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

        장동석,정은탁,유홍식,이은우,임성미,CHANG Dong-Suck,JEONG Eun-Tak,YU Hong-Sik,LEE Eun-Woo,LIM Sung-Mee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1

        득량만 해수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만 안쪽의 연동지선의 일부해역 (area IV)을 제외하고는 수출용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2.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해수 100ml당 <\;3.0\~4600$의 범위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7.4\%$였고, 분변계대장균의 최확수는 $<\;30\~1,100$의 범위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8.5\%$로 한계치 $10\%$에 미달하였다. 3. 강우시에는 비강우시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으며 특히 93mm의 강우가 있은 48시간 이후에도 비강우시의 $6\~7$배나 높은 세균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scherichia coli가 약 $54\%$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5.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6.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6\~8$월 사이에는 시료의 $15\~2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A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of the bay and compliance of waters with the recommended bacteriological criteria for the designated area of shellfish cultivation. S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stablished sampling stations (fig. 1) from May 1995 to November 1996. During the study period,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classification of coliform group with IMViC reactions and pathogenic vibrios were analyzed. Coliform group and feral coliform MPN's were ranged from $<\;3.0\~4600/100m{\ell}\;and\;<\;30\~1,100/100m{\ell}$, respectively. The bacteriological criteria of sea water in shellfish growing area should be less than 70 per l00ml of sea water for median value of coliform MPN, and below $10\%$ of the samples which contain over than 230 for coliform MPN or over than 43 for fecal coliform MPN, Most of the waters from 26 sampling stations were complied water coliform criteria recommended for designated shellfish growing area. Then, the ratios of the samples with move than 230/10ml of coliform group MPN and more than 43/100ml of fecal coliform MPN were $7.4\%$ and $8.5\%$, respectively. The bacterial density of the sea water was deeply affected by rainfall amount. For example, coliform bacterial counts of sea watery after 48 hours from 93 mm rainfall were $6\~7$ times higher than those of without rainfall. During the study period, infectious bacteria such as Vibrio cholerae, Salmonella sp. an d Shigella sp. were not detected from the samples, but detection ratios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were $15\~20\%$ in summer months.

      • KCI등재

        병원성 비브리오균과 동물성 플랑크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동석,김창훈,유홍식,김신희,정은탁,신일식,CHANG Dong-Suck,KIM Chang-Hoon,YU Hong-Sik,KIM Shin-Hee,JEONG Eun-Tak,SHIN Il-Shik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5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생선회를 즐겨 먹는 우리나라의 식습관 때문에 여름철 식중독 원인 세균 중에서 제일 빈도가 높은 세균이다. 특히 매년 여름철이면 콜레라 파동으로 활선어 판매금지 조치 등으로 생산어민 및 생선 횟집 경영자들의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크다. 더구나 콜레라균이 해수에서 동물성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한다는 보고도 있어서 실제로 우리 나라 연안 해수에서 콜레라균이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우리 나라 남해안의 해수, 어패류 및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cholerae non O1, V. mimicus는 검출되었으나 V. cholerae O1은 검출되지 않았다. 2. 동물성 플랑크톤은 해수에서 각종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부착, 생잔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동물성 플랑크톤에의 부착율은 대장균에 비하여 높은데 염분 농도 $5\%_{\circ}$ 일 경우에는 $60\%$이상으로 높았으나,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흡착율은 감소하였으며 염분 농도 $20\%_{\circ}$이상, pH 8.0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4.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25^{\circ}C$의 해수에서는 플랑크톤이 존재할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균의 생잔율이 크게 나타났으나, $0^{\circ}C$에서는 플랑크톤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2\~3$일 이내에 균수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5. 미세 조류나 사멸시킨 동물성 플랑크톤의 존재가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An ecological study on pathogenic vibrios was done in the aquatic environments of southern coast of Korea during summer in 1995,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pathogenic vibrio and zooplankton. Furthermore, special emphasis was given to study on the efforts of zooplankton existence on the wintering of Vibrio cholerae in the aquatic region in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pathogenic vibrios were isolated from the samples such as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mimicus, and V. cholerae non O1, but V. cholerae O1 was not detected in any sample submitted in this study. Adsorption ratio of V. parahaemolyticus onto zooplankton was higher than that of E. coli. The efficiency of adsorption was found to be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other ions found in sea water. For example, adsorption ratio of V. parahaemolyticus were $75\%\;at\;5\%_{\circ}$ of NaCl solution and $55\%$ at same salinity of diluted sea water, but those were decreased as $20\%\;and\;7\%\;at\;15\%_{\circ}$ salinity of NaCl solution and diluted sea water, respectively. In addition, survival period of pathogenic vibrio was extended in the presence of live copepods at $25^{\circ}C$, but zooplankton existenc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urvival rate at $5^{\circ}C$ in closed microcosm and also microalgae and dead copepods do not affect on the survival of V. parahaemolyticus. According to these experimental results, zooplankt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pathogenic vibrios in sea water during the summer season, but copepod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m in winter season in Korea. Finally, authors suggest that V. cholerae is not able to over winter with zooplankton in adjacent sea water in Korea.

      • KCI등재

        선상에서 처리한 창란젓갈 원료에 관한 연구

        이원동,장동석,고병호,이명숙,정은탁,LEE Won-Dong,CHANG Dong-Suk,KOH Byeong-Ho,LEE Myung-Suk,JEONG Eun-Tak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2

        어획한 명태를 선상에서 가공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선상창란을 대상으로 선도에 따른 제품의 관능검사와 제조과정 중의 수율을 조사함으로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료창란의 VBN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아울러 초기 VBN 값이 각기 다른 원료창란으로부터 젓갈숙성중의 VBN, pH, 그리고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상에서 처리한 원료창란은 창란젓갈 원료가 되는 위와 창자의 비율이 $72\%$로서 시료명태 내장중 위와 창자의 비율인 $18.5\%$보다 약 4배정도 높았다. 2. 동일한 시료명태에서 백색육과 내장의 VBN을 조사한 결과, 내장의 VBN이 백색육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14.2배였고, 명태육과 내장의 선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원료창란의 VBN이 $70{\pm}2mg\%$ 이하인 경우 위와 창자만을 정선한 수율은 $52\%$ 이상이었고, 제품의 관능 검사 결과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VBN\;80{\pm}2mg\%$ 이상인 경우 정선창란의 수율은 $43\%$ 이하였으며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도 불량하여 유통상품으로서 가치가 적었다. 4. 원료창란의 $VNB\;35{\pm}2mg\%$와 $70{\pm}2mg\%$인 시료를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VBN, pH 및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은 $50.06{\pm}2mg\%,\;87.71{\pm}2mg\%로서 두시료 모두 숙성초기보다 각각 $15.06mg{\%},\;17.51mg{\%}$ 증가하였으며, pH는 숙성초기에 7.12와 7.44이던 것이 각각 6.22, 6.15로 감소하였고, 생균수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 및 $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와$9.8{\times}10^5\;CFU/g$로 $1\~1.5-log-unit$가 증가하였다. The study was attempted to detemine the ratio of stomach and intestine to viscera gathered on catching vessels, the critical level of VBN content as a freshness quality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It also examined the changes of VBN values, pH and viable tell counts during the fermentation. Then sensory evaluation of the fermented products, Changran-jeotgal, was done according to the freshness of raw materials used. The ratio of stomach and intestine to the gathered viscera on the vessel was about $72\%$, while that of round state of Alaska pollack was about $18\%$.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VBN content between fish muscle and viscera. It suggests that VBN content is not a reasonable freshness criteria in viscera but in fish muscle. However, if we use the VBN content as a freshness criteria of viscera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less than $70mg\%$ of VBN value could b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duct yields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no good not only for economical evaluation but also for consump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