세기 신감각파를 주도한 인물로 평가받는 조희룡은매화를 좋아한다는 의미에서 ‘梅花百詠’을 짓고자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성적으로 대했다. 조희룡은 漢瓦軒題畵雜存이란 화제집을 통해 자신의 매화사랑과 그 인식을보여주고 있다. 매화는 바로 조희룡의 삶의 표상이었고 또 분신이었다. 조희룡에게서 매화는 단순한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이 아니고 交情의 대상이었다. 집안에 같이먹고 자면서 함께 생을 같이 하는 권속과 같은 존재였다. 조희룡은 한시도 매화를멀리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것은 癖으로서의 매화사랑으로 나타났고, 자신과 매화를 하나로 하는 物我一體적 사유를 보여주었다. 기존의 전통적인 문인화가들이 古雅하고 淡泊한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白梅를 그렸다면 조희룡은 감각적이면서 산뜻한 맛을 담아내는, 때로는 기이하면서도 어지러운 亂의 맛을 담고 있는 紅梅를 그렸다. 神似적 차원도 무시하지 않지만 形似적 차원의 手藝를 강조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조희룡은 이전의 매화를 그린 화가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Jo Hee-ryong is a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er and calligrapher who came from middle class at the end of the Jeseon Dynasty.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out artistic ideology and aesthetic view from works of Jo Hee-ryong. For the study purposes,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his aesthetic view was realized in apricot tree, the outcome of his aesthetic ideology. He was famous for his paintings of apricot tree. Prior to creating any of his works, he understood the physiological aspect of apricot tree starting from the speculation regarding what he was about to paint in his mind. Once he realized the physiology of apricot tree, he reached the level where he was integrated with apricot tree. From the viewpoint that painting creation is made of two sides; grace and personality, he claimed that such two sides should be unified. He understood natural objects from he standpoint of ‘comparing objects of the nature with human morality’ and of personification. He understood apricot tree at ecological level and personified them which he called true gentlemen. The apricot tree painted by him showed his personality, his attitude towards life and critical thought of his days as there were. Therefore, the apricot tree painted by him were not just the objects existing in the nature. Particularly Jo Hee-ryong expressed his artistic philosophy through an artistic subject in his work. In other words, he created a high standard of literati painting art by upgrading the subject of art to formative beauty on screen. He was the person who carried out the true spirit of literati paintings with his respectable personality in his painting works.

      • KCI등재

        옥동(玉洞) 이서(李?)의 이기성정론(理氣性情論)과 서예인식(書藝認識) - 퇴계(退溪) 이황(李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민환 ( Jo Min-hwan ) 퇴계학연구원 2016 退溪學報 Vol.140 No.-

        退溪 李滉의 철학과 서예인식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준다. 玉洞 李?(1662∼1723)와 息山 李萬敷(1664∼1732)가 그 예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이론적 측면에서의 정합성과 완결성을 보인 인물은 단연이서다. 한국서예사에서 東國眞體 창시자로 여겨지는 이서의 서론은 『弘道遺稿』, 권12하『筆訣』에 실려 있다. 이서의 철학과 서예이론의 관계를 體用論을 적용하여 규명하면, 이서의 理氣性情論은 體에 해당하고 서예이론은 그 체에 바탕한 用에 해당한다. 이런 점에서 이서가 『필결』에서 제시한 서예이론의 핵심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의 이기성 정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황은 理氣互發說을 주장하고 아울러 敬을 통한 서예이론을 제기한 적이 있다. 이서의 性情論 및 서예이론은 퇴계의 성정론 및 서예이론과 매우 유사한 점이 있다. 퇴계의 이 기호발설 가운데 `理發而氣隨之`를 자신의 서예이론의 근간으로 삼는 이서는 올바른 예술이란 純善하고 中正한 本然의 性善과 正理 및 性命之正을 담아내는 예술이야 함을 말한다. 즉 `理發而氣隨之`의 예술이 되어야지, 形氣에 구속되거나 形氣를 담아내는 예술이 되어서는 안 됨을 말하고, 이에 誠敬論을 통해 서예창작에 임하는 자세와 運筆 원리를 말하고 있다. 이서의 이런 사유는 王羲之 推尊과 서예의 中和美學으로 귀결된다. 아울러 서예에서 `思無邪`와 `毋不敬`의 사유를 담아낼 것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서의 이같은 철학과 서예미학에서 퇴계가 지향한 철학과 서예정신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T`oe-gye Yi Hwang held a high position as an Confucian an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alligraphy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T`oe-gye`philosophy of his Li purport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moral man who practices the highest good in real life. Yi Hwang`s theory of calligraphy is no exception, and affects formation theory of calligraphy of Lee seo. Donggukjinche has been developed with Lee seo who is the calligraphist of the 17th~18th century. Lee seo advanced a theory on calligraphy in his book Pilgyoul. His to discuss LiQi, to discuss Reason and Emotion corresponds to the main body, and calligraphy theory should correspond to a phenomenon in that on the main body. He emphasized the moral and artist`s sublimation in Pilgyoul. Oriental art is mainly of expressing an artist`s nature and emotion, or his art. Within the Confucian way of thinking, calligraphy put more emphasis on virture than arts, Li than Qi. Lee seo`s view of art in calligraphic aesthetics wad that one should value much of his own personality and foster morality. Wang Xizhi the high regard for him. In addition, he is aimed to realize the beauty of it. The concept of mind the Lee seo emphasizes is that one should truly find balance not to lose his righteousness, which can be realized only after the long process of ripening. The principle is that everything depends on heart. In the Confucian thinking with Mean which emphasizes self cultivation not to have cunningness in thinking or to have respect in everything, calligraphy serves as art of mind. Lee seo directe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was just that.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 서예미학(書藝美學)의 기상론(氣象論)적 이해

        조민환 ( Jo Min Hwan ) 퇴계학연구원 2019 退溪學報 Vol.146 No.-

        본고는 퇴계 이황의 서풍을 ‘書는 心畵’ 및 ‘書如其人’에 바탕한 기상론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 것이다. 그 방법론으로는 퇴계가 『心經附注』를 ‘四書’ 및 『近思錄』 못지 않게 중시한 점을 상기하면서, 퇴계의 서예인식을 『심경부주』에 언급된 문장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희가 서예작품을 감상할 때 ‘所以然者’를 감상하라는 감상법은 특히 유가의 이른바 ‘16字 心法’ 혹은 ‘存天理, 去人欲’의 윤리적 차원의 미적 경지를 담아내고자 이황의 서예세계를 이해할 때 매우 유효하게 작용한다. 퇴계의 서예인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정호와 주희의 서론인데, 그 귀결점은 서예 창작할 때 ‘居敬’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계의 서예정신을 이해하는데 주목할 것은 『심경부주』에 대한 퇴계의 관심이다. 퇴계가 「習書」에서 말한 서예에서의 ‘심법’이란 용어는 『심경부주」에 나타난 ‘심에 대한 사유’ 및 ’敬‘과 관련이 있다. ‘理發而氣隨之’와 ‘氣發而理乘之’를 주장하되 궁극적으로는 理를 ‘極尊無對’와 ‘不物於物’의 존재로 여기는 퇴계는 특히 ‘理發’ 차원의 철학을 서예에 적용하여 실천하고자 했다. 이에 中和美學을 표현하고자 한 퇴계의 서풍에는 그의 일생동안의 학문이 그대로 녹아있다. 따라서 퇴계의 ‘書以載道’적 서풍과 道學적 서풍은 퇴계의 인품과 학식이 반영된 氣象論 차원의 서예로 귀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퇴계의 글씨가 ‘그 인간됨됨이’를 닮았다는 ‘書如其人’적 발언은 퇴계 서예를 기상론 측면으로 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Toegye Lee Hwang’s calligraphy theory based on the reason that “calligraphy is a picture of the mind,” focusing on the aspect of moral spirit. To understand the calligraphy spirit of Toegye, it is the interest of Toegye in Xinjing fuzhu. The term “how to express the right mind” in Toegye’s calligraphy is related to “the reason for mind” and “respect” in Xinjing fuzhu. Toegye refined calligraphies are formed by characters as a result of learning and moral training. His calligraphies warn against exaggerated techniques and instead express the common, simple, gentle aestheticism of the moderation. This aesthetic atmosphere is possible in the state of perfect harmony of all material objects and oneself, which corresponds with the body and mind. It can intend a free world without the opposition of the mind and other material objects. Toegye especially tried to apply the philosophy of “the principle worked” to calligraphy. In his attempt to express “Neutralization Aesthetics,” Toegye’s calligraphy style shows his lifelong learning. Therefore, Toegye tried to load the Road of the Holy Man as a calligraphy. This calligraphy style reflects the character and learning of Toegy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철학)(韓國史思想)(哲學) : 서화(書畵)의 심신건강(心身健康) 효용성(效用性)에 관한 연구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인류가 바라는 공통적인 삶 중 하나는 주어진 삶을 건강하게 살면서 오래 사는 것이다. 동양에서는 이런 점을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통해 가능함을 말한다. 건강하게 살면서 오래 사는 방법 중의 하나는 권력을 탐하거나 부유함을 누리고자 하는 세속적인 욕망이나 속된 기운을 끊고 자연산수와 함께 하는 방법이다. 문제는 자신의 사는 공간을 떠나 산과 물이 있는 자연의 공간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화가들은 煙雲供養을 준다는 산수화를 통해 이런 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자연산수를 상징하는 연기와 구름을 그리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수와 함께 하는 삶을 추구한다. 아울러 산수자연에 담겨있는 자연의 생생한 기운(生機)을 체득하고 그것을 화폭에 담아 표현함으로써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 한다. 산수화를 통해 체득하는 이런 삶은 화가로 하여금 한가롭고 편안한 삶을 가능하게 하고, 그것은 건강하고 오래살 수 있는 延年益壽 삶의 바탕이 된다. 아울러 산수화를 그릴 때는 자신을 구속하는 권력, 명예, 재물에 대한 욕심을 다 버린 자유로운 마음과 고요한 상태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번잡스러운 마음을 씻어내고, 고민거리를 없애고,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고요한 기운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은 심신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養生의 효과를 얻는다. 산수화는 ‘心畵’라고 하여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예술로 규정된다. 따라서 회화창작에 임할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출발하느냐는 그 행위가 건강에 도움을 주느냐의 여부를 결정한다. 아울러 서화창작을 통해 性情을 다스릴 수 있고, 성정을 즐겁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점을 산수화가가 그림에 ‘자신의 즐거움을 기탁’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그림을 그릴 때의 마음가짐은 물론 자신이 그린 그림을 감상하는 동안 얻어진 즐거움, 붓과 먹을 자유롭게 운용하면서 정신을 무한한 우주까지 확장하는 동안 화가는 자신의 마음의 안정과 안락함을 얻는다. 이런 점은 서예도 마찬가지다. 때론 하나하나 사물을 그려나가는 과정, 글자 하나하나를 쓰는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을 수양하는 효과도 얻는다. 이런 점에서 산수화를 그리거나 글씨를 쓴다는 것은 자신의 마음을 수양하는 학문과 동일시하며, 산수화의 경우 爲己之學으로서의 산수화를 강조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산수화가에게 세속적 공간에서 벗어난 隱逸하는 삶에 대한 지향과 뛰어난 人品을 요구하기 한다. A healthy and long life is one of the most commonly wishful life of humankind. In the East, people thought they could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in the process of making caligraphy and painting a picture. One way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was going back to nature and eliminating earthly desires of coveting power and wealth. The problem was that it was hard to leave their residence to go back to nature. To solve this problem, artists drew Landscape. In particular, they drew mists and clouds which symbolized mountains and water. They tried to live with nature even indirectly. Furthermore, they tried to assimilate with nature by learning vivid energies of nature and expressing it in their painting. It made their life more leisurely and peaceful, so they could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In this regard, when we draw Landscape, we need to start it with a free and calm mind to rid ourselves of greed for power, fame and wealth which restrict ourselves. In this process, we can clean confusedness, resolve worries, forget hastiness and receive calm energies that have good effects on our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addition, we can care of our health. Landscape is defined as the art of expressing a mind of one`s own. Therefore, a mind with which we engage in creating a painting art determines whether it will help our health. If we keep our mind calm before painting and are not bound by outward things, painting will make our longevity possible. Moreover, it helps us to control our temper and feel better. These effects occur, when the Landscape artist is motivated to contribute his pleasure to painting. As well as his mind of creating a painting art, his pleasure of appreciating paintings and managing a brush and an ink unrestrictedly which brings his sprit to a stage of an infinite universe makes him peaceful and comfort. Sometimes he can cultivate his mind in the process of drawing objects one by one. In this respect, Landscape painting is identified with a study to cultivate our mind. In addition, the Landscape artists used to be required to get out of the mundane world and have a decent personality.

      • KCI등재후보

        유가 경전에 나타난 효 관념 연구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1 韓國思想과 文化 Vol.103 No.-

        과거 정착된 농경사회에서 형성된 조상숭배와 혈연의 연속성 강조 및 종법제도 하의 가국동체(家國同體) 관념에서 형성된 효 관념은 한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국가사회의 안정과 화목을 추구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끼친 점이 있다. 이런 효 관념 형성에는 유가가 지향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 담겨 있다. 효는 기본적으로 부모가 평소 지향한 뜻과 마음을 존숭하며 따르는 것이면서 아울러 부모님이 잘난 자식을 낳았다는 자랑거리와 즐거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아울러 부모를 욕되게 하거나 위태롭게 해서는 안 된다. 부모에 대한 ‘양지(養志)’를 강조하면서 공경함이 수반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음식봉양을 통한 효행을 ‘기른다[養]’는 차원으로 이해한 것은 효행에서의 공경함이 갖는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구체적 실천과 관련된 효의 행위는 모두 예에 맞아야 하였다. 유가가 강조한 효와 ‘불효(不孝)’ 및 ‘비효(非孝)’는 살아있는 부모와 돌아가신 부모에 모두 적용되었다. 불효와 비효 사유는 그만큼 참된 효를 실천한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은 천자로부터 서인들에까지 모두 적용되었는데, 그 바탕에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이루는데 효가 강력한 기제로 작동하였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런 사유는 천자나 한 개인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왕 및 부모라는 존재와 연계하여 이해된다는 점에서 이른바 ‘집단속의 개인’이란 점도 보여준다. 증자(曾子)는 효는 어떤 내용으로 실천했느냐에 따라 ‘대효(大孝)’, ‘중효(中孝)’, ‘하효(下孝)’로 구분하는데, 특히 순(舜)의 효는 ‘대효’,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효는 ‘달효(達孝)’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효에 대한 차별화된 의미를 부여하였다. 효에 관한 다양한 사유 중에 ‘삼불효(三不孝)’를 말하면서 가운데 ‘후사(後嗣)를 이어가지 못하는 것[無後]’을 가장 큰 불효라고 여긴 것에는 가부장적 차원에서 혈연의 연속성을 중시한다는 사유가 담겨 있다. 사친의 효를 사군의 충으로 연결시킨 사유는 가국동체에 의한 종법제도가 작동한 결과다. 부모에 대한 효라도 제왕이 행하는 효와 일반 백성들이 행하는 효는 달랐다. 이 경우 제왕이 행하는 효행은 단순 제왕 그 자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천하 백성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런 점에서 유가에서는 제왕의 효가 갖는 치국·평천하의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이상 살펴본 다양한 차원의 효를 실천했을 때 나타난 효용성은 종교적 측면, 윤리적 측면, 정치적 측면, 교육적 측면 등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모든 부분에 적용되었고, 이에 유가의 효 이념은 개인과 국가 모두에게 적용될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결국 종법적 동형구조체에서 출발하여 전통적인 덕치(德治) 이외의 효치(孝治)를 대일통(大一統)을 이루고자 하는 사유가 담겨 있고, 이 같은 효관념을 이해하는 것은 종법적 동형구조체의 봉건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임을 알 수 있다. An idea of filial piety was created from the idea that families and countries are the same (家國同體) under the descent-line heir system and as ancestor worship and continuity of blood ties created in agrarian society settled in the past were emphasized. The idea of filial piety that began from a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countries' society. The creation of this idea of filial piety includes a desirable human character that School of Ru pursued. Basically, filial piety is to respect and follow will and hearts of parents who usually pursue and make them proud of and happy for their good children who were born from them. In addition, Children must not bring shame on or risk their parents. The point that filial piety was understood at the level of emphasizing ‘liang-zhi (養志)’ for parents and ‘practicing [養]’ filial behavior through the provision of meals without respect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spect in filial behavior. Filial behavior related to specific action must match manners. Filial piety, ‘lack of filial piety (不孝)’, and ‘non-filial piety (非孝)’ emphasized by School of Ru were applied to both of living and dead parents. Reason of lack of filial piety and non-filial piety means to be difficult to practice true filial piety. This point was applied to all of sons of heaven and commoners. It shows that filial piety was a powerful mechanism for improving yourself, establishing harmony in the family, governing the realm, and making the world peaceful in it. In addition, this reason shows so-called 'individuals in a group' in that it is understood being always connected to late kings and parents, not that sons of heaven or individuals independently exist. Zengzi (曾子) classified filial piety into ‘great filial piety (大孝)’, ‘middle filial piety (中孝)’, and ‘low filial piety (下孝)’ depending on practicing them for what contents. Especially, filial piety of Shun (舜) had differentiated meanings from others by using terms of ‘great filial piety’ and King Wan (文王). And filial piety of Duke of Zhou (周公) also had differentiated meanings from others by using terms of ‘constant filial piety (達孝)’. Among various types of reason about filial piety, ‘three types of lack of filial piety (三不孝)’ are mentioned and the point that regards 'not having sons [無後] to carry on families' names (後嗣)' as the greatest lack of filial piety means to consider continuity of blood ties at the patriarchal level. Reason that tending parents with filial piety is connected to serving a sovereign with loyalty is a result that the descent-line heir system by the idea that families and countries are the same worked. For tending parents with filial piety, emperors' was different from ordinary people's. In this case, emperors' filial piety had an effect on the people in the world as well as themselves. In this sense, School of Ru emphasized efficiency of governing the realm and making the world peaceful in emperors' filial piety. Efficiency shown when practicing various levels of filial piety was applied to all the parts that men led a life including religious, ethical,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Accordingly the ideal of filial piety by School of Ru used its strong influence on all of individuals and countries. Eventually, filial piety includes reason to unite(大一統) Governing through Family Reverence (孝治) with traditional rule b virtue (德治) by beginning from the same structure of the descent-line heir system. And understanding this idea of filial piety can be found to be the core to understand feudal society of the same structure of the descent-line heir system.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왕희지(王羲之) 중화미학(中和美學) 중심주의와 한국서예 정체성 시탐(試探)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서예의 경우 남아있는 자료로 한국서예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면 두가지 측면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주로 비학 혹은 금석문 서예에 보이는 부정형성, 무작위성을 들 수 있다. 이런 점은 한국미 특질로 말해지는 자연미와 상당히 유사한 점이 있는데, 이런 분석이 帖學의 측면에서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것은 여전히 한계다. 다른 하나는 왕희지 추존에 담긴 유가 중화미학 틀에서 논의되는 한국서예정체성에 대한 규명이다. 한국서예역사에서 왕희지 추존 현상은 강하게 나타났지만, 한국최대의 서예가로 평가받는 金生에 대해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이처럼 한 작가를 평가할 때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에 왕희지 중심주의와 중화미학의 틀에서 한국서예정체성을 규명할 때는 한국서예가들이 중국서예가들과 어떤 차별상을 보였는가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통해 ‘古雅한 예술 측면으로서의 한국서예미의 특질과 정체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왕희지 서예와 같으면서도 ‘다른 점’이 무엇인가를 밝힐 필요가 있다. 그 ‘다른 점’에 한국인의 심성과 미의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특히 ‘偏’에 담긴 서예를 예술에서의 기교의 공졸 혹은 美의 우열이란 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서 천진스러움과 天機를 담아낸 서체, 즉 자신의 감성을 어떤 서체를 통해 자유롭게 표현했는가 하는 점을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제 서예에서의 문화사대주의인 왕희지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오늘날 ‘우리들의 눈’으로 과거 한국의 위대한 서예가들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통해 한국서예정체성을 논할 필요가 있다. Calligraphy in the case of material left by The Korea Calligraphy two aspects can if you want to find the cause of identity. One is mainly study of a stone would lift the randomness, calligraphy that might seem the type. Closely resemble the natural beauty which is spoken in this what trait point is high-profile cases, this analysis there is limit is still withheld, all right. The other one, Wang Xi-zhi set China oil prices contained in posthumous title of aesthetic framework be discussed in the calligraphy of identity clarification of Korea. We already have a Korean calligraphy in the history of Wang Xizhi as its center, with phenomenon is strong, but when, evaluated as a calligrapher in the nation`s largest writers as we saw in evaluating about JinSeong. In other words, Wang Xi-zhi set it is already calligrapher Korea when they self-identify, calligraphy and aesthetics in the framework of Korea and Chinese calligraphy artists who are and what did dot for political discrimination. There is a need to make ‘elegant style of art as korean calli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elegance and identity’ through analysis. Specifically, Wang Xi-zhi set a calligraphy that sound like ‘differences’ are is necessary to clarify something. In order for today`s ‘our eye’ great calligrapher of Korea through a variety of evaluation of The Korea Calligraphy identity need to discuss.

      • KCI등재

        학술발표논문 : 박세당(朴世堂)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도론(道論)의 유가철학적(儒家哲學的) 이해(理解)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박세당은 『신주도덕경』을 통해 『노자』에는 유가의 성인이 지향하는 修己治人의 논지를 담고 있다고 본다. 그런데 박세당이 노자사상의 핵심을 수기치인으로 본다는 것의 형이상학적 근거는 易理적 사유에 바탕한 道器論, 太極陰陽論 및 易理적 입장에 근간한 有無論 및 體用一源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周濂溪 『太極圖說』의 "無極而太極"과 『周易』의 "易有太極, 是生兩儀"의 틀을 통하여 『노자』를 이해하는 것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박세당이 『노자』를 이해함에 가장 문제삼는 것 중 하나는 晉代에 행해진 玄虛無實한 담론과 묘茫不可涯한 학설을 통한 惑世誣民은 老莊의 ``往而不返``의 사유와 관련이 있다. 이런 점을 박세당은 憤世 의식과 연결하여 이해하면서,``往而歸``의 철학으로서의 『노자』 이해를 꾀하고 있는데, 그 꾀함은 노자사상을 유가 우주론적 사유로 이해함으로 나타난다. 즉 노자사상에서의 修己治人 요소를 찾는 사유를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접근하면 유가의 우주론으로 『노자』 도론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박세당은 『노자』 도론을 유가철학에서의 體用論을 통해 이해하는데, 특히 ``通``과 ``久``로 풀이한``常``자를 통해 도의 운동변화성과 항상성, 영원성을 말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런 이해는 유가의 우주론을 통해 『노자』의 도를 이해한 것이다. 박세당은 『노자』의 도의 無聲無臭를 虛로 본다. 도를 虛로 볼 때, 虛無寂滅의 虛인지 아니면 道體의 인식할 수 없는 미묘한 것을 虛로 본 것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박세당이 말하는 道體의 虛는 후자에 해당한다. 인식불가능한 形而上者로서의 도는 無狀之狀, 無象持象으로 표현되며, 이때 虛가 갖는 무궁한 生生之意는 虛無寂滅의 墟와 다르다고 보며, 이런 점에서 道體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다. 즉 『노자』의 道體를 설명하는 虛나 無는 虛無寂滅의 虛가 아니라 無聲無臭로서의 道의 ``至虛而至實``을 설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박세당의 『노자』 인식은 당시 17세기 사상계의 전반적인 경향인 주자성리학의 문화적 성숙의 측면과 주자 성리학 일변도의 문화적 획일성에 반성을 제기하여 새로운 학문 연구에 대한 요구를 부각시킨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This essay is an analysis of ParkSeDang`s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which has builted up some theory and structure. In his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he argued Laotzu`s thought basically follows 『the Book of Changes』 theory and structure. A term used in 『The Book of Changes』 to refer to the source or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ings, in which 『New commentary of Tao De Jing』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We particularly pay special attention to 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o learned the importance of Lao-Zhuang`s thought. ParkSeDang is one of the Joseon scholars who emphasized practical learning and an open-minded person. To put it concretely, it is substantially as follows. In all points, ParkSeDang really want to stress the Laotzu thought follows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allotype, particularly adopt an ``ultimate of nonbeing is also called supreme ultimate`, also follows ``the substance and phenomenon are same root allotype` and ``Pinciple is one but its manifestations are many`, "In the Changes, there is the Supreme Ultimate, which produce the two forms. The two forms produce the four emblems." etc. Now to conclude, his thought about Laotzu`s thought basically follows Ned-confucianism`s structure and allotype. His thought about Laotzu`s thought like this understanding shows a Laotzu`s thought is not nothing further regard a doctrine as heresy.

      • KCI등재

        朴世堂 老莊註釋書에 나타난 易理的 思惟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 Hwan)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조선초 이단에 대한 사상적 공박을 통하여 노장사상의 관념성과 비실용성에 대한 비판이 진행된 이후 노장사상의 사상적 가치와 유가와의 공통성, 소통성에 착안한 실용적 응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도가사상을 연구하는 경향성을 보이는데, 그 단초를 열어준 학자는 李珥다. 그러나 李珥는 『노자』에만 초점을 맞추어 말했지만 노장을 모두 거론한 조선조에서의 유일한 학자는 박세당이다. 박세당은 이단사상인 노장에 대한 연구가 빌미가 되어 사문난적으로 배척당할 수 있는 정치적인 위험을 감수하면서 노장연구를 감행한 동기에는 유가와 도가 사이의 차별성에 대한 논의보다는 유가와 도가사이의 사상적 공유지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공유지점의 사상적 기반은 바로 易理에 있었다. 즉 비록 ‘以儒釋老’적 측면이 있지만 조선조에서 『노자』와 『장자』에 대한 성리학적 개념틀, 특히 易理적 사유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주석한 것이 바로 朴世堂의 『新註道德經』과 『南華經主解刪補』이다. 박세당은 노장사상이 모두 유가의 성인이 지향하는 修己治人의 논지를 담고 있다고 보는데, 수기치인의 형이상학적 근거는 易理적 사유에 바탕한 道의 體에 대한 形而上者로서의 이해, 太極陰陽論, 有無論 및 體用一源의 측면으로 나타난다. 특히 周濂溪 『太極圖說』의 “無極而太極”과 『周易』의 “易有太極, 是生兩儀”의 틀을 통하여 노장을 이해하는 것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점과 관련해 박세당이 중국역대 기존의 노장주석서 가운데 특히 魏晉시기의 王弼을 중심으로 하는 ‘崇本息末’,‘貴無論’, ‘以無爲本’의 차원에서 『노자』를 이해한 것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박세당의 이런 이해는 『장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박세당의 그것에 대한 대안은 바로 유가의 易理적 사유로서 노장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박세당처럼 역리적 사유에서 접근하면 노장은 더 이상 異端의 書가 아니게 되며, 이런 박세당의 분석은 열린 사유로 진리를 객관적으로 탐구하고 하는 사유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is an analysis of ParkSeDang's Lao-Zhuang Commentaries which has builted up some theory and structure. In his Lao-Zhuang Commentaries he argued Lao-Zhuang's thought basically follows the Book of Changes theory and structure. A term used in The Book of Changes to refer to the source or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ings, in which Lao-Zhuang Commentaries are no exception to this rule. We particularly pay special attention to 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o learned the importance of Lao-Zhuang's thought. ParkSeDang is one of the Joseon scholars who emphasized practical learning and an open-minded person. To put it concretely, it is substantially as follows. In all points, ParkSeDang really want to stress the Lao-Zhuang's thought follows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allotype, particularly adopt an ‘ultimate of nonbeing is also called supreme ultimate’, also follows ‘the substance and phenomenon are same root allotype’ and ‘Pinciple is one but its manifestations are many’, “In the Changes, there is the Supreme Ultimate, which produce the two forms. The two forms produce the four emblems.” etc. Now to conclude, his thought about Lao-Zhuang's thought basically follows Ned-confucianism's structure and allotype. His thought about Lao-Zhuang's thought like this understanding shows a Lao-Zhuang's thought is not nothing further regard a doctrine as here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