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세대 케이블방송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

        정준영,김태균,배재휘,이재호,조용성,라상중,최동준,Jung, J.Y.,Kim, T.K.,Bae, J.H.,Lee, J.H.,Cho, Y.S.,La, S.J.,Choi, D.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0 No.3

        케이블방송망은 광대역을 가진 유선망이라는 매체 특성으로 동일한 망을 이용하여 방송뿐만 아니라 통신까지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최적의 망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비스 관점에서 케이블방송망은 도입초기 단순히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 수단이었으나 프로그램 공급업자와 종합 유선 방송국의 등장으로 독립적인 방송 매체로 발전하였으며, 북미 주도하에 1990년대 중반 통신법이 개정된 이후 양방향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케이블 모뎀(CM: Cable Modem)을 개발하여 방송과 통신을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망으로 발전시켜왔다. 최근 케이블방송은 전송 효율 고도화, 망 구조적 진화 및 대용량 콘텐츠 전송으로 크게 3개의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발전 방향에서 제시하는 차세대 케이블방송의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마모량 측정센서 브라켓의 다이나믹크리깅 대리모델 기반 설계최적화

        정준영,유정주,변경석,조현규,Jun-Yeong Jeong,Jung Joo Yoo,Kyung Seok Byun,Hyunkyoo Ch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7 No.2

        This paper introduces an optimized design for a sensor bracket used to measure the wear amount of an automobile brake pad, based on a dynamic kriging surrogate model. During testing, the temperature of the brake pad can increase beyond 600℃, which often causes sensor malfunc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sensor bracket to minimize heat transf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of the optimization, the heat-transfer simulation is replaced by a dynamic kriging surrogate model. Dynamic kriging utilizes the best combination of correlation and basis functions and constructs an accurate surrogate model. Following optimization,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position decreases by 7.57%. The results from the surrogate model under optimum conditions are verified by a heat-transfer simulation, and the design optimization using a surrogate model is found to be effective.

      • KCI등재

        지니 홈네트워크상의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개발

        정준영,정민수,김광수,Jung, Jun-Young,Jung, Min-Soo,Kim, Kwa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6

        지니는 자바 기줄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이다. 하지만 지니를 기반으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서, 지니 시스템은 어려운 일련의 작업과 복잡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서비스 고리 시스템은 자동화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 컴포넌트와 룩업 서비스 컴포넌트이다. 본 자동화 모듈은 지니 시스템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의 환경정보, 지니 서비스를 위한 클래스 파일 시스템 구성 정보의 탐색과 설정을 자동화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니 홈네트워크 실행환경의 자동화, 서비스 관리 구조의 단순화 및 서비스 실행의 시각화를 통해 서비스 관리자나 서비스 제공자에세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 환경을 제공한다 . Jini is a promising HomeNetworking middleware of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Java Technology. To support Homenetwork service based on Jini, Jini device requires a successive operation and complicated management. In this paper, our service management system is a service provider component and lookup service component including automation module. Our automatin module privide searching and setting function of a library, runtime environment and class file system cinfiguration information for Jini service. Our system can be accomplished by automation of runtime environment, simplification of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visualization of service execution.

      • 자바바이트코드의 네트워크 기반 프로파일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준영(Jun-Young Jung),정민수(Min-Soo Jung),이은정(Eun-Jung Lee),정연정(Yeon-Jeong Jeong),윤기송(Ki-Song Yoon)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네트워크상에 바이트 코드로 존재하고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컴퓨팅 환경 요소로 인해 수행병목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프로그램 성능 향상을 위해 바이트코드를 해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자바 바이트코드를 소스코드로 디컴파일하고, 프로그램 문맥의 기본 블록과 제어 구조를 분석하여 프로파일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나 개발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프로파일링 시스템과 프로파일 정보 시각화를 위한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을 다룬다.

      • KCI등재

        식민지 의학교육과 헤게모니 경쟁 :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과 제도적 특징을 중심으로

        정준영(JUNG Joon Young)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5

        이 글은 경성제대 의학부가 식민지의 의학교육 및 연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은 대학 설립을 둘러싸고 식민당국과 제국정부, 서양인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이 벌인 ‘헤게모니 경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세브란스의전을 중심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설립하려 했던 서양인 선교사들의 시도는 경성제대 설립의 직접적인 촉진제의 하나가 되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헤게모니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본토의 제국대학체제를 식민지에 그대로 도입했다. 당시 제국대학은 일본 내에서도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동화’ 정책에 대한 식민당국의 정치적 의지를 과시하고자 했으며, 또한 제국대학은 지식생산에 있어서도 독점적인 기관이었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과학적 권위’의 이름으로 축적하여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설립 이후, 경성제대 의학부가 한편으로는 식민지의료 및 의육체제의 연속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식민지적 이해관계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제국의 최고 대학에 걸맞은 교육 및 연구기반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권위를 확립하는데 주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성격은 의학부 교수진 구성과 강좌구성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교수진의 구성은 한편으로 ‘식민지의 경험’이 강조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본토의 제국대학에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오히려 동경제대 중심의 학벌구조를 타파하고자 하는 ‘실험적’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 강좌구성과 학문 활동에서는 실지조사를 통해 확보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실증 과학적 분석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런 방대한 실지조사 자체가 권력의 개입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적 상황의 산물이다. 결과적으로 경성제대 의학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와 교육은 거기에서 파생된 식민주의적의도 · 효과와 결코 명백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런 ‘뒤얽힘’이야말로 식민지근대성의 특징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making of KIUMS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colonial korea through analysing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As medical school, KIUMS overwhelmed other medical colleges( Senmongakko, 專門學校) in terms of periods of education, financial assistance, privileges for the graduated, and so on. What is distinct about KIMUS compared to other medical colleges was that this was established as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educational system, that is, imperial university(deikoku daigaku, 帝國大學). In Japan, the imperial universities was the privileged state apparatus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national elite' and the monopoly of 'modern' knowledge-production for national strength and wealth. As a imperial university, KIUMS was differentiated with other higher educations for the colonized which was founded by the western imperialism, in that the colonial university gained the same status with metropole's universities of the highest level. And then, why did the Japanese colonial power established KIMUS as a imperial university? I argued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in the colonial society. While Chosun Government-General(CGG) oppressed higher education for the colonized in the 1910's,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y, supported by Koreans, a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llege. The both continued competing in building schools of higher education level.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what was at issue is whether the medical school was chartered as medical college or university medical school, for the privilege of medical license has been conceded to the graduates of chartered medical schools. And therefore, Severance Union Medical School, founded by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pushed ahead with building the chartered medical college(醫學專門學校) and even a christian university. In order to seize the initiative of medical education, CGG had no choice but to build the university which overwhelmed this movement. KIMUS, established in 1926, was the outcome of this hegemonic competition. Furthermor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were reflected in the outcome of such conflicts, too. For solidification of hegemony in colony, CGG built colonial university as a imperial university, which led to the acquisition of elements of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the colonial rule did not intend. The vision of university for colonial rule and the universal vision of modern university were inherently conflicting. I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many controversial element existed together and exacerbated the disrupture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식민지관학과 ‘민족사학’의 사이 ― 중앙불교전문학교와 식민지전문학교체제

        정준영 ( Jung Joon Young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8

        이 논문은 학술생산과 고등교육의 사회적 조건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를 해명해 보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한국에 있어 근대적 학술제도의 도입과 정착은 식민지배와 탈식민화의 과정과 분리 불가능한 관계를 맺고 있다. ‘대학의 위기’ 속에서 고등교육의 역사적·제도적 성격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지만, 아직 식민지 전문학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학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식민성-근대성-토착성의 착종이라는 지점에 초점을 맞춰 아카데미즘의 특징에 주목을 해왔을 뿐, 전문학교가 갖는 제도적 특징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식민지 전문학교의 존재방식을 규명하기 위해 불교계 전문학교인 ‘중앙불전’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중앙불전은 조선인 학생들만 입학이 허용되었다는 점, 또 전문학교 수준에서 식민지조선인이 자기 언어로 자신들의 종교, 문화, 역사를 공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학교였다는 점에서 식민지 고등교육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This paper is a part of the work to explain how the social conditions of academic production and higher education have been formed. In Korea,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modern academic systems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process of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Interest in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nature of higher education is growing amid the “university crisis,” but researches on colonial college (專門學校) is still lacking. Studies of college have o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sm, focusing on the entangling relation of colonization, modernity, and indigenousity, but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i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Central Buddhist Professional School (中央佛專) as a case analysis object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colonial colleges. This college has a very unique position in colonial higher education, in that only Korean students were allowed to enter and it was almost the only school where colonial Koreans could study their religion, culture, and history in their ow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