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d Hoc Network에서 Qos를 향상시키기 위한 Disjoint Multipath 라우팅과 트래픽 분산 알고리즘

        정태환(Taehwan Jung),백성청(Seongchung Baek),안순신(Sunshin A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Ad hoc Network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을 위하여 AODV 라우팅 알고리즘을 보안한 DM-AODV(Disjoint Multipath AODV)와 이를 활용하여 Qos을 높인 트래픽 분산 알고리즘인 TPA(Traffic Partitioning Algorithm)을 제안한다. 첫째, dynamic한 Ad hoc network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DM-AODV을 사용하여 중복 노드가 없는 multipath들과 그 경로 각각의 최소 대역폭(bandwidth)을 구하고 둘째, 소스 노드에 들어오는 트래픽의 요구 대역폭과 TPA을 사용하여, 네트워크가 정상 일 때 전달 될 main path들과 네트워크 장애 시 할당 될 alternative path들에 들어오는 트래픽을 dynamic하게 분산 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높은 대역폭의 트래픽 수용 가능성을 높이고, 들어오는 트래픽의 안정적인 대역폭 보장과 속도의 향상, 폭주(congestion)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Main path에 장애 발생시, 미리 계산된 alternative path에 트래픽을 전송 함으로서 들어오는 패킷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Ad hoc network에서의 QoS를 높이는 두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동작 원리를 알아본다.

      • Mobile Ad Hoc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라우팅

        정태환(Taehwan Jung),안순신(Sunshin A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Mobile Ad hoc network에서 이동 노드들의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 multipath routing을 통하여 소스 목적지 노드간에 다중 경로를 구하고 기존의 라우팅 방법과 비교해 본다. 또한 다중 경로를 활용하는 방법과 경로구간의 링크 다운 시에 보다 빠른 복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바일 노드들의 이동성과 낮은 대역폭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다중경로에 분산시키는 Traffic Load Balancing 방법과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하는 링크 다운 시에 새로운 경로를 찾는 메커니즘이 아닌 중간 경로에서 기존에 유효한 경로를 이용하는 Local recovery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BIM 객체분류체계 (OBS) 개념 및 구조

        영수,김예솔,김민,태환,Jung, Youngsoo,Kim, Yesol,Kim, Min,Ju, Taehwa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3

        건설정보화의 다양한 노력 중, 최근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활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그 활용 형태 또한 점차 '고도화' 및 '효율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IM 실무활용을 위해서 요구되는 다대한 추가 업무 부담은 BIM 실무적용의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BIM 활용의 기능적인 '고도화'를 더욱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이에 요구되는 업무 부담을 최소화시키는'효율화'를 연구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핵심 요소기술로서, "BIM 객체 분류체계 (OBS)"를 정의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OBS는 BIM 도형정보의 각 객체별 식별번호를 목적에 부합한 규칙에 의해 부여함으로써, 비도형 정보(예로서 공정 및 원가)와의 연계를 용이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OBS 활용을 통하여 객체간의 물리적 위계 구성, 공정 액티비티 연계, 원가 정보 연계 등 다수 기능이 시스템화 되며, 따라서 다차원 CAD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지나치게 많은 데이터간의 연계 작업이 자동화됨으로써 BIM 실무구현의 현실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제안된 OBS의 개념은 신한옥 주택 건설 사례를 통하여 적용 및 검증하였다. Recent prolife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actively stimulated integrated utilization of geometric (graphic) and non-geometric (non-graphic) data. Nevertheless, physically and logically, linking and maintaining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data in an integrated manner requires enormous overhead effort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 that facilitates advanced BIM implementations in an automated and effective manner. Proposed OBS numbering system has secure rules for organizing graphic objects in full considerations of effectively integrating with non-geometric data (e.g. cost and schedule). It also removes repetitive linking process caused by design changes or modifications. The result of applying this concept to a housing project revealed that only 120 definitions controled over 6,000 graphic objects for full integration with cost and schedule functions.

      • KCI등재

        BIM 소프트웨어 호환성 분석 : 사용자정의 속성정보인 GBS를 중심으로

        강승희,하지원,태환,영수,Kang, Seunghee,Ha, Jiwon,Ju, Taehwan,Jung, Young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2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BIM의 실무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활용 형태 또한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건축 및 플랜트산업에서 BIM 환경구축을 위해 다양한 BIM 소프트웨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보 호환성 및 통합성 부족은 주요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정의 속성정보 (GBS)를 기반으로 한 BIM 활용의 기능적 고도화 및 업무효율화 방안을 검증하기 위해 BIM 소프트웨어간 호환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호환성 테스트 결과, 'BIM 시스템 관점'에서는 Viewer Tool과 Simulation Tool이 Authoring Tool에 비해 정보 호환성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BIM 정보 관점'에서는 사용자정의 속성정보 (GBS)의 호환성이 시스템 기본 속성정보 및 Logic 정보보다 높았다. 즉, 도형정보와 비도형정보의 연계 자동화를 가능케하는 GBS의 적용을 통해 BIM 활용의 기능적인 고도화 및 업무부담 최소화가 가능하며, 또한, 추후 사용자정의 속성정보를 활용한 도형과 다양한 비도형정보와의 정보연계에 대한 연구가 이뤄진다면, 건설 프로젝트의 통합관리에 한층 가까워질 것이라 기대된다.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increased in order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for management and resources throughout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various BIM softwares have been used under open BIM environments in the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 has obstructive factors due to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operability analysis of BIM software focused on user-defined properties for enhanced function and efficiency.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authoring tools have more interoperability problems than viewer tools and simulation tools have. In terms of interoperability, user-defined properties outperforms than those of system basic properties and logic data.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improvement and workload minimization in BIM can be attained by applying the GBS (an user-defined property for automatic manipulation of BIM proposed by Jung et al. 2013) that enables automatic link between geometric data and non-geometric data.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pplication of user-defined property (e.g. GBS)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information integration throughout construction projects.

      • MPLS 네트워크에서 QoS를 고려한 LSP 생성

        백성청(Seongchung Baek),정태환(Taehwan Jung),임경수(Kyungsoo Lim),안순신(Sunshin A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OSPF/IS-IS extension과 같은 기존 constraint-based 라우팅 알고리즘은 링크 상태(Link State) 정보에 constraints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많이 낭비하게 되고, 모든 경로 탐색 정보를 모아서 초기에 적합한 최적 경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노드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될 때 서비스별 QoS를 만족시키기 힘들어진다. 본 논문은 다양한 QoS가 요구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상황에 맞는 QoS 기반의 새로운 라우팅 알고리즘 (QRDGSPA)을 제안하여 복잡한 계산 과정없이 유용 자원을 측정하는(measured) 방식으로 QoS가 고려된 경로들 중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CR-LDP를 이용한 LSP Feedback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의 자원 상황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MPLS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 PI(Power Integrity)해석을 통한 HPCU (Hybrid Power Control Unit) 전자파 성능 향상

        김성규(Sungkyu Kim),정태환(Taehwan Chung),진환(Jinhwan Jung),이기상(Kisa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Power Integrity(PI) means a quality of the power and ground planes in an electric circuit board. This is closely bound up with the EMC performance of the circuit board. The electric potential actually fluctuates because of the influx of return-current circulating in the power and ground planes, which causes abnormal signals or EMC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 practical PI simulation method for analyzing EMC performance in design stage. With using this method, a proper countermeasure for any EMC problem can be taken before manufacturing an electric circuit board

      • 환경차 PE 부품 고장 검출 신뢰성 확보를 위한 HFM 로직개발

        이재원(Jaewon Lee),정태환(Taehwan Jung),이영국(Youngkook Lee),진환(Jinhwan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2 No.5

        Electric driven cars are composed of electric converters (inverter, DCDC convert,), which converts high voltage and current. Distinct from conventional ECU, high voltage system and low voltage system exist in the converters. High voltage and current generates high electric and magnetic noise and require shorter response time than conventional ECU’s. As failsafe requirements for vehicle is getting higher, building reliable fault detection system becomes more important. Due to these two requirements, converters need to have a protection system with high reliability and immediacy compared to conventional ECUs. This paper investigates conventional method to detect fault signal, which was used for an internal combustion vehicle and propose a new method to have a reliability and immediacy for electric driven cars. This proposed method achieves a protection system with high reliability and immediacy using CPLD device.

      • 해상풍력발전기 하부구조물의 세굴현상에 관한 파라미터 변화 연구

        박선호(Sunho Park),송성진(Seongjin Song),왕해청(Haiqing Wang),정태환(Taehwan Jung),신윤섭(Yunsup Shi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7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4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경우 조류 및 파랑으로 인해 하부구조물에서 세굴현상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키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하부구조 형상 변화에 따른 세굴현상을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은 소스코드가 공개된 라이브러리인 OpenFOAM을 사용하였다. 2차원 석션버켓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여 수치방법을 선정하였다. 석션버켓의 매설 높이와 수심의 변화에 따른 해석을 진행하여 유동장 변화 및 세굴현상을 해석하였다. In the case of fixed offshore wind turbines, scouring phenomena have been reported around sub-structures due to the currents and the waves, causing serious damage to the structural stability. In this paper, a parametric study for various sub-structures of the fixed offshore wind turbine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couring phenomena. The open source libraries, called OpenFOAM, were used. From the two-dimensional analysis for a suction bucket, the numerical methods were selected. The influence of stick-up height of the suction bucket and depths of the sea water on the scouring phenomena wa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