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더빙 프로젝트’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 “나의 목소리를 찾아서”

        정현주(HyunJu Chung),이은주(EunJoo Lee)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1 미래사회 Vol.12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활동을 지원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식개선사업 더빙프로젝트 에서 정신장애인들이 어떤 경험과 변화를 겪고 있는지 이들의 시각과 언어를 통해 이해하고, 그 과정과 맥락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를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당사자들은 더빙 프로젝트 참여경험의 의미를 나의 꿈을 찾아가는 회복여행 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편견에 대항하여 적극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는 과정을 통해 긍정적 자아인식과 자존감의 향상, 참여자간 연대감의 증진을 이루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 인식개선 사업 참여경험이 당사자들에게 긍정적이고 가치있는 사회적 역할을 보장함으로써 이들의 삶속에서 미래를 향한 회복을 만들어 가는데 유용함을 증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change of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participating in a two and half-year improved program of mental disability awareness, ‘Dubbing Project’ through their view and language, and to explore the detailed processes and contexts of their experience. A total of 10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described the experience of the project as a main theme of ‘a recovery journey to search for my dream’ and achieved positive self-esteem, enhancement of self-respect, and increased connectedness among participants through the process of actively making their voices against social stigma.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Dubbing Project’ was the recovery process toward the future in their life, enabling them to identify positive and valuable social roles.

      • KCI등재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dults'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정현주(Hyunju Chung),Karen E. Polloc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치경접근음은 일반적으로 습득이 어려운 음성 중 하나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특히 치경접근 자음에 비해 치경접근 모음의 연구, 심지어 성인 대상의 연구 중에도 치경접근 모음에 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음성환경이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따라서 조음 습득에 더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지를 음향학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서부 캐나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10명의 여성 성인 화자로부터 폐음절 또는 개음절 내 2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과 4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을 포함한 36개의 목표단어를 채취하여, 각 모음의 F2, F3 및 모음 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중 치경접근음 앞에 전설모음이 오는 경우 지속적으로 낮은 F3-F2 패턴을 보인 반면, 후설모음이 오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사진 하향 패턴을 보였다. [ɝ] 모음이 [ɚ]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제외하면, 강세여부가 다른 두 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에서는 뚜렷한 음향학적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네 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 또한 뚜렷한 모음길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여섯 종류 치경접근모음의 음향학적 차이는 특정 음성환경이 보다 더 뚜렷한 음향적 단서를 제공함으로 음성 습득에 보다 용이한 음성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Rhotic sounds are known to be among the later developed sounds in young children, especially for those with speech sound disorders. Despite this fact,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hotic vowels. Adults' productions of rhotic vowels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in spite of a relatively large literature on rhotic conso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to see if certain phonetic contexts require less demanding articulatory movements or are different in vowel duration from other contexts, and thus work as a facilitating context for the acquisition of rhotic vowels. Methods: Ten monolingual female adult speakers of Western Canadian English produced 36 target words containing two rhotic monophthongs ([ɝ] and [ɚ]), and four rhotic diphthongs (/ɪ͡ɚ/, /ɛ͡ɚ/, /ɔ͡ɚ/, and /ɑ͡ɚ/) in both open and closed syllables. Acou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tract F2 and F3 values across the vowel duration, as well as the duration for each vowel. Results: Constantly low F3-F2 values were found for rhotic monophthongs and rhotic diphthongs with front pre-rhotic vowels, but steeper downward movement was found for rhotic diphthongs with back pre-rhotic vowels. Stressed and unstressed rhotic monophthongs showed similar acoustic patterns, except for [ɝ] which was slightly longer than [ɚ]. Across four rhotic diphthongs, no clear durational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Differences in acoustic patterns by phonetic contexts across six different rhotic vowel types suggest that certain phonetic contexts could provide more salient perceptual cues and thus facilitate relatively easier mastery of sounds over other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 인식개선사업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회복경험에 관한 연구

        이은주(Lee, Eunjoo),정현주(Chung, Hyunj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인식개선사업 ‘더빙 프로젝트’의 마지막 해인 3년 차를 맞아, 본 활동을 통해 정신장애인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의미들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일반적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한 결과, 6개의 주제와 24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117개의 의미단위가 분석되었다. 총 6개의 주제는 ‘오디션 합격 후 더빙에 참여하다’, ‘도전과 거듭남’, ‘생각과 감정을 나누고 공감하다’, ‘나를 찾아가다’, ‘나의 성장과 같이 하는 사람들’, ‘내 삶을 채색화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도전’이다. 더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전문 강사 등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본 연구결과의 해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지역사회통합 프로그램으로써 ‘더빙 프로젝트’가 가지는 의미와 향후 정신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xperiences and changes of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who participated in the ‘dubbing project’ for improving awareness of mental disorders conducted for 3 years. Using a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6 themes, 24 sub-themes, and 117 semantic units were drawn. A total of six themes are ‘participate in the dubbing project after passing the audition’, ‘challenge and rebirth’, ‘share thoughts and feelings and sympathize’, ‘find me’, ‘People who are with me growing up’, and ‘a new challenge to make life into color paintings’. On the other h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eople, including two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one professional instructor, and were used as data fo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meaning of the ‘dubbing project’ as a community integration program for the mentally disabled based on the recovery model and the direction of the future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of mental disorders.

      • KCI등재

        정신장애인들의 문화예술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 활동 참여와 회복 경험

        이은주(Eunjoo Lee),정현주(Hyunju Ch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경험을 그들의 시각과 관점에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로 집안에 갇힘', '비대면과 대면: 갇힘과 나옴', '기관: 보호와 인정의 안전지대', '타인과 연결되어 성장함', '일상을 관리하고 일을 통해 세상에 나가기를 희망함'이라는 5개의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 8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팬데믹에서 앤데믹으로 나아가는 기간에 문화예술 활동과 사회적 지지를 부여하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재결합과 회복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경험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유튜브, 화상회의, SNS 소통에 기초한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공간을 열었고, 그들이 그 공간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로서 자신감 있게 활동하는 기술과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임파워먼트의 향상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u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mental health servic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tact Together Project’ based on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nd YouTube creator courses. Using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5 themes, 23 sub-themes, and 82 semantic units were drawn. A total of five themes are 'Stuck at home due to Covid 19', 'Non-face-to-face and face-to-face-Trapped and coming out', 'Institution-Protection and safety zone', 'Connected with others to grow and preparing for future, Managing daily life and hoping to go out into the world through work'.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rocess to recovery was prese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On-Tact Together program with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during the endemic.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On-tact Together program might open a new space of social inclusion based on YouTube, video conferencing, and SNS communication to the participants, and provide the technology and tools that enable them to act confidently as producers as well as consumers of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