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산(茶山)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교육주체들의 관계 고찰 - 효(孝)·제(弟)·자(慈)를 중심으로 -

        조문숙,Jo, Moon Sook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9 한국교육논총 Vol.4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ethics of practice that Dasan Jung Yak-yong(1762-1836) argued at the book,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s of education. "Dàxuégōngyì", the book that Dasan wrote when he was 53 years old at his exiled place, Gangjin. As the title suggested, Dàxuégōngyì, it could be recognized as the impartial view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o Zhūxǐ(朱憙)'s opinion. Zhuxi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Great Learning 大學" as a study of the Great people and argued that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all the people should learn. On the other hand, Dasan claimed that "Tàixuézhīdào太學之道" in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the prince, not for the normal people. And he also interpreted "Dàxué 大學" as the school for teaching prince. In addition, "Great Learning" suggested the three practical principles; to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o renovate the people; and to rest in the highest excellence. However, Dasan argued different way and emphasized three ethics of practice; filial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and regarded as illustrious virtue of "Great Learning." He denied the three principle of "Great Learning" that Zhuxi reorganized and suggested including renovating the people(新民), and provided that close to the people(親民) is one of the main principles of "Great Learning." According to Dasan, if the king practices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so that the people will practice these ethics voluntarily. In other words, he indicated that the practice of three ethics is not only for the prince in the loyal family, but also for principles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nation. Thus, three ethics by Dasan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could b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humanity. In other words, Dasan's three ethics in "Great Learning" can be recognized as the practical principles including educational issues and educational interactions. If these three ethics can be referred as the symbol of humanity as mentioned above, the implicit educational interactions are specifically constructed within the basic assump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specific ethics of practice by the indicating specific subjects and objects in the educ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Also, it helps more clear comprehension about the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Dasan.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가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궁극적인 실천윤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주자는 훈고(訓詁)에서 『대학(大學)』을 대인(大人)의 학문이라 풀이하여 어린이의 학문과 대소(大小)로 대조를 이루어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배워야 하는 학문으로 그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에 반해 다산은 『대학』을 가리켜 경문(經文)에서 말한 '태학의 도[太學之道]'는 태자를 가르치는 도이지, 분명 백성을 가르치는 도가 아니며, 이를 '태학의 도'라 말할 수는 있지만 '향학의 도[鄕學之道]'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여 『대학』을 나라의 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로써 해석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유학의 이념으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至於善)의 삼강령(三綱領)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산은 『대학』의 실천윤리는 효·제·자(孝·弟·慈)이며 효·제·자야 말로 명덕(明德)이라고 풀이한다. 또한 효·제·자를 가리켜 백성을 효도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아들된 사람은 그 부모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공경으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동생 된 사람은 그 형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어린 사람은 그 웃어른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자애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어버이 된 사람이 그 자식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웃어른 된 사람이 그 어린 사람에게 친하게 한다. 그러므로 태학의 도는 친민(親民)에 있다고 하여, 주자의 신민(新民)을 부정하고, 효·제·자를 친민(親民)의 실천윤리로 제시한다. 다산은 임금이 이러한 효·제·자를 실천하면 백성에게까지 그 가르침이 미치어 백성들에게 또한 효·제·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효·제·자라는 대학의 실천윤리가 단지 나라의 태자에게만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 아닌 백성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효·제·자(孝·弟·慈)는 인륜(人倫)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듯 다산이 유학의 실천윤리로 제시한 효·제·자(孝·弟·慈)에는 『대학』에서의 교육적 내용과 교육적 관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제·자(孝·弟·慈)가 인륜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적 관계들은 구체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안에서부터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제·자(孝·弟·慈)에 내포되어있는 교육적 관계들의 주체와 객체를 구체화 시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다산이 『대학공의』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구체적인 실천윤리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통하여 다산이 풀이한 『대학공의』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와야나기 마사타로(沢柳政太郎)의 교육실천 고찰: 「실제적 교육학」과 세이죠학원의 신교육운동을 중심으로

        한용진(韓龍震)(Yong-Jin Hahn),조문숙(趙文淑)(Moon-Sook Jo)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この研究の目的は明治期と大正期の代表的教育者である沢柳政太郎の教育実践を彼の著書実際的教育学(1909)と成城学校での新教育運動に注目して調べることにある。 本研究の結論は次の通りである。第一に、沢柳は明治期の文部省官僚経験をもとに実際的教育学を著述し、大正期には様々な民間教育関連機関の会長を務め、私立成城小学校の設立のを通じて自らの教育観を実践した。第二に、実際的教育学の登場は観察と実験の實證主義的方法論の必要性を提起したことで、既存の教育学理論に対する批判を通じて海外教育学を紹介する移入教育学時代から抜け出し、自立的 教育学研究時代を開く試金石となった。第三に、彼が実際的教育学で言及した教育学の対象が初等普通教育に限定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は、1920年代欧米教育視察の以降中等敎育段階に広げた。第四に、成城小学校における彼の新教育実践は、公立学校ではなく私立学校を中心としたものであり、「創設趣意」でいう①個性尊重、②自然親和的教育、③心情の教育、④科学的研究に基づく教育などは大正新教育運動の特徴をよく示すものである。第五に、彼の教育観は聖職者的教師論を基盤に「教育勅語」を信奉しようとする限界にもかかわらず、教授方法では自学・自習・自治・自律を提示してい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Masataro Sawayanagi, a representative educator in the Meiji and Taisho eras, through the analysis of his book Practical Pedagogy (1909) and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at Seijo schoo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wayagi wrote Practical Pedagogy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bureaucra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Meiji period and as chairman of variou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the Taisho period. Second, the emergence of Practical Pedagogy raised the need for a positivist methodology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was a touchstone for ushering in an era of independent educational research, breaking away from the era of imported pedagogy. Third, the argument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 he mentioned in Practical Pedagogy should be limited to elementary education was expanded to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after the inspections of Europe and America in the 1920s. Fourth, his new education practice at Seijo Elementary School was centered on private schools rather than public schools.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includes: ① respect for individuality; ➁ nature-friendly education; ➂ emotional education; and ➃ science-based education. Fifth, despite his limitations in trying to follow the "Imperial Edict on Education" based on the doctrine of clerical teachers, his teaching method emphasizes self-learning, self-study, self-governance, and self-discipline. 본 연구는 메이지기(明治期)와 다이쇼기(大正期)의 대표적 교육자인 사와야나기 마사타로(沢柳政太郎: 1865-1927)의 교육실천을 그의 저서인 『실제적 교육학』(1909)과 세이죠학교에서의 신교육운동에 주목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와야나기는 메이지기의 문부성 관료 경험을 토대로 『실제적 교육학』을 저술하고, 다이쇼기에는 다양한 민간 교육관련기관의 회장을 맡으며, 사립 세이죠소학교의 설립을 통해 자신의 교육관을 실천하였다. 둘째, 『실제적 교육학』(1909)의 등장은 관찰과 실험의 실증주의적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기존 교육학 이론들에 대한 비판을 통해 해외교육학을 소개하는 이입교육학 시대에서 벗어나 자립적 교육학 연구 시대를 열어주는 시금석이 되었다. 셋째, 그가 『실제적 교육학』에서 언급한 교육학의 대상이 초등보통교육에 한정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1920년대 구미 교육시찰 이후에는 중등교육단계로 확장되었다. 넷째, 세이죠소학교에서의 그의 신교육 실천은 공립학교가 아니라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창설취의(創設趣意)」에서 말하는 ①개성존중, ②자연친화적 교육, ③심정의 교육, ④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교육 등은 다이쇼 신교육운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그의 교육관은 성직자적 교사론을 기반으로 「교육칙어」를 신봉하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교수방법에서 자학(自學)・자습(自習)・자치(自治)・자율(自律)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근대적 교육개념 형성: 『교육입국조서』와 개화 지식인

        강성훈 ( Seong-hun Kang ),최승현 ( Seung-hyun Choi ),조문숙 ( Moon-sook Jo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현재까지 다수의 국내 연구들은 조선시대의 개념세계에 존재했던 다양한 교수-학습 관련 개 념들이『교육입국조서』의 등장을 전후하여 ‘교육’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통합되어 갔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그 통합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 분석을 시도한 것인데, 특히 근대 시기 조선의 국체개혁 와중에 정부주도의 새로운 주체형성 정책을 진행하면서 이를 ‘교육’이 라는 특수한 개념으로 표현한 결과로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육입국조서』는 발표자의 명의만이 확인될 뿐 집필자가 특정되지 않은 문서다. 이 조칙이 출현할 당시 조선정부는 2차 김홍집 내각이 집권 중이었던 바, 박영효, 유길준, 박정양으로 각각 대표되는 개화당파 간 갈등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교육입국조서』의 작성 및 발표와 관련된 갈등이 없었다는 것은 이들 개화파 정치인들이 새로운 국체에 걸맞 는 주체형성 정책에 관한한 그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갑오개혁 이전 집필된 그들의 저작을 통해 확인되는데, 그들은 공히 메이지 유신을 거치며 형성된 일 본의 교육개념을 수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국체개혁 방안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교육입국조서』의 등장은 갑오개혁 이전 상당수의 조선 지식인들이 일본의 근대 적 교육개념을 수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이며, 그들의 집권 이후 전개된 조선의 정치사가 개념세계에 미친 영향을 짐작하게 해주는 근거가 된다. The many existing researchers show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 changes from many diverse meaning in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to that of a single conception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has not the name of author. Because some enlightenment parties among Park young-hyo, Yoo gil-jun and Park, jung-yang under Kim, hong-jip’s cabinet escalate into a deadly conflict at that time. Nevertheless, there is not a fricative in related to the writing and the presentation on it, so we can interpret that they form a political consensus on the problem of nation-building. We can see this viewpoint by their works before the Gabo Reform also, in which some enlightenment parties accept the concept of education after Meiji Reform in Japan and express their ideas through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e appearance of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rows a sidelight on the fact that some educated person accept the concept of education in Japan already. Lastly, we guess that the political world in Chosun dynasty causes influence to the academic world.

      • 인슐린 치료중인 당뇨병 환자에서 야간 저 혈당의 발생 예측

        조문숙,고경수,이병두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1

        연구배경 :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인 미세혈관병증의 1차 예방 및 2차 예방을 위해서는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철저한 혈당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임상에서는 적극적인 인슐린치료가 흔히 필요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저혈당의 발생 빈도 및 정도가 증가된다. 특히 야간에 발생하는 저혈당은 인지가 어렵고 또한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혈당조절을 어렵게 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인슐린으로 치료중인 당뇨병 환자에서는 야간저혈당의 발생예측과 예방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이에 저자는 인슐린으로 치료중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저혈당이 가장 흔하게 발생될 것으로 생각되는 새벽 3시 혈당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지표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당뇨병으로 입원하여 인슐린으로 치료중인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성별, 당뇨병 발병연령,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로 함), HbA1c, 밤 11시 혈당, 다음날 새벽 3시 혈당, 다음날 아침 7시 혈당을 검사하여 새벽 3시 혈당 및 저혈당 증세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c-peptide immunoreactivity (이하, CPIR로 함)는 공복시와 글루카곤 자극후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여 이들 지표와 새벽 3시 혈당 및 저혈당증세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각종 임상지표와 측정결과중 환자의 연령(r=-0.388, 95% 신뢰구간; -0.61~-0.12, p<0.01), 당뇨병 발병연령(r=-0.367, 95% 신뢰구간; -0.59~-0.09, p<0.01), 밤 11시 혈당(r=0.817, 95%신뢰구간; 0.69~0.89, p<0.01) 및 다음날 아침 7시 혈당(r=0.558, 95% 신뢰구간; 0.33~0.73, p<0.01)만이 새벽 3시 혈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저혈당 증상을 경험하였던 군(n=9)과 경험하지 않았던 군(n=16) 사이에서는 임상지표는 물론 밤 11시, 다음날 새벽 3시, 다음날 아침 7시 혈당, HbA1c , 공복시와 글루카곤 자극후 CPIR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새벽 3시 혈당은 환자의 연령과 발병 연령이 높을수록 낮게 관찰되었다. 또 한 새벽 3시 혈당은 밤 11시 혈당과 다음날 아침 7시 혈당이 낮을수록 낮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야간저혈당의 발생 예측 및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날 공복혈당 측정보다는 밤 11시 혈당측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밤 11시 혈당 측정을 통한 야간저혈당의 발생 및 예측은 연령이 높은 환자에게 더욱 유용할 겻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criteria of significant nocturnal hypoglycemia (that is,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is less than 65 mg/dL) occuring at admission in adult with IDDM and NIDDM using insulin treatment . Materials and M thods:We selected 48 diabetic patients among those who admitted our hospital from July 1996 to Jun 1997. All patients received twice daily insulin, with the injection of a intermediate acting insulin at 7 A.M. and 5 P.M.. There commended diet was isocaloric and contained 55~60%carbohydrate, 15~20% protein, and 20~25% fat. The diet was usually divided into three meals and no snacks was recommended .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check a list of symptoms during the night, which included relavant hypoglycemic symptoms such as dizziness, morning headache, hunger sensation, and nightmare. Blood samples were drawn at 11 P.M., subsequent 3 A.M. and 7 A.M..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whole venous blood by a glucose hexokina se technique, and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Nocturnal biochemical hypoglycemia was considered whe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as below 65 mg/dL. Results: Plasma glucose levels at 3A.M. correlation with age (r=-0.388, 95% confidence interval: -0.12~-0.61, p<0.01),onset age of diabetes (r=-0.367, 95% confidence interval: -0.59~-0.99, p<0.01), plasma glucose level at 11P.M. (r=0.817, 95% confidence interval: 0.69~0.89, p<0.01), and subsequent morning plasma glucose level at 7A.M.(r=0.588, 95% confidence interval: 0.33~0.73, p<0.01) in patients with insulin treatment diabetes mellitus. The comparisons of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a ccording to the presence of nocturnal hypoglycemic symptom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bedtime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seems to be a valuable predictor of biochemical nocturnal hypoglycemia, and the subsequent morning fasting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an estimate of preceding biochemical nocturnal hypoglycemia. Age might also be he lpful in ide ntifying pa tie nts a t risk.

      • 의식 변화를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당뇨병 환자의 임상적 특성

        최대식,박연희,이승훈,윤범,임충현,조문숙,이병두,류석용,김홍용 인제대학교 2000 仁濟醫學 Vol.21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betic patients with altered mentality in the emergency room. Methdos and Material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rom April 1994 to August 1999. We included the diabetic patients with altered mentality on the base of the daily reports of the emergency room and patient's admission database, then review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Results: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with altered mentality entering emergency room was 432 for about 4.5 years. The mean age was 62.2 years. The causes of altered mentality consisted of hypoglycemia(31.9%), neurologic problems(25.5%), hepatic encephalopathy(13.4%), hyperglycemic crises(7.6%) , and others. Patients with diabetic acute metabolic complications showed better prognosis than others. Conclusion: The diabet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room with altered mentality had carious causes. The most common cause was hypoglycemia followd by neurologic problems, especially stroke. The hyperglycemic crises relatively less common causes of the altered mentality. The rapid determination of the patients blood glucose bevel using the glucose reagents strip and acid-base status helps the physician to evaluate and manage the diabetic patients with altered mentality in a large maj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