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브라우저를 활용한 교수자-학습자 소통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조동식,이혜영,이혜진,Jo, Dongsik,Lee, Haeyoung,Lee, Hyej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2

        학습자(Student)는 질문을 통해 본인이 궁금증을 좀 더 명확히 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업 및 강의 시간에 학습자가 교수자(Lecturer)에게 질문을 하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예.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부끄러움). 특히,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는 강의의 경우 더 크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이를 극복하고자 학습자에게 질문 혹은 커멘트를 좀 더 쉽고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교수자-학습자 소통 프로그램(Audience Presentation System, APS)이 활성화 되어 강의 시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APS 프로그램은 실제로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히 드러난 연구 사례를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APS 시스템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APS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 사용성, 흥미도, 참여도, 필요성, 활용도 등 전반적으로 모든 학습자들이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though students can make their questions to clarify their curiosity, there are variety of reasons why a student cannot ask a lecturer. For example, they are ashamed to ask questions.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class to attend many students, the situation for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will be caused even greater.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udience Presentation Program (APS) to share students' questions and comments have been introduced, it has widely used. The APS system enables students to ask questions more easily and comfortably.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the APS system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in terms of easy-to-use, preference, engagement,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found that 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PS system.

      • KCI등재

        캐릭터와 주변 환경 간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캐릭터 motion adaptation

        조동식(Dongsik Jo),최명걸(Myung Geol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4

        Recently, character motion have been used extensively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and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algorithms of reproducing, editing, and simulating mimic human movements. Also, many recent researches have suggested how a character interacts with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n terms of motion. Specially, spatial relationships of the environment have been introduced for adapting and preserving character mo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tion adaptation technique preserving a spatial property between a virtual character and the configuration of its surrounding space. Additionally, we report on experimental results of smoothly adapted motions in various environmental structures with original motions such as walk, jump, and tumbling.

      • 주파수 도약 수열의 합성 기법

        조동식(Dongsik Jo),정진호(Jin-Ho Ch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주파수 도약 수열은 군용 통신, 블루투스, 초광대역 통신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온 사용자 고유 부호의 일종이다. 실제 통신 환경에서는 가용 주파수의 개수와 전송 주기 등에 맞는 길이와 알파벳을 가지는 주파수 도약 수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파라미터를 가진 주파수 도약 수열의 설계는 주파수 도약 기반 대역확산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도약 수열의 합성을 통해 새로운 길이의 수열을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 도약 수열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frequency-hopping sequence is a type of user-specific code tha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in military communication, Bluetooth,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s. In a prac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frequency-hopping sequence with an alphabet and a length suitable for the number of available frequencies and transmission period is required. Therefore, the design of the frequency-hopping sequence having various parameters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frequency-hopping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To this end, this paper explores a method of synthesizing a sequence of a new length through the synthesis of existing frequency-hopping sequenc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frequency-hopping sequences applicable to various environments of communications.

      • KCI등재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기법

        김주환,조동식,Kim, Ju-Hwan,Jo, DongS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1

        최근 실감 콘텐츠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유사홀로그램(hologram-like)시스템은 공연, 전시, 교육 등에 활발히 적용 및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피라미드형, 반투명 대형 단일 스크린 형태 등 설치될 장소, 사용 목적, 체험자 인원, 콘텐츠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투영 면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가 서로 다른 이기종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실감 콘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드웨어 구성에 맞추어 즉석에서 자동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콘텐츠를 매뉴얼하게 재가공하는 노력이 필요 없이 콘텐츠 개발자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투영되는 콘텐츠만을 개발하면 즉석에서 자동으로 보정된 가시화가 진행됨을 알 수가 있었다. Recently, a hologram-like system to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has been serviced in performances, exhibitions, education. The constructing method for the hologram-like system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yramid-typed, a semi-transparent large screen form. However, in various types of hologram-like system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djustment by changing and revis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figured hardwar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echnique that can automatically visualize virtual contents running on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To change the content to a given hardware configuration, we receive pre-built simple text-based configuration data, and correcting proces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found automatically and easily corrected visualization with the given configuration of the hologram-like system. Also, the problem of reducing the time by manual control in various types of heterogeneous hologram systems was solved.

      • KCI등재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Virtual Human with Physicality on Co-presence and Emotional Response

        Kwang-Seong Shin(신광성),Dongsik Jo(조동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With continue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fields of computer graphics (CG) and virtual reality (VR), digital animated avatars (or virtual humans) are evolving into ones that are more interactive at a suitable location such as museum, airport, and shopping mall. Specially, the form of the avatar (or the virtual human) realistically need to be expressed in a way that matches the users’ physical space. In recent many researches, the form of virtual human has been expressed as mixed-reality human (MRH)-the virtual human combines with the physicality as the real part. In this paper, we propose to carry out a study comparing various MRH on co-presence and emotional response in two-typed virtual humans depending on how many actual parts are included: (1) (Level 1) small parts in the virtual human combined virtual components (e.g., the head only) and (2) (Level 2) large parts in the virtual human with the physicality as the real part such as head, arms, and upper body). We report on the implemented results of our virtual humans and experimental results on co-presence and emotional response.

      • 임의공간에서의 사각지대 검출 최적화를 위한 CCTV 배치 기법

        김주환(Juhwan Kim),조동식(Dongsik Jo)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최근, 제한된 자원을 활용해 최적의 배치 지점을 찾아 효율적으로 시각정보를 획득하는 시각정보 획득장치(카메라, CCTV)의 배치 지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물리공간에서의 3 차원 공간정보를 확보해 정밀하게 복원하는 방법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환경에서 보다 사실과 같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실제 환경에서의 물리적인 상황을 온전히 반영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물리공간에서의 3 차원 시각정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정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수의 시각정보 획득장치를 활용할 경우 각각의 장치배치에 의한 자원과 정보 획득 장치별 데이터를 하나의 3 차원 정보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자원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공간의 3 차원 공간정보를 가상공간에서 복원하거나 실제 공간의 시각정보를 누락 없이 확보하기 위해 CCTV 나 카메라와 같은 시각정보 획득 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임의공간의 정보 확보를 위한 관심점 기반 사각지대 검출 CCTV 배치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임의의 공간에서 공간정보를 확보할 때 영역 중요도에 따른 관심점 배치를 활용하여 CCTV 배치 시 필요 정보 검출에 요구되는 시각적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