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경진대회 참가 학생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Jung, Hyung-soo),양정호(Yang,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자녀가 과학경진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 4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대회 참가 과정에서 학부모로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질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학부모들에게 자녀의 과학경진대회 참가는 부모로서는 만들어주기가 어려운 다양한 교육 경험을 자녀들이 할 수 있는 만족스러운 시간이었고, 이러한 만족감은 자녀의 모든 일상이 대회 준비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을 참고 지켜보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대회 참가 경험으로 인해 다른 대회 출전 기회를 얻거나 지도교사와의 멘토 관계 형성,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는 등 대회가 끝난 후에도 대회의 여운이 지속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과학경진대회 참가가 연구 참여자들에게 주는 의미를 고찰하였고, 학교교육 전반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와 협조 증진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Using in-depth interviews for four elementary school or middle school parents, this study explored parents’ experiences during their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scientific contest.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children had an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was difficult for them to acquire during the national scientific contest preparation period, which led them to take a wait-and-see approach as their entire daily lives revolve around competition preparation. After the contest, there was a chance to participate in other contests or to form a mentor relationship with a instructor and form a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paths because of the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scientific contest. Parents emphasized that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national scientific contest was the time as enlightenment including their children’s growth, the value of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school education. Suggestions and implication of promotion parents’ trust and cooperation in school education are also discussed.

      •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통이상발생 시 BESS를 이용한 부하전압보상 대책 마련

        정형수(HYUNG SU JUNG),안효진(HYO JIN AN),김진효(JIN HYO KIM),심준보(JUN BO SIM),손광명(KWANG MYOUNG SON) 전력전자학회 2009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

        본 논문에서는 전력품질 개선기능을 갖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과 BESS를 혼용하는 시스템을 제안 한다. 전력계통의 고장발생 시에 부하로 공급되는 전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확실하고 신속한 전력의 보상공급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PSCAD/EMTDC를 이용하여 실제 주상 복합단지에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하고 계통정전 시에 BESS를 혼용하여 전력 품질을 개선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한다. 계통의 정전시 태양광 발전기의 전압변동을 관찰하고 시스템의 현실적 요소를 분석하여 시뮬레이션과의 차이점을 해석한다.

      • 탈북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Jung, Hyung-soo),양정호(Yang, Jung-h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2

        본 연구는 학업 및 대학 생활 전반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 가운데서도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전 사회경험과 자발적 선행학습을 통해 대학 수학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하였고, 북한에서는 꿈꿀 수 없었던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그 자체, 그리고 과제 발표와 동아리 활동 등 입학 초기의 성공적 적응 경험과 지도교수의 배려와 동기의 따뜻한 시선이 큰 힘이 되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탈북 시기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인 북한이탈 주민 대학 입학 특별전형의 적용과 탈북대학생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 발생, 사적 인간관계에 의존한 탈북민 지원 정보의 취득 및 탈북민이라는 특수한 배경으로 인한 취업 걱정은 원활한 대학 생활 적응의 장애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대학생들이 대학 입학 전 충분한 대학 수학 준비를 하도록 제도적 정비와 대학에 입학한 후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탈북대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원, 탈북민 지원 관련 정보 제공 체계의 보완 및 홍보 강화, 그리고 공적 차원에서 탈북대학생이 민간 탈북민 조력자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형성의 창구를 마련 할 것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e thought were having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including academic studies, to see why they could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and what was difficult about their successful university life.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they prepared enough for university study through social experience and voluntary prior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they could live in a university that they could not dream of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ir early success experiences, such as presenting assignments and club activities, and the warm eyes of their guidance professo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of defection made them difficult. In addition, the lack of detailed university scholarship support system, lack of an official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worries about employment due to the special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ame obstacles to university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ed that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should prepare sufficient university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customized support was needed based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continued interest after entering univers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on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t also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o form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receive help from private organizations.

      • KCI등재

        탈북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Jung, Hyung-soo),양정호(Yang,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업 및 대학 생활 전반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탈북대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 가운데서도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학업 성적, 대학에 대한 애착, 교우관계 등 대학 생활 전반에서 본인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심층면담의 유형 중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전 사회 경험과 자발적 선행학습을 통해 대학 수학에 대한 사전 준비를 하였고, 북한에서는 꿈꿀 수 없었던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그 자체, 그리고 과제 발표와 동아리 활동 등 입학 초기의 성공적 적응 경험과 지도교수와 동기의 따뜻한 배려가 큰 힘이 되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탈북 시기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인 북한이탈주민 대학 입학 특별전형의 적용과 탈북대학생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 발생, 사적 인간관계에 의존한 탈북민 지원 정보의 취득 및 탈북민이라는 특수한 배경으로 인한 취업 걱정은 원활한 대학 생활 적응의 장애 요인이 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대학생들이 대학 입학 전 충분한 대학 수학 준비를 하도록 제도적 정비와 대학에 입학한 후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탈북대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원, 탈북민 지원 관련 정보 제공 체계의 보완 및 홍보 강화, 그리고 공적 차원에서 탈북대학생이 민간 탈북민 조력자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형성의 창구를 마련할 것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e thought were having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including academic studies, to see why they could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and what was difficult about their successful university life.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thought they were having a successful college life and whose average graduation percent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they prepared enough for university study through social experience and voluntary prior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they could live in a university that they could not dream of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ir early success experiences, such as presenting assignments and club activities, and the warm eyes of their guidance professo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of defection made them difficult. In addition, the lack of detailed university scholarship support system, lack of an official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worries about employment due to the special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ame obstacles to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ed that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should prepare sufficient university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customized support was needed based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continued interest after entering univers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on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t also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o form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receive help from private organiz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초등학생 자녀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따른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Hyung-Soo Jung),양정호(JUNG HO YA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자녀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지켜본 학부모의 경험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로 접근하였고, 초등학생 학부모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해 학습 측면에서는 교사의 자녀 학습 관리 부재와 친구 없이 자녀 혼자 학습 하는 모습, 그리고 가시적인 학습 결과물이 산출되지 않는 점을, 생활지도 측면에서는 교사와 자녀 사이의 거리감과 현실 문제에 기반한 생생한 생활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아쉬워했다. 이러한 아쉬움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도 교사와 친구들의 존재가 드러나서 자녀가 교사와 친구들을 대면하지는 못하더라도 그들과 함께하고 있음을 느끼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학부모의 경험은 인성 및 사회성 함양의 장으로서 학교의 역할과 교육적 조연(supporting role)을 추구하는 학부모의 역할 인식을 드러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parents who observed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articipating parents expressed regret over the absence of close guidance from teachers, opportunities for cooperative learning with peers, and tangible learning outcomes in online classes. Reflecting on this regret, the parents expressed a desire for teachers and friends to be more present and visible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reby allowing their children to feel a sense of connection even in the absence of physical proximity. These parental experiences shed light on their perception of the school's role and the parental pursuit of educational support as a platform for fostering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puts forth implications for enhancing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with a focus on improving the sense of conne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friends, and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원 성과상여금 시행 과정에서의 갈등 사례 연구

        정형수 ( Jung Hyung-soo ),양정호 ( Yang Jung-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성과상여금 세부 시행의 상황적 맥락 속에서 경험한 다양한 갈등 사례를 분석하여 성과상여금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원 성과상여금 시행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한 현직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3개월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초등교사들이 성과상여금 세부 시행과정의 상황적 맥락 속에서 경험한 다양한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연구 참여자들은 성과상여금 등급 산정을 위한 평가지표 작성 과정에서 각 교사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제도의 특성과 ‘성과’에 대한 합의의 부재로 인해 갈등을 겪었고, 이러한 갈등은 성과상여금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교사들에게 낙인감을 주거나 교육 활동의 결과로 성과상여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성과상여금을 잘 받기 위해 교육 활동을 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에 대한 명확한 정의 수립, 평가지표 마련 과정의 재검토, 교사들 간 등급 경쟁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교사들 간에 자신과 타인의 등급에 대해 ‘받을 만한 사람이 받았다.’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conflic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erformance-related pa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ree months from November 2019 to January 2020 to explore the conflicting views they experienced in teacher performance payment decis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t odds due to the nature of the system in which all teach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submit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grading of performance-related pay and the lack of consensus among teachers on 'performance,' which resulted in the failure to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of fostering teacher’s mora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key point of the performance-related pay system is to match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oneself and others, namely, the formation of a consensus that "The pay shall go to someone who deserves it most." regardless of the grade. And it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 KCI등재

        Large-Memory Data Processing on a Remote Memory System using Commodity Hardware

        정형수(Hyungsoo Jung),한혁(Hyuck Han),염헌영(Heon Y.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9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메모리 데이타 처리를 위한 범용 하드웨어 기반의 원격 메모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느린 디스크와 상대적으로 대단히 빠른 접근 속도를 보장하는 메모리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새로운 메모리 계층을 구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일반적인 범용 데스크탑 PC들과 원격 직접 메모리 접근 (이하 RDMA) 기능이 가능한 고속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계층의 메모리는 합리적인 응답시간과 용량을 제공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양의 성능 부담으로서 대용량의 메모리 상주 데이타베이스를 구동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원격 메모리 시스템은 원격 메모리 페이지들을 관리하게 되는 원격 메모리 시스템과, 원격 메모리 페이지의 교체를 관리하게 되는 원격 메모리 페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범용으로 쓰이는 MySQL과 같은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TPC-C 실험 결과로 볼 때 제안된 원격 메모리 시스템은 일반적인 대용량 메모리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article presents a novel infrastructure for large-memory database processing using commodity hardware with operating system support. We exploit inexpensive PCs and a high-speed network capable of Remote Direct Memory Access (RDMA) operations to build a new memory hierarchy between fast volatile memory and slow disk storage. The new memory hierarchy guarantees a reasonable response time, and its storage size enables us to run large-memory database systems with little performance degradation. The proposed architecture has two main components: (1) a remote memory system inside the Linux kernel to manage other computers' memory pages efficiently and (2) a remote memory pager responsible for manipulating remote read/write operations on remote memory pages. We insist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practical enough to support the rigorous demands of commercial in-memory database systems by demonstrating the performance of publicly available main-memory databases (e.g., MySQL) on our prototyped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very interesting results from the TPC-C benchmark.

      • 결함내성 원격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형수 ( Hyungsoo Jung ),한혁 ( Hyuck Han ),김신규 ( Shin Gyu Kim ),염헌영 ( Heon Y. Yeo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메모리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범용 하드웨어 기반의 결함내성 원격 메모리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단히 빠른 접근 속도를 보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원격 메모리 시스템의 실용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결함내성의 성질이 필수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RAID 기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함내성 메모리 시스템을 구현하고, 제안한 새로운 계층의 결함내성 메모리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범용으로 쓰이는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TPC-C 실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구현한 결함내성 원격 메모리 시스템은 일반적인 대용량 메모리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필수요건인 결함내성 성질을 성공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