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과 창의적 리더의 대학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정은이(鄭殷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리더십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알아보고 오늘날 대학생들이 갖춰야할 특성으로 중요시되는 창의성과 리더십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리더모형으로서 창의적 리더의 대학생활 적응 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리더십에 관한 암묵적 이론을 살펴본 결과, 사교성,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능력, 카리스마, 타인배려 및 존중, 적극성, 자신감, 자기주장, 성실성, 책임감, 통솔력, 유머감각, 긍정적 성격, 판단력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과 대학적응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상적 창의성과 리더십이 .65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상적 창의성과 대학적응, 셀프리더십과 대학적응 또한 .62, .66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일상적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의 평균을 중심으로 네 집단을 구성하여 대학 적응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일상적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이 모두 높은 창의적인 리더들의 대학생활 적응 점수가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에서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과 창의성이 관계가 있으며 리더십과 창의성을 모두 갖춘 창의적인 리더들이 대학적응을 잘 하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추후 리더십과 창의성을 향상시켜 창의적인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실시가 제안된다.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s" implicit theory about leadership and tested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nd leadership, both of which is considered as important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creative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ir college adjustment as a new model of leader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implicit theory about leadership included sociability, communication abilities, interpersonal abilities, charisma, caring and respecting others, confidence, assertiveness, faithfulness, responsibility, humor, positive personality, and judgment. Second,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everyday creativity, self-leadership, and college adjustment. The correlations were .65 between everyday creativity, .62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college adjustment, and .66 between self-leadership and college adjustment. Third, four groups with different levels of everyday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showed different levels of college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creative leaders, the group of students who were high in both everyday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ir college adjustment total and subscales. These results prove substantial relations between leadership and creativity, and also imply that creativity leaders with both leadership and creativity show better college adjustment. They suggest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design a program focused on leadership and creativity for training creative leaders.

      • KCI등재

        MBTI 성격 유형과 회화(繪畵) 적 표현의 관계에 대한 고찰

        정은의 한국심리유형학회 1998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5 No.1

        본 연구는 개인이 편안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그린 그림이 MBTI의 성격적인 특성을 잘 나타낸다는 사실에 관심을 가지고 MBTI 성격유형과 개인의 회화적(緖畵的)표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MBTI 4가지 선호지표에서 E/I는 바탕색칠 여부를, S/N은 그림의 소재를, T/F는 그림속의 사람등장 여부를, J/P는 공간활용도를 분석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6가지 성격유형별로 나누어 그림의 제목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4가지 선호지표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E는 I에 비해 그림의 바탕색을 더 많이 칠하였다. S는 사실적, 경험적인 것을 주로 사용하였고, N은 선·도형이나 별·달·해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하였다. N이 사실적, 현실적인 소재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비유적 은유적으로 많이 활용하였다. T형보다는 F형의 그림속에 사람이 더 많이 그려졌고 내용 설명에서도 사람과 관계시 관련된 감정을 많이 표현했다. J형이 P형보다 공간을 더 많이 활용하여 그림을 그렸다. 또한 개인이 그린 그림의 제목이나 내용이 MBTI의 16가지 성격유형의 특성을 잘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MBTI(Myers-Briggs Type Indicalor)의 이론적 근거인 Jung의 심리적인 경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고 그런 경향성은 대화나 업무처리 방식뿐만 아니라 그림이라는 회화적 표현속에서 나타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pictorial expression with the interest in the fact one who draw the picture naturally in a relaxing circumstance shows well the MBTI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criteria in the 4 MBTI Preferences used to verify this relationship are as follows ; 1. E/I - room for ground painting, 2. S/N - drawing materials, 3. T/F - room for figures, 4. J/P - analysing the ability utilizing the vacancy. And, 16 divided personality types are used in analysing the title of the drawings and the cont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uy, E painted the ground of the picture more when compared with I. Secondly, S made use of materials realistic, and empirical. N took the materials such as the line, the diagram, or stars, the moon, and the sun from the nature. Thirdly, more personal figures were appeared in F type than T Type. And regarding content description, related emotions were much expressed when it concerned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more vacancy was utilized by J type than P type. And lastly, the title and the content reveal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16 personalty types. With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 can be made as this; Jung's Psychological tendency is inherited, and such tendency is revealed in such pictorial exeession as picture as well as in the dialogue and in dealing with business.

      • KCI등재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선호(選好) 소재와 동일(同一) 소재의 회화(繪畵) 적 표현 차이

        정은의 한국심리유형학회 199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6 No.1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의 차이와 역동성을 체험적인 행동으로 전달하고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그림 그리기에서 MBTI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소재가 있는지와 동일(同一)한 소재라 할지라도 어떻게 표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관계향상 프로그램 참가자 716명의 그림을 재목과 내용을 기준으로 8가지 소재(꽃, 길, 나무, 집, 하트, 자화상, 스마일, 손)를 기능(ST, SF, NF, NT)과 기질(SJ, SP, NF, NT)로 나누어 사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재는 꽃, 길, 나무, 집, 하트, 자화상, 스마일, 손 순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기능간, 기능별/기질간, 기질별로 선호하는 그림의 소재와 동일 소재에 대한 표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대표적인 시각적 상징이나 사물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성격 유형의 선호성과 경향성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그린 그림의 선호 소재와 표현의 차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먼저, MBTI 교육이나 강의시 성격유형의 차이를 시각적인 상(像)을 통해 전달하는 자료를 개발하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겠다. 그리고 더 나아가 MBTI 지필(紙筆)검사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MBTI 그림검사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겠다. With the necessity of ways to experientially transfer the difference of MBTI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investigates preferring materials in drawing,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assignations. It further explores the differences in expression when identical materials are used. This study implemented a case analysis with the drawings of 716 participants who joined the program improving human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ir titles and contests the 8 images including flowers, roads, trees, and shapes of heart, self-portraits, shapes of smiles and hand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unctions and temperaments, and analyzed by cases. The functions consisted of ST, SF, NF, and NT personality types and temperaments were SJ, SP, NF, and 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terials were used in the following order of flowers, road, trees, houses, shaper of heart, self-portraits, shapes of smiles and hands. There were differences of expression in drawings between the preferences in materials, according to functions, functions - temperaments, and temperaments. In conclusion, there are different visual symbols that feature prominently,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and the tendency of each personality can be seen from choice of preferred materials and their ways of expressing. This study hope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materials to transfer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ypes via visual images in the MBTI education or classrooms. Moreover, it hopes to be used as basis research in the MBTI picture test for those who cannot take the MBTI written tes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정은이(鄭殷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해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47명, 교수 130명이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였으며, 내용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수업에 집중하기, 노트 필기 전략, 예습과 복습, 교수와 친밀하게 지내기, 출석 관리 철저하게 하기, 규칙적인 학습 습관, 다량의 독서, 과제 수행 전략, 구체적 학습 계획, 이해와 외우기 전략, 선배에게 조언 구하기, 시험 관리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수들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출석관리 철저하게 하기, 수업에 집중하기, 예습과 복습, 노트필기 전략, 질문을 많이 함. 다량의 독서, 자료 수집 및 정리, 강의 시연, 과제 수행 전략, 교수와 친밀하게 지내기, 수업에 대한 정보 숙지, 프리젠테이션 능력, 반복 학습, 스터디 그룹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생들과 교수들은 각각 상위 5위 안에 공통적으로 수업에 집중하기, 예습과 복습, 노트필기 전략, 출석관리 철저 등을 언급하였다. 넷째,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대학생은 교수와의 친밀한 관계와 규칙적인 학습 습관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교수들은 수업 중 질문하기, 자료 정리, 강의 시연, 프리젠테이션 능력 등과 같은 수업관리 전략을 중요하게 언급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향상과 대학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t col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ould include attention to instruction, note-taking, preview/review, closeness to professors, class attendance, regulated learning habits, comprehension or memory strategies, help-seeking from seniors, time management and so on. Second, th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suggested by college professors included class attendance, attention to instruction, preview/review, note-taking, questioning, more readings,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class materials, simulation, task-performance strategies, closeness to professors,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class, presentation skills, repeated learning, study group, and so on. Third,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picked attention to instruction, preview/review, note-taking, and attendance as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Fourth, the most noticeable difference was that students considered closeness to professors and regulated learning habits as important while professors thought of questioning, organization of class materials, simulation,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class, and presentation skills as important learning strategie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 for enhancing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청소년 대상 분노반추척도(Anger Rumination Scale)의 타당화 연구

        정은의,송현주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1

        This study focused attention on anger rumination that could be important part of sustaining and augmenting anger. Specially it is difficult for adolescents to control anger, so we propose that anger rumination may be responsible for the mechanism to maintenance of anger. Grounded on translations of Anger Rumination Scale (Sukhodolsky et al; 2001), we investigated factorial equivalence between the original Anger Rumination Scale and the Korean Anger Rumination Scale for adolescents. To confirm ab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a total of 515 adolescents (263 boys and 252 girls) completed the Anger Rumination Scale, STAXI-K, Novaco Anger Scale, Aggression Questionnaire, Trait Meta-Mood Scale,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 Factor Analysis of the scale results revealed a three-factor structure (AngryAfterthoughts, Understanding of Causes, Thoughts of Revenge), which differed from those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of the original scale. For adolescents in Korea, the Anger Rumination Scale and its subscale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We found the Anger Rumination Scale's convergent and discrimination validities via measures of anger and aggression, emotional regulation, optimism, and social desirability.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current Anger Rumination Scale is reliable and valid for the assessment of anger rumination of adolescents in Korea.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분석심리학의 그림자 상징과 처리태도의 변화 고찰: 전래동화, 액션, 공상과학(SF)영화를 통한 비교

        정은의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In this article, an opposite situation between the un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in modern people was studied by comparing the narration structure with the characters of falk tales, an action and a science fiction film in change in symbol of shadow and processing course of shadow in analytical psychology, which is the first gateway, reaching the Individuation of analysis psychology. The analysis of symbol of shadow in change was used by the amplification method and the analysis of processing attitude of shadow in change was used by the analysis method of the nar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study, as the symbol of shadow was changed into a natural object in the falk tales, a personified object in the action, and a super personified and processed object in the SF movie, the phenomenon of discontinuity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ness, which was deepened could be seen in the human spirit world by being strengtened, and by restraining or rejecting the unconsciousness. The processing attitude of shadow showed a characterized course of uniting both consciousness and shadow into one in folk tales. On the other hand, in the action, as the narration structure, the confrontation structure of the good and the evil, most finish showed one-sided strengthen since the consciousness consisted of the main stream that the good disciplined the evil. In recent SF movi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dissociation of the opposite was extremely deepened due to the inflation of ego. And in some movies, it has appeared that as the narration structure, comprised in the finish that earthmen or human beings were conquered by aliens and mutated monsters, sometimes emerged, serious inflation of ego in modern people and the shadow of the unconsciousness were more deepened, leading to the spiritual dissociation deepened, furthermore, the consciousness might be conquered by the strong power of the unconsciousn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ole of counseling will be increased for the solution of psychological concerns owing to the spiritual opposite dissociation of modern people and in the course of the pursuit of spiritual whole unity, it will be more expected to increase for people to be assisted in the attempt to unite the opposite into one. 본 논문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에 이르는 첫 관문인 그림자의 상징과 처리과정의 변화를 전래동화와 액션영화, 공상과학(SF)영화의 등장인물과 서사구조를 비교함으로서 현대인들의 의식과 무의식의 대극 상태를 알아보았다. 그림자 상징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확충방법을 사용하였고 그림자 처리과정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서사구조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그림자의 상징이 전래동화에서는 자연적 대상으로 액션영화에서는 인격화된 대상으로 그리고 공상과학(SF)영화에서는 초인격적, 가공적 대상으로 변화함으로서 인간의 정신세계가 의식이 강화되고 무의식을 억압하거나 거부함으로서 의식과 무의식의 단절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그림자의 처리과정이 전래동화에서는 의식과 그림자가 합일되어 가는 개성화 과정을 보여준다. 반면 현대 액션영화에서는 선악의 대결구도의 서사구조로서 대부분의 마무리는 악을 응징하고 선이 승리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의식의 일방적 강화를 보여준다. 최근의 공상과학(SF)영화에서는 자아의 팽창으로 인한 대극의 분열이 극단적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일부 영화에서는 지구인이나 인간이 외계인과 돌연변이 괴물에게 정복당하는 결말로 이루어진 서사구조가 나타나기도 함으로서 현대인들의 심각한 자아 팽창과 무의식의 그림자가 더욱 깊어지면서 정신적 분열이 심화되고 더 나아가 의식이 무의식의 강력한 힘에 의해 정복 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현대인의 정신적 대극의 분열로 인한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 상담의 역할이 증대될 수 있고 정신의 전일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현대인들이 대극의 합일을 시도하도록 조력하는데도 상담심리학의 역할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명상에 기반하는 반야통찰상담의 비대면 상담환경에 적용한 효과

        정은의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1 명상심리상담 Vol.25 No.-

        Now the whole world is under the impact of COVID-19, so it has demanded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counseling. In this study, it aims to present the effects of applying Pannā Insight Counseling (PIC) in a Untact Counseling Environment(ZOOM, UCE). PIC has embodied Buddha’s Counseling in a form of modern counseling. Buddha’s Counseling is that Buddha taught the Four Noble Truths, the principle of suffering extinction, more than 2,600 years ago.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rocedures: the analysis of surveys, and analysis of client’s experience in individual counseling. The analysis of surve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wo effects of PIC in the UCE. For the first effect, they could experience calm and concentration, the main features of PIC, in the UCE. Silence is very meaningful in PIC, so the time of such silence was sufficiently guaranteed in the UCE. Therefore,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even a client, who are unaccustomed to PIC, could accept PIC in UCE without much of rejection. For the second effect, the participants evaluated PIC in the UCE as a suitable counseling in the future regardless of money, time, and place because a client could be in a counselling session at any time at anywhere that the client would feel comfort and safe. The analysis of client’s experience in individual counselling showed that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face-to-face counseling are not different. The client could focus better because there are only two people,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in the screen. The client said that it was good to watch the facial expressions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 again by recording the session under both consents. It allowed the client to check the expressions that she did not notice, and that brought an inner change to her.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PIC can be flexibly applied in either a untact or contact counseling environment based on ‘calm and concentration’. Thus, in this study, PIC, embodied Buddha's Counseling in the form of modern counseling theory, has proven that Buddha’s teachings are useful in the untact or contact environment in both the ancient and modern time. Although the counselors of PIC proceed with the untact counseling through the help of scientific technology to meet the current needs, they should be mindful of that this process and mean of counseling are appropriate to create a right view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전 세계가 COVID-19의 영향으로 상담의 환경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붓다가 2600여 년 전에 괴로움 소멸의 원리인 사성제(四聖諦, catūsu ariyasacca)를 알고 보도록 가르쳤던 붓다의 상담을 현대 상담이론의 형식으로 구현한 반야통찰상담(Paññā InsightCounseling)을 비대면 화상(ZOOM) 환경에 적용한 효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와 개인상담의 경험을 분석하는 2차원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설문조사의 참가자들은 반야통찰상담의 비대면 상담 환경에 대한 적용을 2가지로 경험하였다. 먼저, 참가자들은 반야통찰상담의 특징인 고요와 집중을 비대면 상담에서도 그대로 경험 할 수 있었고 반야통찰상담은 침묵의 시간이 매우 유의미한데 화상상담에서도 그러한 집중의 시간이 충분히 보장되어 화상으로 진행되는 반야통찰상담은 반야에 생소한 내담자에게도 큰 거부감 없이 스며들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반야통찰상담은 내담자가 비대면으로 편하게 자기가 머무는 곳에서 상담자와 예약된 시간에 만나서 상담을 할 수 있어서 돈과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은 미래 적합형 상담으로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상담의 내담자도 화상상담과 대면상담이 다르지 않다고 경험하였고 1:1 상담으로 둘 만화면에 크게 나오고 얼굴을 보고 하는 것이므로 집중도 잘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서로 동의를 하고 녹화를 하여 상담 장면의얼굴표정 등을 다시 보면서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며, 자신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것을 재점검할 수있어서 질적인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반야통찰상담은‘고요함과 집중’을 토대로 대면이나 비대면의 상담 환경에서도 매우 유연하게 적용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붓다의 상담을 현대 상담이론의형식으로 구현한 반야통찰상담을 통해 붓다의 가르침은 고대와 현대의 시간적 변화와 대면과 비대면의 환경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괴로움 소멸의 원리와 과정을 배우고 실천하기에 유용함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반야통찰상담의 상담자는 현 시대적 요구에 따라 과학적 기술의 도움으로 비대면으로 상담을 진행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과정과 수단이 과연 괴로움 소멸에 대한바른 견해가 생기도록 하는데 적절한지를 ‘반야로서 이어보는 깨어있음(sati-sampajañña)’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