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유형 분석

        조기희(Jo, Kihee),정유금(Jeong, Yookeum),이옥선(Lee, Okseo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1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해 원격수업이 도입되었고, 이로 인해 학습 내용의 본질이자 도구가 신체활동인 체육 교과 역시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단계가 어떻게 변화하며, 이러한 관심 정도에 따라 온라인 체육수업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그 실행 유형을 질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온라인 체육수업이 어떻게 준비되고 실천되어 가는지 그 모습을 드러내고, 온라인 체육수업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체육수업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체육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온라인 학습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 단계는 1) 불가능과 기대감 제로 단계, 2) 불가피함의 인정과 가능성 찾기 단계, 3) 학습 동기와 내용에 대한 고민 단계, 4) 협력과 확장 단계로 구분되었다. 둘째, 온라인 체육수업의 실행 유형은 1) 이것저것 끌어오기형, 2) 이론 중심 지식 전달형, 3) 신체활동 증거 수집형, 4) 실시간 신체활동 요구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온라인 체육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pread of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the geography of school education, especially in physical education (PE) classes which mainly uses physical activity as essential educational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 of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types of online PE classes.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mplemented online P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online class materia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oncerns on online PE class have been categorized as: (a) impossibility with no expectation, (b) accepting inevitable nature and seeking possibility, (c ) concern on motivating students and class content, and (d)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Teachers’ implementation types of online PE classes were categorized as: (a) drag-and-drop type, (b) theory-based knowledge transfer type, (c) physical activity evidence collecting type, and (d) real-time physical activity requirements type. Lastly discussion and future directions on online PE classes are provided.

      • KCI등재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

        조기희(Kihee J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인성 교육적 효과로 체육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책임감모형을 배우고자 모인 초등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질적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모임 자료집, 모임 참여 관찰, 연구자 일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연구 참여자는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명의 초등 교사였다.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참여 교사들의 수업이 기승전결이 없었던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밝는 체계적인 체육수업으로, 교사 중심의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책임을 주는 체육수업으로, 노는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가치를 배우는 체육수업으로 변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책임감모형 체육수업 관련 앎이 확장되고 할 거리가 많아졌고,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밟으며 체육수업을 능숙하게 운영하게 되었으며, 체육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고, 교과서의 노예에서 책임감모형에 맞게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변형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초등 교사들의 책임감모형 학습 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교사, 수업모형 측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으며,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에 유의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in order to learn the responsibility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The main data were TLC materials, participant observation of workshop, field not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6 elementary teach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lessons changed a) from non-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b) from teach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lay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teaches value. Second, TLC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a)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got more contents to do. b) Participants became profici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articipants became responsi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d)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active teachers from slaves of textbooks.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revealed limitations in terms of TLC, teacher, and responsibility model. It is necessary to operate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with caution.

      • KCI등재

        체육 나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 과정과 참여 동기 요인 탐색

        조기희(Kihee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지속적․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고, 교사학습공동체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이유를 드러냄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 이들에게 실천적인 지식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2017년 3 월 1일부터 2018년 2월 28일까지 질적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자료는 오프라인 워크숍 자료집, 온라인 게시물, 워크숍 참여 관찰, 일지, 심층 면담(6명, 참여교사)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공 동체는 1) 다양한 시도를 했던 대학 기반의 이론 중심 리더 운영 체제, 2) 선별된 대학 기반의 이론 중심 리더 운영 체제, 3) 안정된 대학 기반의 이론과 실기 중심 서브리더 운영 체제, 4) 학교 현장 기반의 실기 중심 핵심교사 운영 체제 단계를 거치며 협력적 전문성 발달 조직으로 거듭났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동기 요인을 탐색한 결과 1) 사랑하는 학생들이 체육을 좋아하기 때문에 찾게 되고, 2) 즐겁게 그리고 확실하게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오게 되며, 3) 소통과 공유의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에 가게 되고, 4)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교사학습공동체는 집단 지성을 통해 협력적 전문성 발달을 꾀하는 조직으로서, 학교 조직 문화 개선 및 현직교사교육에 있어 매우 큰 잠재 력을 지니고 있기에,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교사학습공동체의 이론과 실천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 근거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practical knowledges for teachers who want to operat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by researching the growth process of the TLC which is operating continuously and stably and finding out the reason why they want to participate in a TLC. The study is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8. Main source were workshop material, online cafe post, SNS post,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workshop, field not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6 teacher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LC was developed into a coope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 throughout four stages; 1) lead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llege theory that has tried a variety of things、2)lead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selected college theory、3)sub-lead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llege theory and practice, and 4) a school field driven core teacher operating system. Second, motives for constant TLC participation were; 1) dear students like sports, 2) enjoy learning and learn cleary, 3) opportunities for sharing are provided, and 4) opportunities for meeting good people and being together. TLC for sharing PE is an organization that develop cooperative expertis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for invigorating TLC based on its theory and practice research results because TLC has great potential for school culture improvement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와 지원 방안 : 초등 3~4학년을 중심으로

        조기희(Kihee Jo),오승현(Seunghyeon Oh)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초등 현장 적용 실태 파악을 토대로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과 변화의 분석, 초등 현장 적용 시 어려움 파악, 개선 방향을 다루었다. 첫째,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과 변화로는 교과의 본성에 맞는 역량 4가지의 등장, 학습량 적정화,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의 강조, 안전 영역의 신설, 내용 요소의 의미·기본 기능·방법·정의적 요소로의 구분, 정의적 요소의 변화, 내용 요소와 기능을 결합해 코드화한 성취기준의 기술, 매 영역마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제시 등이 있다. 둘째, 초등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한 결과, 교사들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 긍정적이며, 교과 역량, 학습 내용 수준, 학습량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어려운 점은 안전 영역의 수업 설계와 실행, 체육 공간과 시설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개선 방향은 ① 새로운 교육과정 개정, ② 교과서를 비롯한 교수·학습 자료의 지원, ③ 실제 체육수업의 개선 지원, ④ 체육수업 환경 지원, ⑤ 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에 대한 지원으로 범주화되었다. 지원 방안으로 문서적 및 실천적 수준에서의 지원, 유휴 교실을 활용한 체육 공간 조성 사업 추진과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한해살이 자료’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chool fiel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P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uss ways to support for settling the curriculum. We addressed the main characteristics, change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on-site in 2015 revised PE curriculum, and related support plan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features and changes of the 2015 revised PE curriculum include the presentation of four curriculum competencies related to the nature of PE, the optimization of learning volume,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the creation of "safety" areas, classification of content elements into meaning, basic functions, methods, and defining element, and change of definition elements. The content element is presented in code in combination with the function.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precautionary statement and evaluation methods & precautionary statement were presented for each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tion status of school sites, teachers generally recognized the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PE curriculum positively. They judged that the curriculum competency, learning content level and amount of learning were appropriate. However, the difficulties of application wer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asses in safety areas, and the lack of PE space and facilities. The improvement direction is as follows. ① New curriculum revision, ②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③ Support for improvement of actual PE classes, ④ Support for the environment of PE classes, ⑤ Support for teachers to promote professionalism in PE classes. Finally, it was discussed at the document level and practical level, and proposed a project to create a movement space using empty classrooms and the development of a ‘one-year life data for the curriculum’.

      • KCI등재

        대학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조기희(Kihee J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실천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연구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사례 연구로 2013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총 1년 10개월 동안 수행되었다. 연구 사례로서 TLC(Teacher-Learn-Community) 교사학습공동체는 체육수업을 잘하고 싶은 교사들의 모임이다. 연구 참여자는 주요 제보 교사 6명, 부 제보 교사 19명, 주요 제보 학생 24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문헌 수집, 사전 및 사후 심층면담, 관찰, 현지문서수집, 현장일지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술, 분석, 해석의 순환 과정 속에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LC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 목적은 수업의 질 향상을 통한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이었고, 목표는 교사들의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에 있었다. 2) 구성 원리는 ① 관계, ② 통합, ③ 실천, ④ 협력, ⑤ 참여로 도출되었다. 3) 내용은 ① 지식 전문성, ② 수행 전문성, ③심성 전문성, ④ 성찰 전문성으로 선정되었다. 4) 방법은 ① 워크숍, ② 모바일 메신저, ③ 온라인 카페, ④ 협력적 수업 멘토링, ⑤ 독서 모임의 방식 속에서, ① 경험의 공유, ② 토의 및 토론, ③ 집단 성찰, ④ 공동의 체육수업 실천, ⑤ 정체성 형성, ⑥ 지속적 배움을 지향하였다. 둘째, 이러한 TLC 교사학습공동체는 1) ‘태동기: 주변적 참여’, 2) ‘형성기: 수동적 참여’, 3) ‘발전기: 주도적 참여’, 4) ‘확산기: 생산적 참여’의 네 단계를 거치며 학습조직으로 거듭났다. 이러한 대학 기반 교사학습공동체는 이론과 실제가 어우러지는 장을 마련할 수 있어 향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현직교사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niversity-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through developing so-called a ‘Teacher-Learn-Community (TLC)’.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a constructivist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the TLC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4. Participants were 25 teachers and 24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collection, pre & post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of workshop, local document collection, and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thematic analysis with an iterative process of work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data and the categories (Creswell, 2009).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fic programs of the TLC are as follows. 1) the aim of programs was to facilitate student’s holistic growth through achieving high quality physical education, an objective w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2) organizing principles included five key themes such as ‘good relationship’,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practice through the TLC’, ‘strong collaboration’, and ‘continuing participation’. 3) contents of programs centered on four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knowledge, performance, disposition, and introspection professionalism. 4) diverse sessions were executed including workshop, mobile messenger, on-line cafe, collaborative mentoring, and reading meeting. Teacher learning was focused on sharing, discussing & debating, group introspection, practice-oriented PE, formating identific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Second, the TLC is practiced throughout four stages; 1) the beginning period: peripheral participation, 2) the formating period: passive participation, 3) the growing period: leading participation, 4) the expending period: productive participation. These university-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will blend theory and practice is expected to be a new alternative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분석

        조기희(Jo, Kihee),이미숙(Lee, Misook),조보경(Cho, Bok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절벽 시대의 도래에 맞춰 농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드러내고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문헌 분석, 전국 5개 권역 초등학교 방문을 통한 교사와 학생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고, 삼각 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예상되는 난점이 드러났는데, 이는 시설 및 인적자원 접근의 한계, 적은 학생 수, 나 홀로 교사로 인한 난점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실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특징이 드러났는데, 1) 교사의 교수 측면에서‘친밀하고 개인적인 소통’,‘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체육수업’,‘개별적인 체육 돌봄’, 2) 학생의 학습 측면에서‘소인수 학급으로 인한 제약’,‘경쟁 및 협력 기회의 부족’,‘학교 밖 체육수업 활성화’가 주요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개선 측면에서 지역 환경, 학생, 교사 요인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 측면에서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년군별 유의점으로 구분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physical education (PE) curriculum of sm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nalyze them,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2015 revised PE curriculum document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visits to elementary schools in five regions nationwid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were conducted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difficultie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document level were revealed, which were categorized as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the difficulty caused by teachers alone. Second, the characteristic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practical level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1)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intimate and personal communication’, ‘customized PE clas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individual PE care’ were found. 2)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restrictions caused by small-scale classes’, ‘lack of opportunities fo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out-of-school PE classes’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discussion was divided into local environment, students, and teacher facto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grade group we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 KCI등재

        학교 교육 주체들의 내재적 관점으로 평가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성과와 과제

        오승현 ( Oh Seung-hyeon ),조기희 ( Jo Ki-hee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 현장 교육 주체들의 내재적 관점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교 현장의 교육 주체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학교 현장 주체들의 내재적 관점에 의해 분석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은 스포츠 참여에 관한 학교 현장주체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은 교육 주체들 간 활발하고 적극적인 의사소통의 매개로 작용하였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은 학교 내 체육 교과와 활동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접근이 보다 강화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한정과 지역사회의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과정 문서에서 정규 활동 규정 및 제도 수준의 정착이 요구된다. 결론: 학교 현장의 내재적 관점에 의해 파악된 학교스포츠클럽은 참여 주체, 문화, 제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음에도 보다 교육적인 방식의 운영과 실천과 함께 교육과정 문서상의 정규화로 그 토대를 굳건하게 할 필요가 있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school sport club through the intrinsic perspective of the school field.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ethod of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subjec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 club. Result: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school sport club in the school field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sport club led a positiv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in the school field. Second, school sport club acted as a medium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educational subjects. Third, the school sport club expanded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activities in the school. The educational tasks of school sport club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chool sport club with a stronger educational approach. Second, a clear limitation of the school's role and local support are required. Third,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should be specified as regular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 and settled at the system level. Conclusion: School sport club has positive potential in terms of participants, culture, and institutions. However, educationalization of school sport club, clarification of school roles, regulariz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port club policies are needed.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체육 교수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이승배(Lee, Seungbae),조기희(Jo, Ki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This study focused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we propose a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analyzed the application effect and mediating factor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such as knowledge, performance, disposition, and reflection. Second, mediating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professionalism development include teaching factors and learning factors. Teaching factors were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cooperative micro teaching, practical story abou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eacher educator’s modelling. On the other hand, learning factors are identity writing and curriculum analysis. And Learner factors acting i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re important mediating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to knowledge, performance, disposition, and reflection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eacher education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help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is required.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체육 교수전문성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대학교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체육 교수전문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적용효과와 매개요인을 분석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질적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초등예비교사의 지적 전문성, 수행적 전문성, 심성적 전문성, 반성적 전문성이 개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체육 교수전문성 개발의 매개요인에는 교수(teaching)와 관련하여 이론과 실기의 접목, 협력적 마이크로 티칭과 같은 ‘수업방식 요인’과 초등체육 수업에 관한 실천적 이야기 및 롤모델로서의 ‘교사교 육자 요인’이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learning)과 관련된 매개요인에는 정체성 글쓰기, 교육과정 분석과 같은 ‘학습과제 요인’과 개인 및 공동체 속에서 활동하는 ‘학습자 요인’이 중요한 매개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 교수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지적, 수행적, 심성적, 반성적인 측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수 및 학습 관련 매개요인이 체육 교수전문성개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도록 돕는 교사교육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 활용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양성평등 관점에서

        윤기준(Keejoon Yoon),조기희(Kihee Jo),김기철(Kichul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양성평등 관점에서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의 이용 실태 및 개선 요구 사항을 양성평등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 있다. 307명의 교사와 718명의 학생이 온라인 기반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 구비 상태 및 만족도’와 ‘양성평등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의 두 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 모두 여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활성화를 위해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가 크기, 무게, 재질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탈의실 설치를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후속 과제로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 도출과 국가 수준 교육과정 내 양성평등 체육수업 실천 관련 가이드라인 제시 방안 도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spects of us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A total of 307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718 pupils completed an online-based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Both the teachers and pupils recognised that size, weight and material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for female students to engage actively in physical education lessons. Installing and improving changing rooms was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 requirement by the pupils. Exploring plans for improv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ways in which guidelines related to gender equality are included in the next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as follow-up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