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 유치방안에 대한 연구

        정태원(Tae-Won Chung),최세경(Sae-Kyung Cho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본 연구는 2004년 관세청의 수출입 데이터를 활용하여 컨테이너 물동량의 기종점 분석을 통해 향후 인천항이 유치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물동량의 정도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종점 분석은 최적권역의 설정을 통해 수행되어졌다. 최적권역이란 특정 항만이 가장 저렴한 운송비와 항만하역비로 수출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군구로 정의하였는데, 인천항은 서울, 인천을 포함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의 35개 시군구가 최적권역이었으며, 발생하는 수출입 물동량 약 202만TEU/년 중 약 25.25%가 인천항을 통해 수출입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 최적권역 물동량의 처리비율은 인천항 최적권역 물동량의 처리비중이 높은 항만인 부산항(64.89%), 광양항(4.46%), 평택항(3.35%)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만들과 인천항을 비교할 때 인천항은 선사 및 화물 유치를 위한 차별화된 비용전략과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 항만하역 관련 생산성의 향상, 피더네트워크의 강화, 수도권 화주에 대한 인천항 이용시 물류비 절감 효과의 홍보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화물유치를 위한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strategies to attract container cargoes for the Incheon port by analysing O/D of the container cargoes with the year-2004 export and import data from The Korean customs service. O/D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establishing optimal zones, which are defined as City, Gun, Gu(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to which the export-import service can be provided from a certain port with minimized freight(or transport) cost and stevedoring fee, For the lncheon port, 35 administrative districts including Seoul and Incheon in Kyunggi-Do and Kangwon-Do are recognized as the optimal zones, and approximately 25.50% of around 2.02-million-TEU per year of the cargoes from the zones are exported and imported through the port. The strategies to attract container cargoes was suggested by comparing the Incheon port to supposed-competitive ports. The Busan port(64.89%), Guangyang port(4.46%) and Pyeongtaeck port(3.35%) are supposed as the competitive ports which have a large proportion of handling the cargoes from the optimal zones. When comparing the Incheon port to these ports, The Incheon port requires a distinctive cost strategy, providing incentives to attract shipping companies and cargoes, improving efficiency related to loading-unloading at the port, and reinforcing Feeder-Network and advertisements about cost-saving to the shippers(the owners of good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Consequently, the mentioned requirements are suggested as the strategies to attract cargoes for the Incheon port.

      • KCI등재

        인천지역의 복합운송체계별 발전방안 연구

        정태원(Tae-Won Ch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공항과 항만을 동시에 지닌 인천의 복합운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조사(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선점을 위한 경쟁력 요인선정,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측면에서의 경쟁력 점수를 측정하였다. 주요 도시별 경쟁력 최종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살펴보면 1위는 상해(64.8점), 2위 홍콩(64.5점), 3위 인천(62.9점), 4위 부산(60.4점) 등으로 나타나 인천이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은 어느 정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천지역이 동북아 지역의 복합운송거점으로서의 나아가야 할 발전방안에 대해서 제시하면 첫째, 인천-천진간 해공복합운송 공동물류센터 건립 및 제도 간소화 협정체결사업이 필요하며, 둘째, 인천-상해간 해륙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페리-트럭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선박에서 통관절차 수행 등의 제도개선 추진사업이 요구된다. This study shows how Incheon will advance into roadmap as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hereafter and be proposed an urgent tasks and roles to construct a multi-transportation system for Incheon, which has both an international airport and port. The multi-transportation point of view of inter-major cities competitiveness of total scores was proposed 1. Shanghai(64.8 points), 2 in Hongkong(64.5), 3 in Incheon(62.9), and 4 in Busan(60.4) and Incheon was estimated to have enough competitiveness to be the international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Sea & Air transportation revealed the most important multi-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reg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a development plan for multi-transportation in Incheon. Firstly, it proposes construction of sea & air transportation distribution center and agreement that simplifies logistic process between Incheon and Tianjin, secondly, suggests to activate projec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better sea-land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Incheon and Shanghai.

      • KCI등재

        인천항 수소에너지 인프라 시설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정태원 ( Chung Tae-won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3 해운물류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수소 수입항으로써 차별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인프라 시설 구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로테르담 항과 같이 수소저장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아울러 액화 수소 및 암모니아 터미널 구축을 위한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고베항만과 같은 관련 주체간 역할 분담을 통한 주체간 시범사업 협업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인천항 수소에너지 운송방안으로는 액화수소나 암모니아 형태로 해상운송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제시되었고 이 경우 부두시설, 파이프라인, 저장탱크 등의 다양한 인프라 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천항에 적용 가능한 수소항만의 기능 및 역할로는 수소인수기지, 벙커링, 파이프라인, 수소저장 및 비축시설등과 같은 수소수입유통저장항만이 가장 적절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 business model that can differentiate itself as a hydrogen import por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build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preparations are required to build infrastructure for hydrogen storage like the Port of Rotterdam, as well as build liquefied hydrogen and ammonia terminals. Second, a pilot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entities is needed through role sharing between related entities, such as Kobe Port.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way to transport hydrogen energy at Incheon Port would be to consider maritime transport in the form of liquefied hydrogen or ammonia, and in this cas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dock facilities, pipelines, and storage tanks. Lastly, as for the functions and roles of hydrogen ports applicable to Incheon Port, hydrogen import distribution and storage ports such as hydrogen reception base, bunkering, pipelines, hydrogen storage and stockpiling facilities, etc. were presented a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 KCI등재

        항공물류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관점에서 -

        정태원(Tae-won Chung),박영태(Young-tae Park),김근섭(Geun-sub Kim) 한국국제상학회 2005 國際商學 Vol.20 No.2

        The SCM(Supply Chain Management) of air cargo logistics is consisted of the complicated information among the related subjects. The improvements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to be achieved not independently but wholly. To construct the SCM of air cargo logistics, we need to analyze and to improve the types of SCM among the related subjects in the procedure of import and export.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types of SCM and proposes principle points to improve SCM of air cargo logistics based on customer, to be imported and exported. In addition, it analyzes the gap between performance of the presence and after being constr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to construct air cargo Data Base and then construct DD (Data Dictionary), modeling DFD (Data Flow Diagram) to realize air cargo Data Base and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among related subjects.

      • KCI등재

        인천북항 목재배후단지 부가가치물류 활성화방안

        정태원(Tae-Won Chung),한종길(Jong-Khill Ha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5 No.10

        본 연구는 수입된 목재를 가공하여 내수로 전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인천항에서의 부가가치 활동을 통해 완제품, 반제품의 형태로 타국가로의 재수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세부방안을 살펴보면 인천북항을 활용하는 수입다변화 모델, 통합가공센터 팰릿시설 조성 모델, 목재 공동물류센터 모델, 수출형 Pre-Cut 자재개발모델 그리고 수출가공형 부가가치 창출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series of business models for promotion of value added logistics activities of lumber hinterland in Incheon Northport. A set of policies to create value added developed are an import market diversification model using Incheon Northport, a model by building integration processing center by pallet facility, a model by joint logistics center, an export-oriented Pre-cut material development model and an export processing value added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