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기남(Lee, Kinam),조규판(Cho, Gyup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재학 중인 남·여 중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자아탄력성, 진로정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자아탄력성, 진로정체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부분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ego-resili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453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the Ego-Resilience Scale (ERS),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Scale, Career Identity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ERS operated as a factor to mediate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career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ego-resilience, and career identity. In addition career identity, a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career identity.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that affect students’ future career identities.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정명선(MyungSun Jeong),조규판(GyuPan C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소재 A고등학교 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애착, 내현적 자기애, 스마트폰 과의존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애착, 내현적 자기애, 스마트폰 과의존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다. 셋째, 고등학생의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의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청소년의 주요 환경요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또래애착 뿐 아니라 건강한 자기애 발달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peer attachment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39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tested for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attachment, covert narcissism, and smartphone addic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peer attachment, covert narcissism,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covert narcissism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er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covert narcissism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healty management of covert narcissism as well a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attachment, which ar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for teenagers, to prevent high school students from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

        이봉원(Lee, Bong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서 조절능력,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인 중학교 1~3학년 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척도, 자아 존중감 척도, 친사회적 행동 척도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1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자아존중 감 전체 및 하위변인인 사회, 가정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변인인 나눠주기, 협력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정서조절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 의 양육환경으로서의 언어통제유형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중학생의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을 향상시키지 위해 부모의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parents’ language control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355 students in the first - to third-grade middle schools studied were examined with final data on the type of language control,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measures of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self-esteem and its sub-variables social and family self-esteem according to the parents’ language control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parents’ language control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prosocial behavior and its sub-variables sharing and cooperating according to the parents’ language control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 of language control typ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ype of language control as a parent s parenting environment is related to the self - 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us suggests the need for a type of human language control for parents to improve the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김유진 ( Youjin Kim ),조규판 ( Gyupan Ch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또래관계를 부분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관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176 high-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with PACA(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RS(Peer Relation Scale) and Teenagers Self-Diagnosis Smart-phone Addiction Scal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was undertaken.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In the resul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were negative correlation. Peer relationship operated as a factor to mediate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This mean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mpact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on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at affect smart-phone overindulgence.

      • KCI등재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창의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숙영(Lee, Sookyoung),조규판(Cho, Gyup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를 활용한 창의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 22명을 선정하여 12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창의증진 프로그램은 주 1회 3시간씩 총 13회기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일상적 창의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곱 개의 하위요인 중 독창적 유연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융통성 있는 사고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참신하 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인 독창적 유연성은 매주의 영화 활용이 큰 촉매역할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모든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은 아니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이 가능한 교육적 매체인 영화를 통해 일상적 창의성이 향상되는 것은 현재와 미래 대학생들에게 교육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movies on the everyday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22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12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students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13 sessions) was oper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of everyday creativit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even sub-factors, creative flexi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reative flexibility, the ability to create novel and unique ideas needed to perform daily life based on flexible thinking, seems to have served as the catalyst for weekly film sessions. In this study, all sub-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mproving everyday creativity by utilizing movies — an educational medium that is easily accessible for students in everyday life — may suggest educational effects for current and futur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손미영(Miyoung Son),조규판(Gyupan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그릿,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부적상관, 스마트폰 과의존과 그릿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 대학생활적응과 그릿은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그릿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04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gri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In addi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grit, and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grit,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grit. Second, gr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Conclusions These results mean that various methods should be explor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grit of col-lege students who are overly dependent on smartphones to adapt to colleg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