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 시의 언어의식 전개과정 연구

        조강석(Cho Kang-sok) 한국시학회 2011 한국시학연구 Vol.- No.31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im, Choon-soo’s poetic language. Also, this study examines how his attitude toward poetic language had developed.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showing how Kim, Choon-soo’s language consciousness had changed and come to an exclusive vision. In the earlier poems, Kim, Choon-soo had expected that his poetic language could reflect the universal. He wanted to express the aspects of ‘Sein’(Heidegger). However, he could only face the gap between ‘Sein’ and ‘Seiendem’. After that period, Kim, Choon-soo turned back to the universal, ‘Sein’, and he tried to focus on the appearances of the things. If we explain this turning point by the terms of Hans Georg Gafamer, we could say that Kim, Choon-soo took the way down(‘Weg hinab’) to ‘Seiendem’ instead of the way up(‘Weg hinauf’) to ’Sein’. However, that was not the eventual answer. Finally, Kim, Choon-soo tried to synthesize those two ways. He realized that the important mission bestowed on the poetic language is to mediate both ends. In later poems Kim, Choon-soo showed that the poetic language could aim at the universal, and simultaneously explore all the details of the individual things.

      • KCI등재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

        조강석(Cho, Kang-Sok)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해방기의 많은 문학론들은 좌우를 막론하고 공히 보편론의 입장을 띠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 시기 문학론의 특징은, 실제로 당대의 구체적 정황 속에서 배태된 논의라 할지라도 문학을 보편적 맥락에서 규정하려는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방기 문학론들은 많은 경우 구체적 역사 현실에 대한 실제적 개입과 실천을 목표로 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이론적으로도 중요한 논의들을 생산해내었다. 또한 이 시기의 시론들 역시 특수한 상황에서 당대의 구체적 요청에 응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세계사적 요청에도 동시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언명되었다. ‘계급의 이익’ ‘당파성’, ‘민족의 당면과제’, ‘민족성’ 등과 같은 어휘들이 이 시기 시론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지만 그와 동시에, ‘세계사적 요청’, ‘문학의 본질적 가치’와 같은 수사들 역시 좌우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등장한 것도 사실이다. 바로 그런 맥락에서 이 글은 각별히 당시의 중요한 시론들을 ‘복수의 보편주의’라는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이들 각각의 면모와 그 의의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 시기에 단편적 구호에 그치거나 공소한 고담준론에 머물지 않고 체계적인 논리를 통해 시론을 전개한 대표적 논자들인 김기림, 조지훈, 김동석의 시론을 보편과 특수의 관계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통해 관계적으로 살펴 보았다. 그 과정에서 본문에서는 이들 각각이 ‘실재에의 열망’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는가에 따라 정화와 공제의 보편주의, 심미적 보편주의, 감산적 보편주의로 규정되었다. 이는 구체적 논의들의 우열을 가리려는 것이 아니라 해방기의 시론들이 상관적으로 전개됨으로써 펼쳐내는 생산적 논의의 장을 보다 실감 있게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oetic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f Korea(1945~1949).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ism suggested or alluded in the major poetics of this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many poets submitted their own poetics to satisfy both social and aesthetic requires. Universalism was the possible logical solution to those requires. In that sense, this paper covers three major poets’ poetics by the terms of universalism. Kim, Ki-Rim’s poetics can be redefined as poetics of the universalism of purify and subtraction. Cho, Ji-Hun’s one can be understood as poetics of aesthetic universalism. And Kim, Dong-Suk’s one, as that of subtractive universalism. The end of this paper is not to decide which one of those three kinds of poetics is superior to others.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suggest a correlative view of the poetics in the liberation period. Universalism might be a good guide to lead us to that way of understanding of the poetic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특집논문 : 1960년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교환

        조강석 ( Cho Kang Sok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1960년대 사회 구성원들은 시민적 권리와 의무라는 가치를 당위로서 받아들이는 한편 본격적 산업화 국면에 따른 새로운 사회 환경 속에서 대중 매체와 상품을 매개로 생겨나는 새로운 욕망을 지니게 된다. 4·19를 통해 환기된 시민적 윤리의식과, 박정희 정권의 경제발전 구호에 대한 대중의 암묵적 동의 속에 잠재된 일상의 욕망 사이에서 발원하고 부유하는 ``정서적 변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해서 당대에는 어떤 해법들이 모색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1960년대의 문학 작품들이 주목한 중요한 의제이다. 본고는 4·19와 5·16 그리고 임시 군정과 ``민정이양`` 등 급변하는 현실적 조건을 외적인 감각자료로 삼고 이에 대한 주관적 대응으로서 형성되는 정서들과 그것들의 이행의 문제를 당위와 현실 그리고 현실 수리와 간극의 이행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승옥과 이청준은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간극이라는 현상이 낳은 사태들에 대해 관계적 맥락에서 함께 검토될 수 있는 감성적(asthetisch)대응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김승옥의 세계와 이청준의 세계는 게오로그 짐멜이 규정한 ``질적 개인``과 ``양적 개인``의 관점에서 다시 살펴볼 여지를 남긴다. 그러나 이는 김승옥의 부끄러움의 세계와 ``질적 개인``에 대한 추구가 우선적으로 있고 그 뒤를 이청준의 우희와 지연의 전략, ``양적 개인``이 불가능한 세계로부터 비롯된 두려움의 정동이 잇는다거나 다른 작가들에 의해 이 문제들에 대한 해법들이 계기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것이 공간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은 시민적 윤리와 대중의 욕망 사이의 간극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벌어질 수 있는 정동의 사태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또한 이런 외적인 감각 재료들에 의해 특정 작가는 이를 어떤 지점에서 가장 예민하게 수용하는가 또 그 결과 그에게 고유한 정동은 어떤 지점에서 형성되는 가를 통해 1960년대 문학장의 양상이 새롭게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Korean people faced two opposite values in the beginning of 1960s. There was a democratic revolution in 1960 and shortly after that revolution, people had to witness a coup led by Park Chung-Hee in1961.Thoughtt Park had grasped political power by a coup, he was officially chosen as a president in 1963`s election. It was a very strange upheaval of public mind. The very people who had not been tolerant to Lee Seung-man, lately acknowledged Park`s rule in 1963`s election.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what was going on in public`s mind during that period by reading 1960`s literary texts, especially through the lends of ``the affect`` of literature. In this Paper. Kim Seung-Ok and Lee Chung-Joon`s works are analyzed by the terms of ``the affects of the general public.`` By this, we could observe a subtle change of public mind and explain the cause of that change. Eventually, this paper argues that it was the exchange of civil moral and public desire of a mass society what really mattered.

      • KCI등재

        ‘오인’의 탈 벗기와 소외/분리의 윤리 : 최인훈의 「가면고」 연구

        조강석(Cho Kang-Sok)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0

        「가면고」는 사랑을 통한 ‘자아 완성’의 길을 모색하는 작품이라기보다는 표면적으로 예술적 승화를 통해 봉합된 균열의 양상이 그 이면에 얼마나 집요하게 남는가와 그것이 주체의 숨겨진 욕망을 어떻게 드러내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민의 서사에서는 주체가 억압된 것의 회귀로 촉발된 위기 상황을 예술적 승화로 다스려 보고자 하는 ‘윤리적’ 해결책을 보여준다. 이때의 ‘윤리적’ 해결은 지젝의 논의를 빌리자면, ‘소외의 윤리’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오인’의 구조에 대한 승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의식의 차원에서 주체는 ‘자아 완성’의 길에서 ‘윤리적’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해 보고 싶은 은근한 소망을 보여준다. 발레의 각본인 변형된 신데렐라 이야기는, 민의 이와 같은 은근한 소망이 꿈 작업을 거치며 가공 처리된 것이다. 그리고 이 소망의 보다 상세한 면모는 다문고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난다. 다문고의 이야기를 통해 주체는 자신의 욕망을 끝까지 밀고감으로써 자신의 결여와 그것을 낳은 오인의 구조를 인식하고, 결여 이전, ‘호명’ 이전의 ‘얼굴’을 회복하고자 하는 무의식을 드러낸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이 소설의 외형적 서사를 이루는 민의 이야기가 현실과 의식의 차원에서 ‘소외의 윤리’를 보여준다면 신데렐라 이야기와 다문고 이야기는 ‘탈’이면으로, 혹은 ‘탈’ 이전으로의 환상 가로지르기를 통해 ‘분리의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ree different narratives presented in Choi In-hoon’s novel, Gamyeongo. Many researchers argue those three narratives converge into one theme of ‘self―completion’. However, by close reading we can tell the different themes of three narratives. In the first narrative, Min’s story, we can figure out the ‘return of the repressed’. The second narrative, the story of the ballet which is written by Min, expresses Min’s wish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dversity derived from the ‘return of the repressed’ by the way of artistic sublimation. So, superficially viewed, Min’s psychological turbulance seems to be settled. However, Damungo’ narrative unveils Min’s psychological reality. Damungo’s story is closely related to, so called, ethics of separation. Damungo’s story shows how hard it is to unveil the masks of identity. Consequently, Whereas Min’s story shows the ethics of alienation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Damungo’s story shows the ethics of separation at the level of unconsciousness.

      • KCI등재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 김기림의 경우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1930년대 중후반부터 일본에서는 ‘근대’가 더 이상 자신의 상징적 등가물을 향한 욕망을 통해 주체를 구성하게 하는 대문자 타자(Autre, the Other)로 기능하지 않게 됨에 따라 ‘근대의 초극’, ‘세계사의 철학’ 그리고 소위 ‘동양론’ 등을 비롯한 새로운 로고스(logos)가 저 결여를 메우기 위해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김기림과 최재서를 비롯한 조선의 문인들 역시 무한 삼진의 함락과 파리의 낙성과 같은 사건들을 접하면서 근대라는 큰타자가 지정하는 소문자 대상(the other)들을 탐문하던 시기를 마감하고 근대라는 상징적 베일 자체의 존립근거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김기림이 근대의 폐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근대의 초극이라는 입장에서 사태를 ‘사실 수리’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태도를 취한다는 것이다. 김기림은 근대의 초극이 아니라 결산을 요청한다. 다시 말해 그는 도착적으로 큰타자를 만들어 세우는 대신에 애도를 지연시킨다. 「조선문학에의 반성」에서 그는 근대를 이미 모든 부정적 실정성들로 채워진 대상으로 간주하는 대신 근대에 대한 조금 더 냉철한 결산을 요청한다. 당대 유행했던 ‘조선적인 것’ 혹은 동양적인 것의 재발견을 통해 이항대립상의 하위를 상위로 전복시키는 것, 그것을 통해 위계전도된 상태를 다시 보편으로 굳히는 것이 김기림의 궁극적 관심사는 아니었다는 것은 중요하다. 김기림이 주장하는 동양의 발견과 동서양 종합의 시도는 도착적 보편주의를 의도한 것이기는커녕 근대적 방법에 의해 미분되어 새롭게 발견된 동양을 가능한 양태의 하나로 상정함으로써 현실태로서의 보편을 오히려 무한히 지연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근대에 대한 애도를 지연시키는 신경증자의 탐사가 의미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식으로, 보편이라는 대문자 대상에 대해, 자족적으로 실정성을 채워가는 방식이 아니라 그것을 잠재적으로 요청되는 자리에 둠으로써 사실 수리에도 도착적 보편에도 기울지 않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Kim Gi-rim’s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In the middle of 1930s, when the western standards of ‘the modern’ seemed no longer universal, a group of historians and philosophers of Japan and Korea argued that there should be an alternative universal theory. They suggested ‘the oriental (thing)’ as an alternative and opposing thesis of ‘the western canon of modernity.’ However, this discourse resulted in another oppressive universalism, and it turned into a theory of fascism, which is defined as ‘perversive’ by Slavoi Zizek. Kim Gi-rim did not take that course of accepting the overwhelming social conditions. He did not discard all the legacies of ‘the modern.’ Rather, he tried no to end the period of mourning over the death of ‘the western modern.’ He demanded the ‘final accounts’ of ‘the western modern.’ Due to such a neurotic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he never accepted the newly coming perversive universalism.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 (1)-김수영의 경우-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8

        4ㆍ19를 통해 환기된 시민적 윤리의식과, 박정희 정권의 경제발전 구호에 대한 대중의 암묵적 동의 속에 잠재된 일상의 욕망 사이에서 발원하고 부유하는 ‘정서적 변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1960년대의 문학 작품들이 주목한 주요 의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는 1960년대 문학의 주요 의제를 당위와 욕망의 이중구속이라는 상황에 대한 사유와 해법의 모색으로 설정하고 그 상황 속에서 1960년대 문학이 보여주는 정동적 양상들을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의 일환이다. 각별히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김수영의 1960년대 시에 나타난 이미지-사유의 양상이 동시대의 소설에 나타난 인식이나 해법과 어떻게 그 경로를 달리하는지를 검토한다. 1960년대 김수영 문학의 핵심적인 의제는 부정한 대상을 타기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결백한 주체가 아니라 부정에 연루되었다고 스스로 간주하는 주체로서 당위와 욕망의 간극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이런 인식은 ‘부끄러움’을 드러내는 일련의 위악적 작품에 명료하게 제시된다. 후기시에서 김수영의 작품은 뿌리-교량 계열의 이미지와 씨앗-이미지를 통해 인식을 심화하고 확장하며 동시에 해법을 모색하는 쪽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김수영이 시에 부여한 절대적 완전이라는 명제의 진의는 후기시에 나타난 ‘이미지-사건’과 이를 통한 ‘이미지-사유’를 통해 비로소 설명될 수 있다. In Korea, there was a democratic revolution in 1960 and shortly after that revolution, people had to witness a coup led by Park Chung-hee in 1961. Later, he was officially chosen as a president in 1963’s election. It was a very strange upheaval of public mind. The very people who had not been tolerant to Syngman Rhee’s dictatorship, lately acknowledged Park’s martial rule in 1963’s election.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what was going on in public’s mind during that period by reading poetry written by Kim Soo-young, especially through the lens of ‘the affect’ of literature and politics of poetic images. In 1960s, Kim Soo-young’s main concern was ‘how to overcome the gap which took place between civil attitude and public desire.’ Moreover, he did not regard himself as an innocent subject that was little affected by a corrupt regime and society. On the contrary, he recognized he was also engaged in that kind of corruption, for he found that he was deeply absorbed in the desires of daily life. Consequently, in his poems he tried to find a new way to overcome the degenerated social morals and his petit bourgeois-like attitude at once. Finally, he could blaze a trail by his unique images represented in his poetry written in the middle of and late 1960s.

      • KCI등재

        대학 시론 교육의 현황과 과제 : 귀납적 시론의 가능성에 대해

        조강석(Cho, Kang-Sok)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구체적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변화들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여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론 수업과 교재를 표준화한다면 대체로 영미의 신비평 논자들이 표준화한 과정과 내용에 크게 힘입고 있다고 할 것이다. 신비평의 시론은 대상의 실체를 정의하고 대상의 기능과 속성, 그리고 함량을 중심으로 그 대상에 대해 설명한다는 의미에서 전형적인 실체론적 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의 장점은 교수자가 시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체계적인 교육을 진행할 수 있으며 대학 교육과 평가의 객관적 기준에 맞춰 학생들의 이해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런 방식에는 이미 설정된 설명의 준거에 어긋나거나 그것을 벗어나는 경향의 시 작품에 대해서는 항상, 예외적 상황에 대한 언급과 별도의 설명이 붙어야 한다는 단점도 있을 수 있다. 환언하자면 장점은 체계적 이해이며 단점은 지나친 연역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연역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시론이 애초 귀납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새삼 기억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재래적 관습과 범주 안에서 용이하게 접근되고 설명되며 교육될 수 있는가 여부를 의심하게 하는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는 이즈음 새로운 경향의 시가 재래의 기술과 숙련도, 구성 규칙과 미적 규범 등에 의해 용이하게 설명될 수 있는가를 묻는 일은 시론의 부록이 아니라 시론의 내부에서 다뤄져야 한다. 기존 시론의 개념과 범주를 공교화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시 한 번 성실한 귀납을 통한 문제의 재설정이 요청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새로운 시론은 당대의 연구 성과를 포괄하면서 이를 통해 시를 어떻게 보다 풍부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느냐에 대한 모색 역시 보여주어야 한다. 기존의 유기체 시론에 입각해 시 내부의 요소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텍스트를 내부로부터 개방해서 보다 풍부하게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학생들로 하여금 매력 있는 작품을 접하게 하여 그 매력에 이끌리게 하는 것이 문학 교육의 목표라면, 텍스트를 내부로부터 개방하여 보다 넓은 지평에 닿게 하는 방도를 찾아내는 것도 새로운 시론의 임무이다. 이를 위해서는 텍스트 내부의 다양한 장소가 새롭게 지목되고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시론 교육에 있어 향수를 위한 연역, 새로운 시의 문법을 설명하기 위한 귀납, 시 텍스트를 보다 넓고 깊게 이해하기 위한 개방 등을 사유해야 할 시점이다. Contemporary university education of poetry and poetic theories is mostly depending on the teaching methods designed and developed by ‘New Critics’. New Critics had made, so called, ‘standard criteria’ of reading and teaching poetry. So, teaching poetry by ready-made sets of criteria could be redefined as ‘a deductive way of educating poetry’. University education of poetry and poetic theories in Korea has long been adapting those deductive methods. Though there have been many advantages of applying those deductive methods in educating poetry, there still remain the on-going problems and issues to be solved and further studied. S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a deductive way of educating poetry and to suggest ‘inductive way of educating poetry’.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情動)의 정치학(2)-고원과 구상 시의 정동적 공간을 중심으로-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신구문화사에서 1961년에 간행한 『한국전후문제시집』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시의 면모를 살펴보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일종의 ‘앤솔로지’로서 해방 이후 분기된 한국시의 다양한 흐름이 망라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앤솔로지’의 출간 배경과 의의에 대해서 필자는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본고는 그 후속작업의 성격을 지닌다. 본고에서는『한국전후문제시집』에 실린 시와 시론에 나타난 정동적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시의 집합적 기저를 형성하는 감정의 연쇄 혹은 정서적 연속체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와 연동하여 시인들이 각기 도모한 소위 ‘서정의 혁신’ 혹은 시적 쇄신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설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전후』에 실린 시인들의 시론을 일별하면 현실 인식과 시 의식 양자의 측면에서 대체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며 동시에 당대 시인들의 문제의식의 중심에 놓여 있는 세 가지 키워드를 추려볼 수 있다. 전쟁과 문명, 탈자연(脫自然) 혹은 비자연(非自然), 그리고 시적 이미지가 그것이다. 첫 번째 것이 현실 인식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중층적 정서와 관계된 것이라면 두 번째 것은 세계관과 질서의 문제, 나아가 시 형식의 구축과 탈구축의 문제와 연관되며 마지막 키워드는 첫 번째 문제와 두 번째 문제를 아우르며 종국에는 어떻게 시 창작의 차원에서의 혁신으로 귀결될 것인가 하는 것과 관계 깊다. 본고는 고원과 구상의 시를 중심으로 첫 번째 문제와 두 번째 문제에 대해 고찰한다. 고원과 구상은 한국전쟁 직후의 물리적·심리적 폐허를 가장 ‘효과적으로’ 형상화 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텍스트에 대한 보다 세심한 독해를 통해 두 시인이 주제의 형상화보다는 정동적 공간의 창출에 있어 수일한 작품을 남기고 있음이 밝혀진다. 정동적 공간이란 시적 주체와 세계의 마주침이 중층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이고 경험의 하부-언어적 연쇄가 발생하는 공간이다. 나아가 하나의 정서나 주제에 고착되는 대신 이행의 연속체를 표상하는 바로서의 시적 이미지의 면모가 두 시인의 시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본고는 탈자연 혹은 비자연적 지향과 시적 딕션의 쇄신 문제를 후속 작업으로 남겨둔다. In the previous article I argued that Anthology of Korean Post-war Poetry(『한국전후문제시집』, 1961) is a remarkable book which includes most of the noteworthy post-war poems. This article is a following work. In this article, I make a close review on the short poetic notes written by poets and which are included in Anthology of Korean Post-war Poetry. As a result, I suggest three key words to read these poetic notes. War experiences, de-naturalization, and innovation of poetic images and dictions are those three key words. In that context, I reread Ko Won’s and Koo Sang’s poems through the lens of ‘the affect’ to understand Korean post-war poetry by focusing not only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of the society and history reflected in those poems, but also on the aesthetic projects of the poets. Consequently, I can argue that Ko Won’s and Koo Sang’s poems are worth while to be reread, because they don’t just represent the post-war situation, rather they open the affective spaces after Korean War. It means that Ko Won’s and Koo Sang’s poems vividly shows the various aspects of the ‘site’ where poetic subjects encounter with the unnamed senses and ceaseless pass from one emotion to another.

      • KCI등재

        진보의 범례적 귀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발행, 박헌호 편저 『백 년 동안의 진보』

        조강석 ( Kang Sok Ch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This paper reviews the book, Progress during the 20th Century in Korea published by Kore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This book deals with the concept of ‘progress’ and the way how the representations of ‘progress’ have been changed during the 20th Century in Korea.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the concept and practices of ‘progress’ in the 20th century in Korea. First, ‘progress’ can be regarded as ‘a floating signifier.’ Second, however, it has exerted actual and great influences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during the 20th century. Third, in order to explain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progress’ in Korea, we need to closely look at the exact contexts and the usages of the ‘progress.’ Fourth, therefore, the concept and the actual representations of ‘progress’ during the 20th century in Korea can be understood by inductive case studies, not by deductive way.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exemplifying understanding of ‘progress.’

      • KCI등재

        문학의 고고학과 귀납적 보편 : 김현 초기 시 비평 연구

        조강석 ( Cho¸ Kang-s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aspects of Kim Hyun’s early criticisms on poems and to reflect on the present by pondering what the meaning would be. The important agenda of early Kim Hyun’s criticism was derived from the question, “How can we accept the universality of Korean literature without accepting empirical things as a priori?” In “On Poetry and Allusion-Poetics of the Poets Who Put Special Emphasis on the Usage of Language in Poetry” published in 1967, Kim Hyun suggested the archeology of literature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for inductive universality triggered by thoughts of a priori and empirical things. This article looks at the Korean poems in 1960s through Stephane Mallarme’s poetics of allusion, but explores the reason why poetics of allusion is difficult to establish under Korean conditions. In Kim Hyun’s view, the advent of the ‘linguistic group’ has already occurred in Korea as of 1967. Their poetic characteristics are best explained by the poetics of allusion. However, in a Korean situation, vertical dualism, which is a constitutive condition of the poetics of allusion, was missing until the mid 1960s. Kim Hyun argued the vertical dualism would inevitably arise in the Korean context, not in the same way as in the West from Plato to Christian tradition. Kim Hyun defines this as “the matter of indigenization of vertical dualism”. Eventually, the poetry of ‘linguistic group’ that had already arrived would gain the most persuasive and desperate appeal if the cultural foundation of Korea was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vertical dualism, and it would reach an ideological form of Korean poetry. If not, it is read as Kim Hyun’s sincerity in this passage, it would be nothing more than borrowing only the form ‘a priori’. From the 1960s to the beginning of the 1970s, Korean literary world not only grew rapidly in terms of quantity, but was also searching for new ways by repeating new experiments. At this point, Kim Hyun looked for a way to avoid deductive explanation of Korean poetry. In that sense, Kim Hyun’s early criticisms on poems can be seen as a part of an attempt to inductively focus on concrete practices and to explain a universality of Korean poetry abstracted from them. And this was to explain the achievements and possibilities of Korean poetry, which began to unfol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at time. Eventually, Kim Hyun’s early endeavor reflects the meaning that a work based on archaeological attitudes and inductive methods must be premised to abstract the ideological pattern of Korean poetry. Even for today in the 2020s, the post-reconstruction work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based on such an inductive sense seems to be most dem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