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보호 키워드 기반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정진명,박영호,Chung, JinMyeong,Park, YoungHo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5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ocial issues are communicated through digital-based platform such as SNS and form public opin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big data from Twitter, a world-renown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find out the public opinion. After collecting Twitter data based on 14 keywords for 1 year in 2021, analyzed the term-frequency and relationship among keyword documents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Data-mining Technology. Furthermore, the 6 main topics that on the center of information security field in 2021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using the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chniqu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especially finding key agenda whe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the next step related industries or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온라인 환경에서 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 연구 : 유럽연합의 eIDAS 규정과 국제연합의 신원관리규정(안)을 중심으로

        정진명(Chung, Jinmy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22 비교사법 Vol.29 No.1

        온라인 환경에서 신뢰는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디지털 경제의 기반인 전자거래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시장의 분열, 상호호환성 부족, 사이버 범죄의 증가와 같은 장애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자거래 이용자의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법체계는 특정 분야에 국한된 입법을 통하여 온라인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 왔다. 하지만 특정 분야에만 적용되고 기술적으로도 고립된 개별 법률은 온라인 환경의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는데 부적합하고 비효율적이다. 온라인 환경의 법체계는 전자거래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보장을 넘어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포괄적인 법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최근 유럽연합의 eIDAS 규정과 국제연합의 신원관리규정은 법제도 측면에서 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의 확대를 촉진하기 위한 균일한 법률 규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신원관리에 관한 국제규범은 온라인 환경의 신뢰를 확립하여 전자거래의 법적 확실성을 보장하며,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이문서 중심의 엄격한 형식주의에 터 잡아 발전된 기존의 법체계가 온라인 환경에서 직면하고 있는 법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정된 국제규범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법제 현황을 비교 검토하고, 그 정비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n the online environment, trust is a key factor in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as electronic transactions, the basis of the digital economy, become commonplace, it faces obstacles such as fragmentation of the digital market, lack of interoperability, and an increase in cybercrime. In order to overcome these obstacles, a legal basis to guarantee the trust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ers is required, but the existing legal system has responded to changes in the online environment through legislation limited to specific fields. The legal system of the online environment needs to be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legal system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users beyond guaranteeing a safe and reliable level of electronic transactions. Recently, the European Union s eIDAS Regulations and the United Nations Identity Management Regulations propose uniform legal rules to promote the expansion of identity verification and trust services in terms of legal systems. Thes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identity management ensure legal certainty of electronic transactions by establishing trust in the online environment, and can als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cohesion. In this study, the existing legal system developed from the strict formalism centered on paper documents will look at the international norms enacted to solve the legal problems faced in the online environment.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current state of Korea s related law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 KCI등재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계약의 법률문제

        정진명(Chung, Jin-My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8 비교사법 Vol.25 No.3

        인터넷은 인류에게 정보의 신속한 교환을 가능하게 했지만 정보에 대한 신뢰까지 보장해 주지는 못했다. 따라서 전자거래 당사자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에게 거래의 중개역할을 맡기거나 또는 다양한 정보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거래의 보안을 유지하고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개발된 블록체인 기술은 공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정보에 대한 신뢰 가능한 확인수단을 제공한다. 그 결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계약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을 스마트계약이라고 한다. 스마트계약은 계약의 교섭과 이행이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 그램이므로 전통적인 계약과 차이가 있다. 거래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특정 조건을 입력하면 계약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그 결과 스마트계약은 계약법뿐만 아니라 금융법, 소비자법, 전자거래법 등 다양한 법률분야에서 많은 문제를 제기 하고 있다. 특히 계약법적 측면에서는 스마트계약을 법적 의미의 계약으로 볼 수 있는지, 스마 트계약은 어떻게 성립하는지, 스마트계약은 어떤 법적 효력을 가지는지, 그리고 불이행의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되는지가 문제된다. 스마트계약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처음 활용되어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아직 일상생활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다. 다만 확실한 것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계약도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초기단계 수준이지만 그가 가진 법적 쟁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계약의 개념과 기술적 배경, 구조, 특성을 검토한 다음, 이를 토대로 스마트계약의 법적 성질, 스마트계약의 성립 및 효력 등 민사법적 법률문제를 탐구해 보았다. The Internet has enabled the rapid exchange of information to humans, but it has not been able to guarantee the trust of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trust in information, the electronic transaction party has assigned a trusted third party an intermediary role in the transaction or has maintained the security of the transaction and verified the other party s identity using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However, block chain technology recently developed provides a reliable means of verifying all transactions occurring on the block chain using public encryption techniques. As a result, a computer program that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ract based on the block chai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which is called a smart contract. Smart contracts do not have the feature of traditional contracts because their contract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is a computer protocol that is automatically executed through the program code. If anyone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transaction enters the specific condition into the computer program provided by the counter party, the contract is executed automatically. As a result, smart contracts raise many problems not only in contract law but also in various legal fields such as financial law, consumer law, electronic transaction law. Especially, from the aspect of contract law, it is a matter of whether a smart contract can be regarded as a legal contract, how a smart contract is established, what kind of legal effect the smart contract has, and how it is handled in case of default. It is true that smart contracts are being used for the first time in the etherieum block chain and are generating huge repercussions. However, smart contracts can not be precisely defined since they are not yet in full use in everyday life. Although smart contracts are at the initial stag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heir legal issues because they have an infinite development potentia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and technical background and structure of smart contracts, and then explores the legal nature of smart contracts, the establishment and effect of smart contracts, and civil legal issues.

      •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 및 분양계약이 해제된 경우 아파트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표시광고법상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5. 7. 23. 선고 2012다15336 판결 -

        정진명 ( Chung Jinmyung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2

        아파트 분양광고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광고내용이 분양계약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양자와 수분양자 사이의 권리와 의무가 달라진다. 대상판결은 아파트 분양광고가 구체적인 거래조건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분양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아파트 분양광고가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하더라도 수분양자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또는 사기나 착오를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 아파트 분양광고가 분양계약의 내용에 편입되지 않더라도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 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또는 민법상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한다. 한편 대상판결은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에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별도의 채권양도 절차 없이 수분양자 지위의 양수인에게 이전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아파트 분양계약이 해제되면 소급적으로 소멸하므로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의 논지는 계약인수 및 계약해제의 법원칙과 상충되는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sending to unspecified peopl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ontract parties can be changed, whether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can be included o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or not.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 contracts, if it is not specific about the deal. Therefore,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applicabl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e buyer can not rescind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due to the sellers` non-performance or cancel it due to fraud or error. But, in exceptional cases,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the buyer can claim damages for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or liability for tort according to the Civil Code. To the contrary of this, the Supreme Court decided: the case when the buyer transfers the ownership of a lot to a third party, the claim of damages du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can not be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without a process of the cession of an obligation. Also, whe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is cancelled, the buyer can no longer claim damages, because it becomes extinct retroactively. But this decisions of the above mentioned the Supreme Court is needed to reconsider because of the contradictory to the principles of takeover contract and rescission of contract.

      • KCI등재

        사이버소유권에 관한 연구

        정진명(Jin-Myung Ch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05 比較私法 Vol.12 No.3

        The thought regarded cyberspace as a regional place is overspread these days. According to this trend, it appears the legal system on the real space has been applied to cyberspace analogically. Trespass to chattels in America is the representative legal theory for this. This theory was a type of the law of tort which had been applied to the property of real estate. But an inviolability which had been for real estate has become to be applied to cyberspace, as the applying extension of cyberspace has been expanded, and the point on real estate itself constantly has been disappeared. This has produced the result that is regarded the website in cyberspace as the object of possession, which has been issued for giving the right of property in cyberspace. In this article, the changing process of American case and criticism on Trespass to chattels was considered. Redemption for the right of material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or the law of illegal behavior, was considered on this basis. Finally, the arrangement for the concept of property in cyberspace as an alternative right which could be applied for cyberspace was tried.

      • KCI등재

        전자문서의 서면성

        정진명(Jin-Myung Chung) 한국재산법학회 2023 재산법연구 Vol.39 No.4

        우리 사회는 종이문서 시대에서 전자문서 시대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 그리하여 전자문서법은 전자문서에 대하여 종이문서와 기능적 등가성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종이문서 대신에 전자문서로서 서면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그 이유는 전자문서법상 전자문서는 열람가능성과 재현가능성을 개념표지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전자문서의 법적 효력도 “전자문서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자적 형태로 되어 있다는 이유로 문서로서의 효력이 부인되지 않는다.”고 규정함으로써 다른 법률에서 전자문서의 효력을 부인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입법이 되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기존의 개별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서면’ 개념은 전자문서를 예상하여 제정된 것이 아니므로 명문의 규정이 없는 한 서면은 종이문서를 의미한다. 그리하여 전자문서법은 2020년 법률을 개정하여 전자문서의 서면 요건을 신설하였다. 대상결정은 조합원이 총회에서 의결권 행사를 전자적 결의방법으로 한 경우에 이를 도시정비법 및 이 사건 정관에 규정된 의결권 행사 방법인 ‘서면결의’로 볼 수 있는지가 쟁점인 사안이다. 특히 대상결정은 전자문서법이 전자문서의 서면 요건을 신설한 후 처음으로 그 요건을 다룬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문서의 서면성에 대한 종래의 판례 및 새로 신설된 전자문서법 제4조의2 해석과 관련하여 그 의미가 크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대상결정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해석론적 입장에서 그 문제점을 논증해 보았다. Our society is in a transitional stage of transition from the paper document age to the electronic document age. Therefore, the Electronic Documents Act recognizes the functional equivalence of electronic documents with paper documents.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electronic documents can satisfy the written requirements instead of paper documents. The reason is that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electronic documents under the Electronic Documents Act does not stipulate readability and reproducibility as concept marks, and the legal effect of electronic documents is also “Its validity as a document is not denied because of its form, except for special provisions in other laws.” As such, the Electronic Document Act was legislated on the premise that other laws could deny or exclude the effect of electronic documents. Furthermore, since the concept of ‘written’ prescribed in existing individual laws was not enacted in anticipation of electronic documents, written means paper documents unless explicitly stipulated. Therefore, the Electronic Documents Act established the written requirements for electronic documents through the law revision in 2020. As for the subject matter decision, the issue at issue is whether it can be regarded as a ‘written decision’, which is the method of exercising voting rights stipulated in the Urban Renewal Act and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this case, when union members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electronically. In particular, the subject matter decision is the first to deal with the written requirements for electronic documents after the Electronic Documents Act newly established them. Therefore, its meaning is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2 of the newly established Electronic Documents Act and the previous precedents on the written requirements for electronic documents.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the legal principle of object determination and demonstrate its problems.

      • KCI등재

        플랫폼을 이용한 전자거래의 법률문제 : 플랫폼사업자의 책임을 중심으로

        정진명(Chung Jin My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비교사법 Vol.24 No.4

        최근 플랫폼을 이용하여 통신판매나 전재상거 래를 중개하거나 알선하는 자의 역할과 책임이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는 플랫폼이 판매자와 구매자간에 판매장소만 제공하는 판매중개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거래 전반에 관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랫폼사업자는 플랫폼만 제공한다는 이유로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손해에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플랫폼은 거래구조상 신규 진입이 용이하므로 자본이나 신용이 약한 판매자도 거래에 참여할 수 있으며, 또한 거래의 비대면성으로 얀하여 판매자가 거래에서 요구되는 거래규범이나법률의 준수를 소홀히 하기 쉽다. 반면 구매자얀 소비자는 거래의 상대방을 특정하기 어렵고, 상대방이 특정된다고 하더라도 그 상대방에게 거래상 발생한 손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어렵다. 따라서 플랫폼사업자도 거래의 관여 정도에 따라 일정한 의무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플랫폼거래는 일반 거래와 달리 다수의 당사자가 거래에 참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들 당사자는 플랫폼거래의 직접 당사자가 아니므로 계약당사자에게 부과되는 민사책임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 ‘플랫폼’은 공유경제가 가지는 특성의 하나로서, 플랫폼사업자에대한 법적 책임은 ‘공공재의 관리자’ 엽장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플랫폼의 거래구조및 플랫폼사엽자의 법적 지위를검토한다음, 플랫폼사엽자의 민사법적 책임을 검토해 보았다. Recentl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ntermediaries or mediators in mail-order sales or e-commerce transactions have attracted attention. This is because the platform is increasingly involved in the overall transaction, rather than acting as a sales intermediary between sellers and buyers. However, the platform provider is not responsible for any damages arising out of or in connection with the transactions between the seller and the buyer because of the platform only. Because the platform is easy to enter the new structure through the transaction structure, sellers with weak capital or credit can participate in the transaction. Also, due to the non-face-to-face of the transaction, the seller is likely to neglect to comply with the transaction rules or laws required in the transaction. On the other hand, a consumer who is a purchaser is difficult to specify the other party of a transaction, and even if the other party is specified, it is difficult to ask the other part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transactional damages. Therefore, it is argued that platform provider should assume certain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transactions. Platform transactions, unlike general transac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many parties participate in transactions, and these parties are not direct parties of platform transactions, so it is not easy to apply civil liability to contract parties. Here, ‘platform’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economy, and legal liability to the platform provider needs to b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manager of public good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latform structure and the legal status of platform providers, and then examined the civil liability of platform providers.

      • KCI등재

        유엔통일매매법상 계약해제시 물품의 반환불능과 책임

        정진명 ( Jin Myung Chu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7 No.4

        Avoidance of the contract causes the legal responsibility to make restitution to the other party as legal effects for breach of contract of one or both parties. However, if the destruction or deterioration of the all goods or part of the goods that a buyer has to make restitution to a seller occurs, it causes the problem about whether the buyer loses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or has to pay only the costs not to be returned not losing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For this, clause 1 of art 82 in CISG claims that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or the right to deliver substitute goods becomes extinct in principle if it is impossible for him or her to make restitution of the goods substantially in the condition in which he received them and clause 1 of art 82 in CISG regulates that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or the right to deliver substitute goods can not be lost unless a buyer is not to make restitution substantially in the condition in which he received them only according to his guilty. However, art 82 regulates only general rules, so various interpretative problems have been raised. It decides if goods are transformed fundamentally before the buyer avoids contract, but it does not regulate liabilities about transformation. It does not have the regulation for the parties to distribute the risk for the case that the goods received are in the impossibility of restitution either. Furthermore, it concerns only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by a buyer, so it remains in problems if it applies to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by a seller, and to the case of the impossibility of restitution after the right to declare the contract avoided. CISG shows the clearer and more objective figures than our civil law because it constructs the conditions for avoidance of the contract in uniformity,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international sales. This kind of legislative method was admitted to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and the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and had an influence on German Civil Law revised in 2001. CISG has been in effect in Korea since March, 1st in 2005, and has given a lot of implication to the work of Korean Civil Code reform since 2009.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investigate risk of loss of the goods and liability of restitution in the case of avoidance of the contract which is regulated in art 82.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교육정책 키워드 기반 소셜미디어 분석

        정진명 ( Jin-myeong Chung ),박영호 ( Young-ho Park ),김우주 ( Woo-ju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4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기능이 ICT 기술의 발전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는 환경으로 급격하게 변해 왔으며, 그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즉, 일반 대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사회·경제 변화에 대한 여론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여론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선거활동과 같은 정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서 대중들의 의사를 파악하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정치 영역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분야 정책과정에서 소셜미디어 기반 여론을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정책 중 소프트웨어교육에 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서의 주요 토픽과 토픽별 출현 확률, 토픽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컴퓨터 교육 시간’토픽이 전체의 43.99%를 차지하였으며, ‘프라임 사업 선정’토픽이 36.81%, ‘인공지능 프로그램’토픽이 7.94%의 출현 확률을 나타내어, 대중의 소프트웨어교육 정책에 대한 주요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토픽 추세 및 연관성 있는 토픽간의 트렌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주제의 정책이라도 교육과정의 시기와 정책의 대상에 따라 유연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traditional mass media function of conveying information and forming public opinion has rapidly changed into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and opinions are shared through social media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nd such social media further strengthens its influence.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public opinion through the production and sharing of public opinion 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s increasing, and this change is already in use on the political campaign. In addition, efforts to grasp and reflect the opinions of the public by utilizing social media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not only in the political area but also in the public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social media based public opinion in educational policy. We collected media data, analyzed the main topic and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ach topic, and topic trend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catch the main interest of the public(the 'Domestic Computer Education Time' accounted for 43.99%, and 'Prime Project Selection' topics was 36.81%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topics was 7.94%). In addition, we could get a suggestion that flexibl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curriculum and the subject of the policy even if the category of the policy is same.

      • KCI등재

        위험부담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정진명(Chung, Jin-Myung)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8 No.4

        계약총칙상의 여러 제도는 양 당사자가 부담하는 의무가 서로 주관적 대가성을 가진다는 쌍무계약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계약당사자 사이의 권리의무관계를 급부의무와 반대급부의무라는 이원적 구조로 구분하고, 또한 이를 견련관계라는 논리로써 재결합된 한 쌍의 권리의무로 볼 것인지는 의문이다. 이 경우 위험부담을 당사자 일방의 급부청구권의 귀추가 대가적 견련관계 있는 반대급부청구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논리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위험부담에 대하여 견련관계에의한 규율을 부정하고 계약당사자가 어떤 의무를 부담하고, 또한 어떤 위험을 분담하는지를 토대로 하여 규율하고자 한다. 이 경우 반대급부청구권은 계약해제에 의해서도 소멸될 수 있으므로 위험부담과 계약해제가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일부 입법례들은 계약해제에 유책사유를 요구하지 않는 대신 위험부담제도를 폐지하고 해제제도로 일원화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2009년 민법개정시안은 2004년 개정안과 달리 계약해제의 요건으로 유책사유를 요구하지 않고, 또한 해제요건을 채무불이행의 유형별로 규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채무불이행과 해제’라는 제목하에 통일적인 조항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정시안에 따르면 현행민법에서는 그 구분이 명백하였던 위험부담과 계약해제의 기능이 중첩되는 현상이 예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험부담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위험부담제도와 관련한 입법동향 및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위험부담제도를 개정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The issue of the risk of loss in a bilateral contract focuses on which part bears the risk of benefit in return. In relation to the risk of loss, the Korean Civil Code declares the principle of a debtor rule under its §537, which makes a debtor bear the risk of loss. Besides, the §538 of the Korean Civil Code also prescribes a creditor rule in an exceptional clause. Therefore, under the Korean Civil Code, a debtor must bear the risk of loss until he fulfills his whole debt.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suggests that the non-fulfillment of debt and termination(§544-3) and the change of circumstance and rescission•termination (§544-4) that are not regulated in the current civil law. The former legalizes the generalized regulation that permits rescission and termination of contract in the inevitable case separated from rescission by non-fulfillment of debt. According to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it prescribes that two systems are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over extinction due to the impossibility of fulfillment. This paper investigates German civil law, French civil law and Japan civil law focused on current civil law and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then suggests whether the risk of loss can be approved under the bill of amendment 2009 that implies the congruity of Korean theories and cases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