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파평 윤씨 모자 미라의 고병리학적 분석

        정운용,신봉경,김철환,김인선,김우림,최광식,엄창섭,황적준,김한겸 대한병리학회 2004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38 No.6

        Background : A mummy is a dead body of a human being or an animal that has been preserved artificially or naturally from decaying. Because the natural environment of Korea isn't appropriate for mummification and Korean people haven't artificially made mummies, mummies were rarely studied in Korea. Methods : On September 6, 2002, a well-preserved female mummy was found in the grave of a family in Kyunggi-do. She was submitted to a thorough autopsy examination along with the review of genealogical documents. Results : The mummy died in winter. She was pregnant and the fetal head was observed at the vaginal orifice. The uterine wall was ruptured, and the peritoneum was discolored, probably by hemorrhage. Histologically, the gastric mucosa was well preserved. On the smear cytology of gastrointestinal material and the fluid from the coffin, pollens and parasitic eggs were observed. The woman seemed to be death from hypovolemic shock due to uterine rupture during the 2nd phase of labor. Conclusions : From this case, we concluded the causes of the woman's mummification included the cold and dry circumstance at the time of her death, and the thick mortared wall of the grave that completely isolated the body from the outsid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三國史記』交聘 紀事를 통해 본 羅濟同盟時期의 再檢討

        정운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6 百濟硏究 Vol.44 No.-

        The most approved periods of Silla­Baekje Alliance has been from A.D. 433 to 554. Such approval, however, was made before the discovery of Jungweon Koguryo Monument, which contents how matters stood in 449. As so,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ompromise and rupture of Silla­Backje Alliance. Having reviewed texts related to the exchange of envoys in Baekje­bonki, {Samguk Sagi(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exchanges of envoys in 433 and 434, which the academic world has focused on, were also found during 1stC∼4thC. This proves that the periods of Silla­Baekje Alliance existing in records should be understood by their efforts to keep the alliance and their performing concerted operations when it is needed. In conclusion, the compromise of Silla­Baekje Alliance is assumed to be made in early 455 based on the fact that Silla aided Baekje defeating Koguryo, although the war is supposed to be a limited warfare. In addition, the rupture is understood to be made in 554 when Baekje failed the attack to the Kwansan Fortress, as the academic world has understood. 기왕에 학계에서 이해하여 온 羅濟同盟의 시기는 433∼554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449년의 상황을 전하고 있는 中原高句麗碑의 발견 이전에 형성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나제동맹의 성립 및 결렬 시기를 재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三國史記』 百濟本紀의 交聘 관련 기사 내용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왕에 학계에서 주목하여 온 433ㆍ434년의 百濟와 新羅 사이 交聘과 같은 내용은 1∼4세기에서도 찾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료 상 實在하는 나제동맹의 시기는, 관련 당사국 사이에 그의 유지를 위한 노력과 유사시 상호 공동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파악해야 할 것임에 有意하였다.그 결과, 비록 소규모의 局地戰이라 판단되나, 455년 10월 백제를 도와 고구려를 물리치는 신라의 군사행동과 그 해 9월 백제의 왕위 계승을 주목하여, 나제동맹의 성립은 455년 上半期로 추정하였다. 아울러 나제동맹의 결렬은 기왕의 통설적 이해대로 554년 管山城 전투에서 백제가 패배함으로써 초래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樂浪郡 滅亡 以後 遺民의 向方

        정운용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0

        According to the existing results, Nakrang Commandery(樂浪郡) could be composed of ‘Native people of Joseon’(土着 朝鮮人), who had lived since Gojoseon, ‘Native Hans’(土着 漢人), who had immigrated from China and settled down in Gojoseon, and ‘Immigrant Hans’(移住 漢人), who immigra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Nakrang Commandery.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se people after the fall of Nakrang Commandery. Among them, there are epitaphs excavated from China inscribed with Wang Jung(王禎)・Wang Ki(王基) which refer to the ‘Immigrant Hans’. These Wang’s family claims to be the descendant of Kija(箕子) due to inheriting the consciousness of Kija. This family, who originated from the ‘Immigrant Hans’, went back to China after the fall of Nakrang Commandery and entered into matrimonial relation with the royal China. As a result, they asserted that they were the heir of Kija in the process of political and social growth. It seems to be an attempt to maintain the status of the family. Meanwhile, customs of Kija or ritual serving Kija as a god in Goguryo society are mentioned in 『Dangseo』(『唐書』), published in 10C. This came from the ‘Native people of Joseon’ and the ‘Native Hans’ who gradually became Hans(漢化) in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maintaining the consciousness of Kija under the necessity of authenticity and authorities of governing Nakrang Commandery. The people came under Goguryo(高句麗) society,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traces of them, who served Kija as a god living in Pyeongyang(平壤) as the inhabitants of Goguryo, were remained in 『Dangseo』. Also, 8-article-legislation(犯禁 8條) of Kija or stories about customs of Kija and worship of tigers are recorded in Yea(濊), a part of 『Samgukji』(『三國志』). In the existing studies, there was no discussion of the reason why the articles about Kija were mentioned in Yeajeon(濊傳). Besides, there was no assumption of its significance other than a mention of the fact about customs of worshiping tigers in Yea. Yea is a group of migrants of Gojoseon originated from Buyeo. The tiger in the myth of Dangun(檀君) was their totem. Although there was no need to highlight the tiger as they were represented by Hwanwoong(桓雄) in the marriage to Woongnyeo(熊女) in the myth, they kept their totem after they migrated to Dongyea(東濊). This group was once under the Dongbudowee(東部都尉), affiliated to Youngdong-7-Hyun(嶺東 7縣). The ‘Immigrant Hans’ might had governed Dongbudowee, and the majority of the inhabitants was Yea that enabled the survival of totem of tiger. These inhabitants are the ‘Native people of Joseon’. Thus, the record of Yea, a part of 『Samgukji』, is decided as a resource throwing a sidelight on the fact that the ‘Immigrant Hans’ and the ‘Native people of Joseon’ lived in the region. 낙랑군의 주민 구성은 기존의 연구 성과대로, 고조선 이래의 주민인 ‘土着 朝鮮人’, 고조선 시기에 중국에서 이주하여 정착한 ‘土着 漢人’, 낙랑군 설치 이후 이주해 온 ‘移住 漢人’ 등으로 구분해 보았다. 낙랑군 멸망 이후 이들 집단의 향방을 추정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 중 ‘이주 한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자료로는 王禎・王基 등의 인물에 대한 중국 출토 墓誌銘이 있다. 이들 왕 씨 가문이 箕子 계승 의식을 갖고 기자의 후손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 가문은 ‘이주 한인’ 출신의 낙랑군 遺民으로, 낙랑군 멸망 후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중국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그에 따라 정치적・사회적 성장 과정에서 자신의 가문이 기자를 계승한 왕손이라 강조하였다. 이는 가문 지위의 유지를 기도한 때문이라 보인다. 한편 10세기 편찬되는 『唐書』 에 고구려 사회에서의 기자 유풍이 거론된다거나, 고구려 사회에 淫祀로서 箕子神의 숭배 풍습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점차 漢化된 낙랑군의 ‘토착 조선인’이나 ‘토착 한인’이 낙랑군 존속 시기에 자신들의 정통성 확보나 낙랑군 군현 통치의 필요성에서 제기된 기자 계승 의식을 보유하게 된 것에서 起因한다. 이들이 낙랑군 멸망 이후 고구려 사회에 포함되었고, 낙랑군의 중심지였던 평양 일원에서 고구려의 주민으로 생활하였다. 그 과정에서 이들이 기자신을 섬기는 집단으로 존속했던 흔적이 『당서』에 남게 된 것이라 이해한다. 또 3세기에 편찬되는 『三國志』의 濊에 대한 기록에는 기자의 8조 犯禁이나 기자의 유풍 및 호랑이 숭배에 대한 기사가 보인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왜 濊傳에 기자 관련 사항이 언급되었는지 그 이유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濊의 호랑이 숭배 풍습에 대한 사항도 사실의 언급 이외에 그 의미 추적은 거의 없었다. 濊는 부여에서부터 비롯된 고조선의 유민 집단이다. 단군신화에 보이는 호랑이가 바로 濊의 토템이었다. 단군신화에서 濊 집단은 웅녀와의 혼인 관계에서 자신의 집단은 환웅으로 대표되기 때문에 호랑이를 강조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濊 집단이 동예로 이주한 이후에도 여전히 호랑이 토템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 집단은 낙랑군 치하에서 한 때 영동 7현에 편제되어 東部都尉의 예하에 있었다. 동부도위의 통치는 아마도 ‘이주 한인’에 의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 주민의 대다수는 濊 집단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호랑이 토템이 존속되었다. 이들이 바로 낙랑군 시절의 ‘토착 조선인’이다. 따라서 『삼국지』 濊의 기록은 예 지역에 ‘이주 한인’과 ‘토착 조선인’이 거주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