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오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미생물 효과

        정숙현(Sook-Hyun Chung),문숙희(Suk-Hee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이 연구에서는 오이 meth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미생물 효과를 조사하였다. Ames 실험계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간접 돌연변이원인 aflatoxin B₁에 대해 methanol 추출물은 1.25~5.0%에서 11~70%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었고,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46~85%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aflatoxin B1에 대해서는 hexane 획분이, MNNG에 대해서는 butanol 획분이 89% 및 95%로 가장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미생물 효과의 조사에서는 오이 methanol 추출물이 실험균주 11종 중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K. pneumonia KCTC 2208, P. aeruginosa KCTC 2004가 clear zone 13 mm로서 가장 항균 활성에 민감한 균종으로 나타났다.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hexane 획분은 V. parahaemolyticus KCTC 2471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고, chloroform과 ethyl acetate 획분에서도 약하게 항균효과를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균증식억제효과의 결과로는 V. parahaemolyticus가 가장 낮은 최소증식억제농도를 보여 500 ppm으로 나타났다. Methanol 추출물의 살균효과는 P. aeruginosa에서 1%의 농도가 0.5%의 농도에 비하여 약 10배정도의 빠른 살균효과를 보였다. 즉 초기 균수의 90%균을 살균하는데 1%와 0.5%의 농도에서 각각 26분, 25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ucumber extracts were investigated. Antimutagenic effects of cucumber extract against aflatoxin (AFB1) as indirect mutagen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s direct mutagen using the Ames assay system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were studied. 1.25~5.0% of methanol extract exhibited 11~17% of antimutagenity against AFB₁and 46~85% of antimutagenity against MNNG. Among 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hexane fraction exhibited the highest antimutagenic effect against AFB₁ (89%) and butanol fraction exhibited the highest antimutagenic effect against MNNG (95%). Antimicrobial effects of cucumber extract were investigated on the eleven microorganisms. Methanol extract showed anitimicrobial effect on eight microorganisms. Among these tested microorganisms, Klebsiella pneumonia KCTC 2208,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 were the most sensitively inhibited with 13 mm clear zone on holo test. Hexane fraction showed anitimicrobial effect only on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2471.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a weak effect. V. parahaemolyticus showed the lowest mini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500 ppm) among eleven tested microorganisms by methanol extract. Sterilization effect of 1% methanol extract on P. aeruginosa incubation is 10 times stronger than 0.5% methanol extract. It estimated to need 26 min for the sterilization of 90% P. aeruginosa cell counts by 1% methanol extract but 250 min by 0.5% methanol extract.

      • SCOPUSKCI등재

        Saccharomyces bayanus에 의한 Glucose 용액의 발효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저장중 이 성분들의 분석 - 1. 중성분획

        정숙현(Sook-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6

        Yeast-Carbon-Base배지로 조성된 glucose용액을 Saccharomyces bayanus로 pH 3.5, 25℃, 400rpm, 그리고 발효 초기 24시간 동안만 35L/h로 통기시키면서 64시간 만에 alcohol 발효를 완료시켜, 발효 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이들 발효액을 여러 조건에서 숙성(25℃에서 6주, 13℃에서 12주, 35℃에서 24시간)시켰을 때 휘발성 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20개의 ester, 14개의 alcohol, 5개의 aldehyde, 5개의 ketone, 5개의 lactone, 2개의 함황성분과 1개의 hydrocarbon이 발효중 생성되었다. Ethyl 2-hydroxy-4-methyl pentanoate, ethyl succinate, nonanol과 phenylacetaldehyde 등이 발효액의 저장 중 새로이 생성되었다. Ester는 일반적으로 저장 중 증가되었고, 13℃에서 12주간 저장된 시료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어 본 실험에서 분석된 22개의 ester 중 17개가 증가하였다. 35℃에서 24시간 저장된 시료에서는 13개의 증가된 ester 중 ethyl 9-hexadecenoate의 증가가 가장 현저하였다. ldehyde는 35℃ 저장에서 크게 증가되었으나 13℃ 저장에서는 감소되었다. Isobutanal, benzaldehyde와 phenylacetaldehyde는 35℃ 저장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Twenty esters, 14 alcohols, 5 aldehydes, 5 ketones, 5 lactones, 2 S-containing compounds and 1 hydrocarbon are identified by GC-MS from volatile compounds in a glucose solution containing Yeast-Carbon-Base medium fermented for 64 hrs by Saccharomyces bayanus at pH 3.5, 25℃, 400rpm and 35L/h of aeration for 24hrs.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1~4), ethyl 2-hydroxy-4-methyl pentanoate, ethyl succinate, nonanol and phenylacetaldehyde are produced during conservation of fermented solution. 17 esters increased during conservation at 13℃ for 12 weeks and the increase of ethyl 9-hexadecenoate is important among 13 esters increased during conservation at 35℃ for 24hrs. During conservation, aldehydes increased at 35℃, but decreased at 13℃ and the great increase of isobutanal, benzaldehyde and phenylacetaldehyde is observed at 35℃. Alcohol and lactones increased but ketones decreased during conservation.

      • KCI등재

        엽차용 녹차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정숙현(Sook Hyun Chung),윤교희(Kyo Hie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1

        9월에 수확하여 엽차용 녹차로 시판되는 보성산 녹차를 상온수, 80℃ 열수, 70% ethanol 용액으로 추출하고, 70% ethanol 추출물을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한 다음 녹차 추출물과 분획물의 그램 양성균과 그램 음성균 8종에 대한 항균활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녹차의 추출 수율은 70% ethanol 추출물은 33.0%, ethyl acetate 분획물은 11.2%를 보였다. 8종의 세균에 대한 녹차추출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수 추출물에 비하여 Vibrio parahaemolyticus(V. parahaemolyticu) 및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높았다.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여러 가지 용매를 달리하여 분획한 분획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 V. parahaemolyticus, S. aureus, Bacillus subtilis(B. subtilis) 및 Streptococcus mutans(S. mutans)와 같은 5종의 세균에 대하여 높았다. 70% ethanol 추출물 유래 ethyl acetate 분획물의 MIC는 B. subtilis의 경우 5 μL/disc이었고, S. aureus와 S. mutans의 경우 3 μL/disc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3 μL/disc 이하로 아주 낮았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첨가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는 B. subtilis와 S. mutans 두 균종에서 확연히 나타났고 B. subtilis는 0.05% 이상의 첨가로 24시간 증식시켰을 때 control에 비하여 균증식이 90% 이상 억제됨을 보였으며, S. mutans는 동일한 균증식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0.1% 이상의 ethyl acetate 분획물 농도가 요구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열처리(121oC, 20분)는 균종에 따라 10%정도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9월에 채엽된 저렴한 녹차로 천연항균제 혹은 식품보존료의 개발은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used for coarse tea were investigated by disc diffusion method using eight different bacteria. Among the green tea extracts, the 70% ethanol extract demonstrat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emolyticus (V. parahemolyticus) and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thus was further fractionated. Among thes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 parahemolyticus, S. aureus,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and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These activities exceeded that of all extracts and fractions tested in this study. Interestingly, although green tea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icrococcus luteus (M. luteus), once fraction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did not show an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 luteus. MIC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ere 5 μL/disc against B. subtilis and 3 μL/disc against S. aureus, S. mutans and V. parahaemolyticus. 90% inhibition of B. subtilis was observed with 0.05% ethyl acetate fraction but S. mutans needed over 0.1% ethyl acetate fraction to exhibit the same inhibition as B. subtili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s were reduced around 10% by thermal treatment at 121℃ for 20 min. Al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70% ethanol extract as well as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reen tea used for coarse tea could be further developed into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KCI등재후보

        감잎차의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정숙현(Sook Hyun Chung) 한국차학회 2009 한국차학회지 Vol.15 No.2

        8월에 채취하여 건조(60℃)시킨 감잎차를 70% ethanol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분획하여 제조된 감잎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균활성을 7종의 세균과 2종의 효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감잎의 추출 수율은 70% ethanol 추출물은 14.0%, 분획물 중에서는 chloroform 분획물이 2.5%로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의 경우는 약하지만 7종의 세균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있었고, 특히 V. parahaemolyticus와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하였고, B. subtilis에도 상당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에서의 항균활성은 hexane 분획물에서는 전혀 없었고, 그 외 분획물들은 공통적으로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하여 활성이 있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은 B. subtilis, S. aureus, 및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고 M. luteus에 대하여는 미약하였다. 특히 효모에 대하여는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항균활성이 전혀 없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MIC는 V. parahaemolyticus 는 0.3%로서 가장 낮았고 B. Subtilus는 0.5%, S. aureus는 2%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첨가 농도에 따른 B.subtilis의 증식억제효과는 1.0%의 첨가로 24시간 증식시켰을 때 control에 비하여 약 90%의 균증 식이 억제 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열처리(121oC, 20분)효과는 균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B.subtilis에 대하여서는 88.7%,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서는 73.8%의 열안전성을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ersimmon leaf (Diospyros kaki Thunb.) were investigated by disc diffusion method using seven different bacteria and two different yeasts. The 70% ethanol extract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subtilis and thus was further fractionated. Among thes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 parahemolyticus, B. subtilis and S. aureus. These activities exceeded that of all extracts and fractions tested in this study. Hexane fraction did not showed any antimicrobial activities. All of extracts did not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yeas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ere 0.3% against V. parahaemolyticus, 0.5% against B. subtilis and 2% against S. aureus. About 90% inhibition of growth was observed with 1.0% ethyl acetate fraction but 0.1% ethyl acetate fraction made only eight hours delay of lag phase on the growth curve of B. subtilis.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reduced to about 74% against V. parahaemolyticus but 89% against B. subtilis by thermal treatment at 121oC for 20 min.

      • SCOPUSKCI등재

        비타민 D<sub>2</sub> 강화 표고버섯과 해조칼슘 첨가 냉면의 저장성 예측 - 연구노트 -

        정숙현,오혜숙,윤교희,Chung, Sook-Hyun,Oh, Hae-Sook,Yoon, Kyo-Hi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9

        비타민 $D_2$ 강화한 표고버섯(3%)과 해조칼슘을 첨가하여 비살균 제품이며 숙면에 속하는 냉면을 제조한 후, 편의식 개발을 목적으로 저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5^{\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냉면의 초기 세균 수는 2.54 log CFU/g 정도였으며, 냉장 조건에서 6일까지는 세균수가 5 log CFU/g 이하로서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버섯냉면을 8일간 냉장저장 중에는 이취를 인식하지 못하였고 육안으로는 곰팡이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표고버섯 첨가냉면을 총 8주 동안 냉동저장$(-18^{\circ}C)$하여 검사한 결과, 총세균수는 $770{\sim}160$ CFU/g 정도로 저장기간 중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전 기간에 걸쳐 숙면의 저장가능 조건인 $1{\times}10^5$ CFU/g 이하로서 8주까지는 유통 및 저장 조건이 잘 유지된다면 미생물적 품질은 비교적 안전할 것으로 여겨진다. 윤기, 버섯 향, 쌉쌀한 맛, 씹힘성 및 탄력성의 관능특성은 8주간의 냉동저장 기간 동안 제조 직후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 결과는 미생물검사 결과와 함께 저장 안정성이 매우 큼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old buckwheat noodles with 3% vitamin D2 enriched Siitake mushroom and seaweed derived calcium (Aquacal) added as functional ingredients wer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these cold buckwheat noodles, classified as unsterilized cooked noodles, bacterial count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examined during 8 days under refrigerated conditions (5oC) and 8 weeks of storage under frozen conditions $(-18^{\circ}C)$. Results of bacterial count showed that cold buckwheat noodles were microbiologically safe within 6 days at the storage temperature of $5^{\circ}C$ and the shelf-life of these noodles could be extended to 8 whole weeks when stored at $-18^{\circ}C$. Apparent qualities (off-flavor and fungi development) of cold buckwheat noodles kept in $5^{\circ}C$ were not decreased within 8 days. Sensory characteristics (gloss, mushroom flavor, bitterness, chewiness and elasticity) of noodles were not changed during 8 weeks at $-18^{\circ}C$.

      • SCOPUSKCI등재

        Iron Superoxide Dismutase(Fe - SOD)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선발 및 배양

        이태호(Tae-Ho Lee),정숙현(Sook-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비교적 연구가 미비한 Fe-SOD의 효소화학적 특성 및 그 생리적 기능을 검토하기 위해 여러 종의 세균을 대상으로하여 Fe-SOD의 고생산균주를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Fe-SOD를 대량 세포내에 생산하는 Pseudomonas polycolor를 선발하여, 이 균주의 효소생산 최적 배양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는 특이적인 저해제의 작용양식에 의해 Fe을 cofactor로 요구하는 Fe-SOD임이 밝혀졌다. SOD 생성을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glycerin 3%, polypeptone 1%, meat extract 0.5%, KCI 0.2%이었고, 최적 초발 pH는 9.0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500ml용 shaking flask에 배지 100ml를 넣어 15시간 전 후 배양했을 경우가 효소생산량은 최대가 되었다. Pseudomonas polycolo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 to examine the various proper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This SOD was inhibited by H₂O₂, azide ion, but not by cyanide 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nzyme might be a Fe-SOD. The composition of optimal culture medium for the enzyme production was 3% of glycerin, 1% of polypeptone, 0.5% of meat extract, 0.2% of KCI and the initial pH was 9.0. The cultivation for the enzyme production was carried out in 500ml shaking flask containing 100ml of the optimal medium at 30℃ on a reciprocal shaker. The enzyme production reached maximum at 15hrs of cultivation and then declined sharply afterward.

      • KCI등재

        서울시내 석면함유 건축물 철거 현장 등에서의 효과적인 공기 중 석면농도 측정을 위한 연구

        이진효 ( Jin Hyo Lee ),이수 ( Su Hyun Lee ),김정연 ( Jeong Yeun Kim ),김지희 ( Ji Hui Kim ),정숙녀 ( Sook Nye Chung ),김진아 ( Ji Na Kim ),오석률 ( Seokr Yul Oh ),김익수 ( Ik Soo Kim ),신진호 ( Jin Ho Shin ),어수미 ( Soo Mi Eo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k credible and efficient measurements on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that allow immediate action by establishing complementary dat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existing PCM and KF-100 methodreal-time monitoring equipment in working areas in Seoul where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are being demolished, including living environment surroundings. Materials: We measured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using PCM and KF-100 at research institutes, monitoring networks, subway stations and demolition sites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Through this measurement data and KF-100 performance testing, we drew a conversion factor and applied it via KF-100. Finally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CM and KF-100 with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by PCM for the objects of study were less than the detection limit(7 fiber/mm2) in three (20%) out of 15 sample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0.009 f/cc.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by PCM in laboratories, monitoring networks, subway stations and demolition sites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were respectively 0.002±0.000 f/cc, 0.004±0.001 f/cc, 0.009±0.001 f/cc, and 0.002±0.000 f/cc. As a result of KF-100 performance testson rooftops, the conversion factor was 0.1958. Applying the conversion factor to KF-100 for laboratories,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ratio of the two ways was nearly 1:1.5(R2=0.8852). Also,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ratio of the two ways was nearly 1:1(R2=0.9071) for monitoring networks, subway stations, and demolition sites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As a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monitored in the two ways. Conclusions: In working areas where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are being demolished, including living environment surroundings, quickly and accurately monitoring airborne asbestos scattered in the air around the working area is highly important. For this, we believea mutual interface of existing PCM and a real-time monitoring equipment method is possibl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 및 주변에서의공기 중 석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효(Jin Hyo Lee),이수(Su Hyun Lee),김정연(Jeong Yeun Kim),김지희(Ji Hui Kim),정숙녀(Sook Nye Chung),김진아(Jin A Kim),김익수(Ik Soo Kim),어수미(Soo Mi Eo),정권(Kweon Jung),이진숙(Jin Sook Lee),구자용(Ja Yong Koo)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석면해체.제거작업에 따른 작업자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내 건축물석면해체.제거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조사하고, 측정결과가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석면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서울시내 총 37개소 석면해체.제거 사업장에서 총 288개의 공기 중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288개 시료 중 101개 시료에서(35%) 검출한계(7 fiber/mm2) 이하로 나타났다. 이 때 전체 공기 중 석면농도평균값은 0.003±0.002 f/cc로(최대 0.013 f/cc) 대부분의 공기 중 석면농도는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 0.01 f/cc 이하로 나타나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에서의 석면 노출가능성은 우려할 수준이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지점별로 살펴보면, 부지경계선(148개), 위생설비입구(25개), 작업장주변(실내)(7개), 작업장주변(실외)(11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53개(36%), 5개(20%), 1개(14%), 4개(36%)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2±0.002 f/cc(최대 0.008 f/cc), 0.004±0.002 f/cc(최대 0.009 f/cc), 0.004±0.002 f/cc(최대 0.007 f/cc),0.004±0.002 f/cc로(최대 0.008 f/cc) 나타났다. 또한 음압기(13개), 폐기물보관지점(27개), 폐기물반출구(9개), 거주자주거지역(48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3개(23%), 8개(30%), 2개(22%), 25개(52%)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평균농도는 각각 0.004±0.002 f/cc(최대 0.009 f/cc), 0.005±0.004 f/cc(최대 0.013 f/cc), 0.005±0.003 f/cc(최대 0.009 f/cc),0.003±0.002 f/cc로(최대 0.009 f/cc) 나타났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measur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t demolition sites and surrounding areas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and examine whether the measurement results correspon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of 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for 37 site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7 fiber/mm2)in 101 (35%) out of 288 samples. The whole averag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in 37 sites was 0.003±0.002 f/cc (max 0.0013f/cc) and almost the whol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were satisfie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 0.01 f/cc, of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So possibility of asbestos exposure is not yet a major concern at current levels for sites demolished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Looking at each sampling point, the averag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boundaryline of site, entrance of sanitation, around the workplace (in), around the workplace (out), negative pressure units, storage area forwaste, outlet for waste and residential area of residents were respectively 0.002±0.002 f/cc, 0.004±0.002 f/cc, 0.004±0.002 f/cc,0.004±0.002 f/cc, 0.004±0.002 f/cc, 0.005±0.004 f/cc, 0.005±0.003 f/cc and 0.003±0.002 f/cc. As a result, all sampling points ofstudy were satisfied with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asbestos, 0.01 f/cc, of the Asbestos Safety Control Ac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