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6-평면그래프를 삼각그리드에 드로잉하기 위한 알고리즘

        조미혜(Mi Hye Cho),이주희(Joo Hee Lee),홍석희(Seok Hoo Hong),이상호(Sang Ho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4 No.2

        그리드 임베딩은 주어진 그래프 G를 그리드 상으로 대응시키는 것으로 G의 정점을 그리드의 정점으로 에지는 그리드의 경로로 대응된다. 이러한 그리드 임베딩은 VLSI 회로 설계 등에 주로 이용되며 그 특성상 면적, 굴곡부의 수, 최장 에지의 길이, 에지의 교차수 등이 평가 기준이 되는데,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면서 판독성이 우수한 그래프를 그리드 상에 표현하는 것이 그리드 드로잉(grid drawing)이다. 본 논문에서는 치수가 6 이하인 평면 그래프(6-평면 그래프)를 가시적 표현법(visibility representation)을 이용하여 삼각 그리드에 드로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회로 설계시 중요한 기준이 되는 면적과 판독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인 굴곡부의 수는 서로 상반성이 있는 조건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각각 고려하여 두개의 드로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굴곡부의 수를 고려한 알고리즘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굴곡부 제거 변환 규칙을 적용하여 드로잉 후의 굴곡부의 수를 4n+8 까지 줄였으며, 면적을 고려한 알고리즘은 드로잉 후의 면적이 (3n-5)*(2n-2) 이하임을 보장한다. 단, n은 주어진 그래프 G의 정점의 수이다. 두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은 모두 o(n)이다. The grid embedding for a graph G maps vertices to distinct grid points and edges to grid paths. Some criteria of a grid embedding applying to VLSI circuit design are minimizing the area, the longest edge length and the number of bends. So, the representation of a graph on the 2-dimensional grid with satisfying some of these criteria and high readibility is the grid drawing. In this paper, the methods for embedding planar graphs whose maximum degree is at most 6 (6-planar graphs) in triangular grids using the visibility representations are presented. Because there is a trade-off between minimizing the number of bends and minimizing the total areas, we present two heuristic algorithms for reducing the number of bends and the areas, respectively. The first algorithm reduces the number of bends by applying a sequence of bend-stretching transformations and then the resulting graph has at most 4n+8 bends, where n is the number of vertices of a graph. Also, the result of the second algorithm has at most (3n-5)*(2n-2) areas. These algorithms run in linear time.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조미혜(Cho, Mihye),권민정(Kwon, MinJung),김승환(Kim, Seung H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통한 사회성 관련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심리적, 사회적 특성의 긍정적 변화와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 전반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경험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중등체육교사 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 교수 2명, 학교체육 분야 전문 연구원 2명을 대상으로 조사-개발-예비검증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헌조사, 심층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용 타당성 및 현장적용 가능성 검토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학교부적응의 개념과 범위, 소외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4가지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정서와 태도의 2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각각 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차시별 주제, 주제별 참여 유형, 신체활동, 세부 활동 내용, 교수학습 방법, 체육수업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서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 내용, 태도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행동을 활성활 시킬 수 있는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측면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프로그램의 내용 측면에서는 관계의 형성과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탐구 과정의 투입과 지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which students experiencing ‘maladjustment’ to the overall school life experience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ing values related to soci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For this, targeting thre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wo professors of physical education, and two researchers specializ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phase of research, development, pre-verification. In detail,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experts group meeting while using the contents analysis and inductive analysi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nd applicability to the field,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scope of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concept of alienation in the existing preceding researches was analyzed. Second, setting up th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two elements such as emotion and attitude were drawn. Third,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anges in emotion and attitude was commonly composed of eight sessions each while suggesting the theme of each session, the participation type of each theme, physical activity, detailed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orrela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 Forth, the emotional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y to overcome depression, stress, and decline of self-esteem while the attitude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ies to active behaviors such as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observation of rules.

      • KCI등재

        학교 체육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식 연구

        조미혜(Mi Hye Cho) 한국여성체육학회 2003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education contents and the ways the contents are organized at U.S.A., England, and Australia, and to suggest practical ideas for constructing and organizing physical education content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it needs that selecting and organizing of the contents should be concept-based, because future physical education contents would be strong fitness,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skill rather than basic or advanced baketball skills. Second, it needs to make national achievement criteria at each school level. The criteria should be made with long-term discussion before selection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hird, it needs to reduce the content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Like England, P. E. contents can be slim at elementary level in Korea. On the otherhand, it would make students` choice wider for selecting physical education based on leisure-oriented sports. Fourth, block scheduling can be considered for organizing physical education contents in Korea. The current physical education contents are being organized in spiral way do that similar contents among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level are provided to students. Fifth, it suggests that physical education contents would be provided students with core and elective acitivies. For instance, some traditional activities in Korea can be a core activity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Finally, it is considered that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like England can be offered to some graders. In fact, this idea is not practical at this point, but someday it will be implemented to Korea School physical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한미 비교 연구

        조미혜(Mi Hye Cho),박연희(Yeon Hee Park) 한국여성체육학회 2010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operated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and America.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present useful information to provide more qualitatively excell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ed to cultivate compet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fterwards. This research has as its subjects six colleges of education in Korea and three colleges operating reliabl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rough purposeful random sampl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G. Bereday`s method to present comparative data, that is, interpretation, juxtaposition, and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shown below. First, the educational goals of both countries have much in common, but the facultie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re diffident in terms of their major. Second, in regard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merican programs take far more of subject-matter-education than subject-content-education than Korean ones. Third,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e internship) is longer in America than Korea, and there is a standard plan for the practice in America.

      • KCI등재

        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미래와 전망

        조미혜(Cho Mi Hye) 한국여성체육학회 199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13 No.1

        The changes in our future society will not be simple changes merely in `the century` but changes in `the millenium`. It means that it will be a turning point in the paradigm of civilization which can change the big stream of human civilization. And school physical education will play a more important par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in future socie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orecast the chang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new millenium and explore the kinds of practice and research which can be helpful for the change. Especially, this study intends first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students which are accompani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 it explores the changes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by the emphasis on each individual student. And third, it explores the introduction of a new evaluation method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lorations in this study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put school physical education into practice at each school. To anticipate probable changes and provide propositions for them would be very meaningful to the students,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ll who are involved in the physical education of our children.

      • KCI등재

        체육교사 교육을 위한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및 교사 교육적 의미 탐색

        조미혜 ( Mi Hye Cho ),권민정 ( Min Jung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들이 교육실습 전-중-후에 어떠한 경험을 갖게 되며, 그러한 경험 내면에 담겨 있는 교사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로 A지역의 B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7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육실습 일지(1차) 및 심층면담(그룹 및 개별)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Smith & Kinsella(2009), Spradley(1980)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 한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 전에는 배움(지식, 기술, 행동)과 깨달음(느낌, 자극, 의식)에 대한 기대, 실습 중에는 ‘나(신체, 정신, 생활)’, ‘너(교사, 학생)’, ‘그것(수업, 환경, 에피소드)’과의 싸움과 타협, 실습 후에는 ‘수업 (계획, 실행, 평가)’, ‘관계(형성, 유지, 개선)’, ‘역할(교사, 태도, 소명감)’에 대한 아쉬움이라는 경험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성은 체육과 교육실습의 본질(本質) 찾기, 상(象) 찾기, 역할(役割) 찾기, 위상(位相) 찾기와 같은 네 가지 측면의 교육적 의미로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체육 교과의 교육적 가치와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예비체육교사의 교육 실습 구현을 위해 주목해야 할 사안으로 체육과 교육실습 내용의 일원화, 교육실습 전담 지도교사제 도입,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평가 시스템 마련, 교육실습과 연계 가능한 현장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experience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before, during and after student teaching along with teacher educational meanings in the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 senior students 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of B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ily records of student teaching and in-depth interview(group and individu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s of Smith & Kinsella(2009) and Spradley(1980). The analysis showed expectation for learning(knowledge, skills, behavior) and realization(feeling, stimulation, awareness) before student teaching, fight and compromise with ``me``(body, spirit, life), ``you``(teacher, student) and ``it``(instruction, environment, episode) during student teaching, and regret of ``instruction``(plan, execution, evaluation), ``relationship``(forming, maintaining, improving) and ``role``(teacher, attitude, sense of calling) after student teaching.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in 4 aspects of educational meanings including seeking essence, seeking forms, seeking roles and seeking status. Lastly, the study suggested unification of student teaching contents, introduction of exclusive teacher system for student teach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student teaching program and development of field 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available to connect with student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조미혜(Mi Hey Cho),신기철(Ki Cheol Shi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4

        학생들에게 신체 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건강과 체력을 기르고 유지하는 것은 오늘날 체육교육의 당면 과제라 할 것이다. 이것은 학교교육과정 중에서 체육과 교육을 통해 가능하며, 따라서 체육과 교육이 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지금까지 초등학교 1, 2학년에 대해서는 통합 교과 교육 접근방식을 고수해 옴에 따라서 이들에게 신체 활동 기회의 제공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에 대해서 체육 교과 교육학자들뿐만 아니라 현장 교사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과 교육을 담고 있는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의 한계점을 고찰하고, 외국의 여러 가지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저학년 체육과 교육에 대한 관심을 고무하는 동시에 저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most important issue or educational mission in recent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to develop and maintain students` health and fitness by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do various physical activities. These missions are possible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among school curriculum, thus physical education has to be activated more and more. But until now, 1-2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have been given the limited opportunities to do physical activities because of the demand of cross-curricular approach. Most of physical educators and teachers have addressed the issue on such curricular approach. We explored the limitation from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physical education. And then,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cases which are related the curriculum for kids` physical education from mainly advanced countries in physical education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France, and Japan.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ed the fundamental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1-2th grader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융합의 시대에 대비한 체육교육과정의 과제

        조미혜 ( Mi Hye C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융합의 긍정적인 태도 발달을 위하여 체육 분야에서 길러야 할 교육적 가치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에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되는 융합의 시대에 알맞은 체육의 과제를 탐색해보기 위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미래사회를 지식기반사회, 정보화사회, 세계화사회, 다원화사회 등으로 예견하고 미래의 교육은 ‘집어넣는 교육’ 이 아니라 ‘끄집어내는 교육’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잠재력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찾고 키워주는’ 교육으로서 그 핵심에는 ‘창의성’과 ‘인성’이 존재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과의 창의성과 인성에 초점을 맞추어 체육교과에 적합한 창의성과 인성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체육교과의 창의적 사고력은 전술적 창의력, 심미적 창의력, 확산적 창의력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체육 수업에서 우리가 생각한 창의성은 무용이나 표현활동에서 학생들이 창작 작품을 만들어서 발표하는 것 정도로만 생각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창의성을 개발시키기 위하여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다섯 개의 가치영역 전반에 걸쳐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창의성을 이끌어내야 한다. 예를 들면, 경쟁 활동의 다양한 게임을 수행 하면서 전술, 경기 데이터 분석 등과 같은 경기분석, 경기 감상 등을 통하여 분석력, 비판적 사고력, 표현력 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전술게임모형에 근거한 표현활동, 체조, 스포츠 동작에서의 새로운 창작 및 재구성, 음악, 복장, 소품, 동작의 창의적 개발도 추구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체육과에서 주목해야 할 인성은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에서 미래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집중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체육적 인성은 협동심, 사회적책임감, 스포츠맨십, 도덕심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ion of future trends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as the preparation for changing future society. Future world will be the era of convergence. It indicates “melting and uniting” and means that each discipline gathers one direction. There are similar words such as integration, interchange, inter-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cross-disciplinary etc. convergence is required for children in future. It is why the change of new technology and industry is not limited in certain level, but it requires the new paradigm including thought changing as well as form of our life like smart phone. This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ion should also accep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hich have been sought in the world today and contribute to educating a whole person with them in considerable part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 교양 댄스스포츠 창작 및 감상 수업 사례 -식과 평가 능력을 중심으로-

        조미혜 ( Mi Hye Cho ),홍희정 ( Hee Jung Hong ),김도윤 ( Do You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대학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창작 및 감상활동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작활동에 대한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감상학습의 일환인 동료평가 활용과 학생들의 창작-감상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한 대학교 교양 댄스스포츠를 수강하는 남녀 대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9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학생들의 수업일지와 평가 이해도 동료평가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창작과제를 적용한 결과 대학생들은 수업의 흥미, 성취감, 협동심, 창의성 발현 기회와 같은 긍정적인 교육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동료평가 점수와 교수의 평가점수 비교에서 학생들의 동료 평가 점수가 교수자의 평가점수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작능력과 감상능력간의 관계에서는 감상능력이 우수할수록 창작에서의 표현력과 기술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학교 교양댄스스포츠 수업 중 창작활동이 대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의 흥미, 성취감, 친밀감과 협동 심등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적으로 매우 긍정적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학생의 감상능력은 창작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학생들의 동료평가를 활용한 감상영역 평가방법은 차후 학생들의 감상능력을 평가하기에 보다 객관화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 of creative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eciative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by Peer Evaluation in cultural dance sport exercise. For the purpose, 65 students who registered for the dance sport class were participated during 4 months. During this semester, we gathered the data on the recognition about creative activity by questionnaire and also we measured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valuation criteria. From dat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eciative and creative ability by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below : First, students had positively educational experience such as interesting in creative class, accomplishment, cooperation and the showing the creativity by the class. Second, on the comparison between assessment by professor and by peer, peer assessment score was lower than professor assessment score on the harmony between partners and on the total sum significantly (p<.05), while professor assessment score had higher tendency than peer assessment on creativity, presentation, skill. Third, students who had high expression score of appreciation by professor showed the higher score on the expression and skill in creation. With these results leaded the conclusions that creative and appreciation activity in cultural dance sport class might be positive experience to inspire the interesting, accomplishment, closeness during the cultural dance sport class. Even though we didn`t get the significant results because we didn`t set the control group, we could suggest that there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ppreciation ability. Additionally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appreciation ability, the evaluation method by applying the peer assessment might be possible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