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로 스위칭 방식을 이용한 재귀원형군에서의 순열 라우팅

        정주원(Jung Joowon),좌경룡(Chwa Kyung-Yo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회로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는 재귀원형군에서의 순열라우팅문제를 고려한다. k-cyclic shift 순열에 대해 에지 충돌이 없는 경로를 생성하는 고정 라우팅 규칙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 재귀원형군과 1대1 대응관계를 가지는 다단계 재귀원형군을 제안하고 델타 네트워크임을 증명한다. 대칭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델타 네트워크가 재배열 가능 네트워크임을 보임으로서, 중앙 집중식 라우팅 방식으로는 2번에 걸쳐 모든 순열에 대해 에지 충돌이 없는 경로를 생성함을 보인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환경보호비용지불의사의 상호작용 효과

        정주원(Joowon Jung),조소연(So Yeon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변화를 살펴보고,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의 관계에서 환경보호비용지불의사의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s)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20∼69세 이하의 성인 443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Paired t-test, K-medians 군집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단순 기울기검증(simple slope)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변화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환경보호비용지불의사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에서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변화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의식과 친환경소비행동 관계에서는 구매행동 및 처분행동에서 환경보호비용지불의사가 높은 집단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환경보호비용지불에 대한 호혜적 환경교육을 통한 친환경소비행동으로의 실천적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lie i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verifying the interaction effects that the willingness to pay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s h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which responses from 443 adults between 20∼69 years of age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es. Paired t-tests, k-medians cluster analyses, hierarchical multiple analyses, and simple slope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o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both factors after the pandemic, as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Second, the levels of change i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were larger in groups that were more willing to pay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s, compared to groups that were less willing to do so.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s in purchasing and selling behaviors were observed in groups more willing to pay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measures that increas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reciprocal education on paying the environment protection expenditures.

      • KCI등재

        중학생의 환경보존활동과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정주원(Joowon Ju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환경보존활동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력과 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6년 3차년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A Study on Korean Youth’s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III)’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도시지역 중학생 1,114명을 대상으로 Stata 1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보존활동은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보존활동과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파악되었다. 셋째, 환경보존활동과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환경보존활동은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을 통하여 리더십생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on leadership life skills. By examining variable relations, the study scopes out the mediating effectiveness of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from 1,114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tudy on Korean Youth’s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III’ in 2016.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was proven to be an essential factor on influencing middle school students’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ly, self-esteem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and leadership life skills. Thirdly, sense of community was verified to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and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의 봉사활동, 진로활동과 리더십 생활기술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정주원(Jung Joo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이 공동체의식과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봉사활동 및 진로활동과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6년 3차년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A Study on Korean Youth’s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III)’ 자료에서 대도시지역 고등학생 1,339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은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고등학생의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은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끼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봉사활동 및 진로활동과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공동체의식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concrete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where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y and career activity had the effect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39 high school students in A Study on Korean Youth’s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III in 2016. The results from the analyzed data are as follows. First, volunteer activity and career activity were proven to be ess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sense of community. Second, volunteer activity and career activity were proven to be ess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leadership life skills.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among volunteer activity, career activity and the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과 기대 혜택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주원 ( Joowon Jung ),최경숙 ( Kyoungsook Choi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4

        Collaborative consumption (CC) occurs in organized systems or networks in which participants conduct sharing activities in the form of renting, lending, trading, bartering, and swapping of goods, services, transportation solutions, space, or mone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s) that have emerged with CC. CC is expected to alleviate social problems such as hyper-consumption, pollution, and poverty by lowering the cost of economic coordin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expected benefits of CC participation (intended to using and providing CC) of Adolescent Consumer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418 high school students.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ound between CC participants (intent to use and provide CC), educational experience (home education, school education, and mass media) and expected benefits (social benefit, economic benefit, enjoyment, community effect, and reputation). Second, enjoyment, mass media, reputation, social benefit, hom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values wer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using participation intention for CC. Third,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providing participation intention CC were home education, enjoyment, gender, community effect, and mass media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PBL(문제중심학습)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하오선(Ha, Ohsun),정주원(Jung, Joo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갖춰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PBL을 적용한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교에 개설된 PBL 적용‘소비자의사결정’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PBL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작성한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경험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BL 수업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어 PBL 수업의 긍정적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성찰일지에서 학습자는 PBL 수업을 통해 실제적인 문제해결과정과 적용에 대한 성취감을 얻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방법과 효과를 직접적으로 체험하며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시대적 변화에 요구되는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해 PBL 수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개발되어 체계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emphasized as important competenc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classes apply problem-based learning (PBL),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targeted 26 students who enrolled in PBL-applied ‘Consumer Decision Making’ classes at D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BL classes, so 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BL classes. Furthermore, it analyz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students’ reflection logs. As a result, the PBL class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verifying their the positive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flection log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gaine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actual problem-solv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through the PBL classes, and acquired confidence by directly experiencing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and the resultant effects. This result shows that PBL classes need to be operated systematically after being developed and applied into various fields in order to strengthen learners’ capacity building as required in these changing times.

      • 재귀원형군에서의 순열 라우팅과 이를 이용한 임베딩

        박종대(Chong-Dae Park),정주원(Joowon Jung),좌경룡(Kyung-Yong Chwa)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A

        본 논문에서는 재귀원형군에의 순열 라우팅 문제와 일대일 임베딩 문제를 고려한다. 먼저, 재귀원형군에서 perfect shuffle with cyclic shift 순열과 bit flip with cyclic shift 순열, 그리고 p-ordering with cyclic shift순열이 통과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순열 라우팅의 결과를 이용하여 de Bruijn 그래프가 밀집을 1, 연장율 log N 으로, shuffle exchange 그래프가 밀집율 3, 연장율 log N 으로 재귀원형군에 일대일 임베딩 됨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