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권 담론으로서 송명유학의 가능성: 인권을 넘어 동물권으로

        정종모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fucianism as a discourse on animal right. We can find clues of discussion in Analects and Mencius that correspond to moral obligations to animals. In the Song Dynasty, As the metaphysics of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life developed, the ontological continuity of human beings and animals was emphasized. In particular, Cheng Mingdao(程明道) 's theories of Wanwutongti(萬物同體) and Shiren(識仁) provided theoretical explanations of moral susceptibilities and obligations to animals. As a result, Confucian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has also changed. Through this interpretation, we can extend the discussion from human rights discourse to animal rights discourse in the Confucian ethics. Finally, when we understand ‘Renxue(仁學)’ as the ‘Regulative Idea’, we can see that Confucianism's position on animal rights takes a gradual, moderate way. 본 논문의 목적은 동물권 담론으로서 유학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우리는 <논어>나 <맹자>에서 동물에 대한 도덕적 의무에 상응하는 논의의 실마리를찾을 수 있지만, 그 내용들이 이론적 체계성을 갖추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송대(宋代)에 들어 유학의 형이상학과 생명론이 한층 발전하면서 인간과 동물의 존재론적 연속성이 강조되었고, 동물의 생명에 대한논의도 증가하였다. 특히 정명도(程明道)의 만물동체(萬 物同體)나 식인(識仁) 이론은 동물에 대한 도덕적 감수성과 도덕적 의무를 환기시키는 이론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맹자가 제기한 인금지변(人禽之辨)의 논의도 단순히 인간과 동물의 차등을 전제로 인간의 도덕성을 강조하는 맥락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생명 자체에 대한 존중의 원리로 확장되어 해석되었다. 이러한해석 하에서 우리는 인권 담론을 넘어서 동물권 담론의차원에서 유학의 생명론이 지닌 함축을 긍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 칸트가 말한 ‘규제적 이념(regulative idea)’으로서 ‘인학(仁學)’의 이상이 갖는 실천적 의미를이해함으로써 동물권에 대한 유학의 입장이 중용적(中 庸的), 중도적(中道的), 점진적(漸進的) 방법을 취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담약수 심학의 연원과 특징

        정종모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4 동방학 Vol.- No.50

        This paper discusses the philosophy of Zhan Ruoshui(湛若水, 甘泉先生, 1466-1560), who divided the Ming Dynasty's Xinxue(心學) tradition with Wang Yangming(王陽明, 1472-1529). He not only inherited the philosophy of his teacher, Chen Baisha(陳白沙, 1428-1500), but also deeply studied the philosophy of Cheng Mingdao(程明道, 1032-1085), a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Song(宋) Dynasty. In this study, the philosophical continuity of the two will be discussed, especially focusing on the emphasis of Cheng and Zhan on the so-called ‘Wuwangwuzhu Gongfu(勿忘勿助工夫)’. As is well known, the word 'Wuwangwuzhu' appears in Mencius, but it is Cheng who elevated it to an important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addition, Zhan's core cultivation method of 'Suichutirentianli(隨處體認天理)' also has inner continuity with the process of 'Wuwangwuzhu Gongfu'.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we can not only prov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philosophy of Cheng and the philosophy of Zhan, but also in how Zhan's Xinxue(心學) differs from that of Wang Yangming.

      • KCI등재후보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와 정치적 자유

        정종모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논집 Vol.16 No.-

        장자(莊子)와 곽상(郭象)은 소요론을 통해서 각자의 자유론을 전개했다. 유소감 교수는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의 자유이론에 비추어 보면 이들의 자유론이 결국 근대적 자유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정신적 체험에 기초한 소극적, 도피적 자유 관에 불과하다고 평가한다. 즉 비록 양자가 갖는 차이점에도 불 구하고 근대적 관점에서 보았을 적에 양자 모두 정치적 자유와는 무관한 출세주의(出世主義)의 양식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전통과 근대라는 고정된 도식을 중국적 사유에 거 칠게 덧쒸운 것이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장자철학이 현실과의 불 화에서 탄생한 비판정신의 산물이라는 점을 간과했으며, 곽상철 학이 방외(方外)와 방내(方內)의 통일을 모색했고 독화론을 통해 주체관념을 발전시켰다는 점을 소홀히 했다. 또한 그들이 강조하 는 ‘부득이(不得已)’의 관점 역시 외적 구속에 대한 수동적 체념 이 아니라 주체의 덕성에 기초한 적극적 자기완성을 표방하는 인 생관을 담고 있다. 따라서 장자와 곽상의 소요론을 내심의 자기 만족 또는 현실과의 적당한 타협을 조장하는 전근대적이고 부정 적인 유산으로 단정할 수 없다. 비록 견강부회를 통한 옹호는 피 해야 하지만 현대적 관점에서 장자철학이 갖는 적극적 면모나 현 실적 가치를 보다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퇴계(退溪)와 감천(甘泉)의 리(理)에 대한 해석 비교 ―16세기 동아시아 심학의 지평에서

        정종모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7 No.-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Zhan Ganquan(湛甘泉) and Yi Toegye(李退溪)’s interpretation of Li(理) around the Xinxue(心學). As everyone knows,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Xinxue in China was divided into both, the school of Wang Yangming(王陽明) and Zhan Ganquan in the 16th century. In Joseon Dynasty, Yi Toegye suggested the aspect of Xinxue in Zhuzixue(朱子學). The similarity between Toegye-Xinxue and Ganquan-Xinxue has been discussed in many previous studies. Howeve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oegye-Xinxue is more comparable to Ganquan-Xinxue than Yangming-Xinxue for two main reasons. First, Yangming-Xinxue is a theory like a subjectivism and introversionism which emphasize the autonomy and subjectivity of Xin(心). On the other hand, Ganquan-Xinxue emphasizes the universality, objectivity, and activity of TianLi(天理) and DaoTi(道體), arguing that it penetrates Xin and Wu(物). Also, In his view, Xin is not trapped in subjectivity, but is close to a universal Xin that encompasses and penetrates all things. We can call this the theory of XinWuHeYi(心物合一) or HunYiZhiXue(混一之學). These characteristics are also found in Toegye's philosophy. In the Second, Ganquan regard SuiChuTiRenTianLi(隨處體認天理) and cultivation of ChengJing(誠敬) as important. It reflects his theory that TianLi works anytime, anywhere. Toegye also argues that TianLi penetrates humans and the world, and that the core of cultivation is always to realize and learn it with the ChengJing. In this way, in terms of ontology and cultivation, Ganquan and Togeye's studies have a lot of room to coordinate with each other, and thus further comparative research is required. 본 논문은 16세기 동아시아 유학의 중요 인물에 속하는 담감천(湛甘泉)과 이퇴계(李退溪)의 리(理)에 대한 이해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그들의 철학을 심학(心學)의 지평에서 비교한다. 주지하듯이 16세기 중국 유학에서 심학 전통은 양명의 심학과 감천의 심학으로 분화했으며, 동시대 조선에서는 퇴계가 주자학의 심학적 경향을 드러내었다. 한편, 기존의 여러 연구는 퇴계 심학과 양명 심학 간의 동이(同異)를 논의하기도 했는데, 본 논문은 퇴계의 철학을 ‘심학’으로 규정하는 것을 긍정하면서도, 그것이 양명 심학보다 오히려 감천 심학과 비교될 여지가 많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양명 심학은 심(心)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긍정하는 내향주의, 주관주의 형태의 심학이다. 반면에 감천 심학은 천리나 도체의 보편성과 객관성 및 능동성을 강조하면서 그것이 심(心)과 물(物)을 관통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감천이 보기에 심체(心體)는 개인의 주관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천지만물을 포괄, 관통하고 있는 우주심(宇宙心)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근거하여 우리는 감천의 철학을 심물합일(心物合一)의 학문 또는 혼일지학(混一之學)이라 부를 수 있겠는데, 이러한 천리와 심체 및 객관 세계의 합일에 대해 퇴계 역시 곳곳에서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감천의 공부론은 수처체인천리(隨處體認天理)가 핵심이고, 나아가 성경(誠敬)의 수양을 강조한다. 이는 천리나 도체가 주관과 객관을 막론하고 어디에나 투영되어 있다고 보는 관점이 공부론 차원으로 이어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퇴계도 천리가 인간과 세계를 두루 관통하고 있으며, 이를 언제나 성경의 마음으로 자각하고 체인하는 것이 공부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본체론과 공부론 차원에서 감천과 퇴계의 철학은 서로 조응하는 바가 많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진일보한 비교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정산 이병휴의 공칠정(公七情) 연구 - 성리학적 연원과 윤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

        정종모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6

        본 논문에서는 성호학파(星湖學派) 내부에서 벌어진 ‘공칠정(公七情)’ 논쟁의 성리학적 연원과 그 윤리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은 『사칠신편(四七新編)』을 저술하여 기존의 사단칠정론 및 성인의 칠정에 대해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후 여기에 대해 성호 제자들이 의견을 개진하거나 논쟁을 벌이게 되는데, 그 가운데 정산(貞山) 이병휴(李秉休, 1710-1776)는 “성인의 칠정은 리발이다”는 입장을 견지했고, 성호의 주장 역시 기본적으로 그러한 원칙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거시적으로 보면, 이병휴의 주장은 북송유학에서 제시된 성인의 정감에 대한 이해를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퇴계 이래의 사단칠정론을 벗어나 이성과 정감의 관계를 공칠정 이론을 통해 새롭게 재편하는 의미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병휴는 공(公)과 사(私)의 기준에 따라 리발(理發)과 기발(氣發)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으며, 사단칠정론을 칠정론 체계로 재편하고 있다. 윤리학적 의미에서 보면, 이병휴의 관점은 이성과 정감의 이원적 분별을 거부하고, 정감 자체의 이성적 성격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맹자의 도덕정감에 대한 관점을 재현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덧붙여, 마음의 일원적 구도 하에서 정감의 초월성과 보편성을 말한다는 점에서 유종주(劉宗周)나 황종희(黃宗羲)의 정감론과 비교할 여지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劉述先의 ‘理一分殊’ 해석과 그 의의: 현대신유학과 다원주의 사유의 만남

        정종모 한국중국학회 2019 中國學報 Vol.88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현대의 이른바 ‘홍콩대만신유가(港臺新儒家)’ 진영에 속하는 학자인 劉述先(1934-2016)의 철학을 논의한다. 현대신유학 계보에 속하는 학자로서 유술선은 문명이나 종교 간의 소통과 대화라는 과제에 천착하고, 동아시아 전통에서 문화다원주의를 어떻게 수용하고 내면화할 것인지를 모색했다. 이를 위해 그는 특히 주자학의 ‘理一分殊(one principle, many manifestations)’ 개념에 착안했다. 그의 해석에 따르면, ‘分殊’의 원리에 대한 긍정을 통해 다원적 현실을 원만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理一’의 원리의 경우, 극단적 상대주의를 넘어서 다원적 주체 간의 공통된 합의와 규범을 지향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특히 그는 카시러의 ‘공능적 통일(functional unity)’ 개념과 칸트의 ‘규제적 원리(regulative principle)’ 개념을 차용하여, 문화철학의 지평에서 ‘分殊’에서 ‘理一’로의 도약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 도약이 지니는 실질적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그의 해석을 통해 우리는 다원주의적 각도에서 주자학의 현대적 의미를 살필 수 있을 뿐 아니라, 20세기 현대신유학의 이론적 발전의 한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y of Liu Shuxian, who belongs to Neo-Confucian school in HongKong and Taiwan. As a scholar of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ol, he inquired how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can embrace cultural pluralism. Liu took notice ‘one principle, many manifestations(Li-yi-fen-shu)’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hesis of Zhu Xi. According to him, an affirmation of ‘many manifestations’ is helpful way to accept plural circumstances. Besides, the notion of ‘one principle’ provides a foundation of common accord and norms between plural agents. H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progress from many manifestations to one principle and its implication in the area of cultural philosophy through borrowing Ernst Cassirer’s the idea of ‘functional unity’ and Immanuel Kant’s the notion of ‘regulative idea’. By exploring the Liu’s view, we can find the modern meaning of the doctrine of Zhu Xi in the sense of pluralism and grasp one theoretical developing way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儒家思想與其對動物權的含義- 以程明道的萬物同體觀為中心 -

        정종모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onfucian tradition and animal right. Cheng Mingdao(程明道, 1032~1085) is one of neo-Confucian philosophers of Song dynasty. I think that his ideas toward nature and animals can offer some useful resources for environmental ethics and animal right. Because, His thought implies a duty of compassion toward animals by offering fresh interpretations on Confucian concepts, ‘forming one body with things(與物同體)’,‘humanity(仁)’ and ‘correspondence(感應)’. In this paper, I begin by presenting some illustrations of Cheng's attitudes to animals in his daily life. In the second part, I offer analysis of ecological implications behind the concept of 'forming one body with things'. In the third part,I discuss three practical principles of Cheng's ecological views, the correspondence principle from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ity(識仁)', the expansion principle from 'loyalty and reciprocity(忠恕)' and the difference principle from 'humanity and rightness(仁義)'. 本文的目的在於探討儒家思想與動物權的關係。尤其,以程明道的思想為基礎,探求他的思想如何可以應用在動物權問題上。程明道所講的「萬物同體」、「感應理論」、「識仁」等的思想觀念肯定動物的「本來的價值」而強調對動物的關懷。因此之故,筆者期待,程顥的哲學為「環境倫理與中國哲學的對話」能夠做出貢獻。爲了證明此可能性,首先,本文論述宋儒在日常生活中對動物的態度以及其意義。其次,以「萬物一體觀」為中心,分析程明道哲學背後的「生命觀」以及「生態觀」。最後,從「實踐論」的角度切入,檢討他的哲學所提供的有關動物權的實踐原理。關於這一點,本文從三個方面進行分析,即「識仁與感應原理」、「忠恕與擴充原理」、「仁義與差等原理」。

      • KCI등재

        현대유학에서 ‘극기복례(克己復禮)’ 해석 논쟁과 그 의미 ―하병체와 두유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정종모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5 No.-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bate on Kejifuli(克己復禮) in the 1990s and examine its philosophical meaning. The debate was sparked by historian He Bingdi(何炳棣) criticizing the 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t Tu Weiming(杜維明) on Kejifuli(克己復禮). Tu weiming explains Confucain kejifuli in terms of self-discipline and self-completion. On the other hand, He Bingdi understands keji(克己) in the context of asceticism, and believes that fuli(復禮) means the recovery of the ritual of Zhou Dynasty. Liu Shuxian(劉述先) refuted He Bingdi's criticism again in defense of Tu Weiming, and the debate ended when Tu Weiming published an article that summarized his perspective later. This debate is not just a difference in the Analects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it implies a conflict between historians and philosophers in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that is, a conflict between scientific methodology and hermeneutic methodology. In addition, this debate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reative interpretations put forward by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u weiming's view of Kejifuli. And through this, I intend to make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Confucian Doctrine of Ren(仁), which many scholars are paying attention today.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 중화권에서 전개된 ‘극기복례(克己復禮)’ 해석 논쟁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살피려는 시도이다. 이 논쟁은 역사학자 하병체(何炳棣)가 현대신유가 진영에 속하는 두유명(杜維明)의 극기복례 해석을 비판하면서 촉발되었다. 두유명은 수신(修身)과 자아완성의 각도에서 공자의 극기 개념을 이해한다. 반면에 하병체는 주체의 억압이나 통제의 의미가 농후한 금욕주의의 맥락에서 극기를 해석하고, 또한 복례 역시 전장제도로서의 주례(周禮) 회복이 핵심이라고 판단한다. 하병체의 비판에 대해 유술선(劉述先)이 두유명을 옹호하며 반론을 펼쳤으며, 훗날 두유명이 자신의 관점을 정리한 저술을 출간함으로써 논쟁은 일단락되었다. 무엇보다 이 논쟁은 논어 의 훈고학적 해석 문제를 넘어서 있다. 다시 말해, 유학의 핵심인 인(仁)과 예(禮)의 의미 및 이와 관련된 연구방법론을 둘러싸고 역사학자와 철학자의 시각이 충돌하고 있다. 이는 실증주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의 충돌을 함축하는데, 특히 ‘홍콩대만 현대신유가’ 노선이 중시하는 창조적 해석학 방법론의 정당성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하병체의 비판에 대한 두유명과 유술선의 대응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신유가 진영의 유학 이해와 연구방법론에 담긴 함축을 살피고, 이를 통해 최근 중화권에서 대두하고 있는 유가인학(儒家仁學) 연구의 배경과 맥락에 접근하는 실마리로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