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의 물화에 대한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철학적으로 매우 미묘한 주제를 다루는 「제물론齊物論」은, 『장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제물론」제일 뒤에 있는 호접지몽 우화에는 깨달음과 변화라는 중요한 철학적 논제가 포함되어 있다. 세계가 구성된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 호접지몽 우화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다. 장자는 호접지몽 우화의 물화物化라는 표현을 통해 변화와 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밝히고 있다. 물화는 제물이라는 장자철학의 이념과 상통해야 할 것인데, 물화라는 표현 직전에 나오는 분分자 때문에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분은 제물과 양립하기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물화가 생성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해석함으로 써, 분과 제물을 양립시킬 수 있는 해석을 제안한다. Zhuangzi's second chapter, Qiwulun 齊物論, deals with some of the most philosophical and subtle subjects in Zhuangzi. The Butterfly's Dream Fable at the very back of Qiwulun can be said to be a fable that represents the entire Zhuangzi philosophy. The Butterfly's Dream Fable contains important themes of enlightenment and change. One of the important teachings of the Butterfly's Dream Fable is that we must realize that the world is not objectively real, but is unconsciously constructed by ourselves. Zhuangzi reveals his worldview through the expression Wuhua 物化 in the parable of the butterfly's dream. Wuhua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ideology of the Zhuangzi philosophy of qiwu 齊物, but it causes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the 'fen 分' character immediately before the expression wuhua. Because fen is not compatible with qiwu. In this paper, by interpreting wuhua as a concept representing emergent generative theory, an interpretation that can reconcile fen and qiwu is proposed.

      • KCI등재

        『孟子』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에 대한 莊子적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孟子』 「「公孫丑上」에는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라는 고자의 말이 인용되어 있다. 이 글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현대 철학자인 니비슨은 이 구절을 부동심의 맥락에서 해석했고, 『莊子』 「人間世」편의 유사한 구절도 같은 맥락에서 진술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莊子』의 해당 구절은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되었음이 비교적 분명하다. 맹자와 장자는 동시대에 활동했던 철학자이고, 두 사람이 인용한 진술도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철학자는 각기 다른 맥락을 전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유사한 글이 부동심이 아닌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된 것임을 밝히고, 인지적 맥락에서 『맹자』의 글을 해석할 수 있음을 논증했다. 『맹자』의 글을 인지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맹자 철학에 잠복해있던 인지적 측면에 관한 논의를 발굴하고, 전국시기의 철학을 인지의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irst Chapter of Gongsunchou of Mengzi, Gaozi’s words are cited: 不 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this passages are different. The modern philosopher Nibison interpreted this passages in the context of stability of mind, and claimed that similar passages in the chapter of In the World of Men of Zhuangzi were also stated in the same context. However, it is relatively clear that Zhuangzi's passages a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Mencius and Zhuangzi were contemporary philosophers, and the statements they quoted are essentially similar. Nevertheless, the two philosophers presuppose different contexts.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that Zhuangzi's similar passages we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rather than stability of mind, and demonstrated that Mencius could be interpreted in a cognitive context. By interpreting Mencius's passgaes in a cognitive context, it will be possible to discover discussions about the cognitive aspects that have not yet been revealed in Mengzi and to look at the philosoph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from the cognitive horizon.

      • KCI등재

        객체 인식 모델을 활용한 적재 불량 화물차 탐지 시스템

        정우진,박진욱,박용주,Jung, Woojin,Park, Jinuk,Park, Yongju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Recently, the increasing number of overloaded vehicles on the road poses a risk to traffic safety, such as falling objects, road damage, and chain collisions due to the abnormal weight distribution, and can cause great damage once an accident occurs. therefore we propose to build an object detection-based AI model to identify overloaded vehicles that cause such social problems. In addition, we present a simple yet effective method to construct an object detection model for the large-scale vehicle images. In particular, we utilize the large-scale of vehicle image sets provided by open AI-Hub, which include the overloaded vehicles. We inspected the specific features of sizes of vehicles and types of image sources, and pre-processed these images to train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 Also, we propose an integrated system for tracking the detected vehicles. Finally, we demonstrated that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overloaded vehicle was improved by about 23% compared to the one using raw data.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과 동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 분석

        정우진,오찬희,주영준,Jung, Woojin,Oh, Chanhee,Zhu, Yongju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4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we applied network analysis and dynamic topic modeling to domestic research paper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e papers that have been indexed in KCI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by 2020, metadata and abstracts of 2,552 papers where the titles or indexed keyword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both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llected. Keyword, affiliation, subject field, and abstract were extracted and preprocessed for further analyses. We identified main keywords in the field by analyzing keyword co-occurrence networks as well as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by analyzing institutional collaboration networks. Dynamic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on 1845 abstracts written in Korean, and 13 topics were obtained from the labeling process.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by identifying research trends through dynamic topic modeling from abstracts as well as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through institutional collaboration networks from author affili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governmental institutions for making policies in accorda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era. 본 연구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인공지능 분야 논문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 및 동적 토픽 모델링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0년까지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논문 중 '인공지능'과 'artificial intelligence' 두 개의 키워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논문 제목 또는 색인 키워드에 포함한 2,552개 논문들의 메타데이터 및 초록을 수집하였다. 키워드, 소속기관, 주제 분야, 초록의 추출 및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였고 키워드를 활용한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구축 및 분석으로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였으며, 소속기관 정보를 활용한 기관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 산학기관들의 협력 정 도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논문들 중 한글로 작성된 1845개의 초록 들을 대상으로 동적 토픽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주제어들을 토대로 13개의 주제를 레이블링하였다. 레이블링 된 13개의 주제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연구 분야의 시기별 주제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시도하지 않은 저자 소속기관 등을 활용한 기관 협력 네트워크 및 초록을 활용한 동적 토픽 모델링을 통해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 파악의 시야를 확장하는 것으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하는 국가 정책 수립 기여라는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증례 : 순환기; 하지 봉와직염에서 발생한 심부정맥 혈전증 1예

        정우진 ( Woojin Jung ),김영지 ( Youngji Kim ),박요한 ( Yohan Park ),조준현 ( Jun Hyeon Cho ),김기창 ( Gicha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3

        Cellulitis and deep vein thrombosis (DVT) have similar symptoms (lower extremity pain, erythema, and swelling) and there is the potential for misdiagnosis. In cases of cellulitis, DVT should be ruled out, as the symptoms of cellulitis might mask those of DVT, leading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pulmonary thromboembolism. The reported incidence of DVT in patients with cellulitis is low, especially patients with progression to pulmonary thromboembolism. We present a cas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following cellulitis of the lower leg in a 54-year-old male.

      • KCI우수등재

        『회남자』의 허정(虛靜)과 인성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회남자』에는 마음의 평정을 의미하는 허정(虛靜)이 인성 본연의 특성임을 지지하는 글이 있다. 이런 구절은 『회남자』의 일관된 독해에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먼저, 『회남자』에 영향을 미친 주요 문헌들에서 허정은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조건일 뿐, 인성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다. 둘째, 인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재질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허정은 재질이 잘 발현되기 위한 토양에 가깝다. 셋째, 허정에는 철학자의 이념이 들어 있어야 하는데, 도가의 이념은 도이지 허정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안했다. 첫째, 『회남자』의 허정은 마음의 평정과 도를 묘사하는 허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전자의 허정은 인성이라는 재질이 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토양이라고 할 수 있지만, 후자의 허정은 도의 특성이라는 점에서 재질 즉, 도가 구체화된 인성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해석은 『회남자』가 고유한 이론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도가류의 문헌이라는 평가를 지지한다. There are some sentences supporting that xujing(虛靜), that implies emptness and tranquiltiy of heart, i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These phrases cause some problems in coherent reading of the Huinanzi. First of all, in the principal literatures that influenced the Huinanzi, 虛靜 is no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Second, human nature can be interpreted as a capacity that can develop in any direction, but 虛靜 is closer to the soil that help the capacity to develop in the direction. Third, there must be a philosopher’s ideology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虛靜 can not represent the ideology of Daoism.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resolve these problems: 虛靜 is a soil that helps the capacitiy to develop to its direction,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haracter of a capacity itself as a actualization of Dao(道). The interpretation of this manuscript supports the assessment of Huainanzi as a literature of Daoism, which has uniqu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itself.

      • KCI우수등재

        기의 존재론적 고찰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3

        기는 동양자연관의 토대를 이룬다. 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사상사적 흐름과 개념사에 집중해왔다. 본고에서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의 특성에 토대해서, 기가 마음과 관계를 맺는 양상을 고찰했다. 말투와 눈빛으로 드러나는 기는 자세와 태도라는 말로 번역할 수 있다. 기는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포착되지 않지만, 생생하게 드러난다. 대상의 본질탐색을 중시여긴 고대 중국의 문화가 기의 포착을 요구했다. 자세와 태도로 드러나는 기는 특정한 마음을 상징한다. 그러나 기는 마음의 단순한 표지가 아니다. 기는 마음 그 자체다. 그러므로 기와 마음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뿌리와 꽃 혹은 가지의 비유 즉, 본말(本末)론이 밖으로 드러난 자세와 마음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종종 기를 물리적 형질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성리학에서도 그런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세로서의 기는 형질이 아니다. 몸이 아닌 몸짓으로 드러나는 기는 그 자체 마음의 움직임이며, 형질로서의 몸을 채우는 생명력이다. Qi is the basis of the East Asian view of nature. The previous studies on qi have focused on the concepts and the history of thought. This study, based on the character of qi that can be institutionally understood,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qi and mind. qi, that presented itself in not the meaning but the way of speaking, can be interpreted as pose. Qi, even though can’t objectively apprehended, vividly present itself. The ancient Chinese culture, that regards essence as important, asked to grasp qi. Qi represent a movement of mind. However, qi is not just a symbol of mind. Qi is the movement of mind itself. Therefore, the relation of qi and mind is not causal relation. The analogy of root and flower was used the relation of mind and qi. Qi is often interpreted as material body. However, the qi as a pose is not material. Qi is the vitality which is in material body and the movement of mind itself.

      • AHCISCOPUSKCI등재

        經脈의 기원 : 경맥의 기원에 관한 주요가설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정우진(JUNG Woojin) 大韓醫史學會 2010 醫史學 Vol.19 No.2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Jingmai(經脈) through examination of some important hypotheses brought up by modern scholars and introduce new hypothesis. Hypotheses about the origin of Jingmai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ypothesis by Joseph Needham and Kano Yoshimitsu(加納喜光)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hydraulic engineering or twelve rivers. 2) Hypothesis by some chinese scholars like Zhou yimou(周一謀)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Neishi(內視) daoist experience. 3) Hypothesis by Yamada Keiji(山田慶兒)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moxibustion supported by shamanism 4) Hypothesis by Li jianmin(李建民)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Daoyinshu(導引術) one of the body-cultivation techniques Hypothesis 1) has the problem of the fallacy of circular argument. I can drag the opposite resolution from the same basis used by Kano Yoshimitsu. There is the problem of misreading in the hypothesis 2). The words quoted by Zhou yimou are not related to the twelve Jingmai (12正經) but Qijingbamai(奇經八脈). Yamada Keiji and Li jianmin presuppose that at first Mai(脈) was just blood vessel. Then they follow each way as mentioned above. I agree their opinion that at the beginning Mai was just blood vessel. But I think that Mai was affected by the schema of shamanism. Mai as the vessel that not only blood but Qi(氣) go through is conceived by the schema of shamanism, I think.

      • KCI우수등재

        楊朱사상의 연구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도덕경』은 살아남음 그 자체를 중시했음에 반해, 양주학파는 자득하는 삶을 꿈꾸었다. 『장자』와 양주학파는 모두 자득하는 삶을 제안했으나 강조점이 달랐다. 양주는 『장자』와 가깝고 『도덕경』과는 멀다. 『도덕경』이 도가적처세와 ‘主術’의 문헌이고 장자가 도가적 세계관을 기술한 인물이라면, 양주학파는 도가적 삶의 양상을 제안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양자는 도-지-형의 가치적 위계를 지니고 있었다. 치도는 자득을 수반했다. 따라서 자득하지 못했다면 치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었다. 치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욕망을 배제해야 했다. 욕망은 나의 본성을 왜곡시켰다. 왜곡되지 않은 본성은 진이라고 불렸다. 진은 본성에 이르기 위한 과정적 개념이자 본성자체이기도 했다. 양주학파는 진에 토대해서 자득하는 삶의 양상을 제안했다. Daodejing valued survival itself. However, Yangzi pursued contented life. Zhuangzi and Yangzi both presented an idea that person each pursue contended life. However, they put an emphasis on different points. Daodejing is a script of rulership; Yangzi can be told to present the life style of Daojia. Yangzi has a value hierarchy, Dao-intention-body. Being a whole into Dao entails personal satisfaction. Therefore, when there is not satisfaction, it can’t be said one became a whole into Dao. Desire distorted one’s nature. Nature not distorted is called ‘眞.’ ‘眞’ is a nature itself and a through concept to reach nature. Yangzi presented a life style that pursue one’s satisfaction by a theory founded on ‘眞.’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